목차
1. 들어가며.
2. 데카르트와 송과선.
3. 송과선의 유무 논란.
4. 송과선과 영혼.
5. 데카르트의 문제 지점 및 과학과 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
6. 마치며.
2. 데카르트와 송과선.
3. 송과선의 유무 논란.
4. 송과선과 영혼.
5. 데카르트의 문제 지점 및 과학과 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
6. 마치며.
본문내용
과 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단순히 영혼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이상의 문제점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필자는 푸코(M. Foucault)나 니체(F.Nietzsche)를 높이 평가한다. 그들은 철학을 철학이라는 틀 안에 가둬두지 않고, 역사적사회학적 측면을 통해 발전 시켰다. 토머스 쿤 또한 과학과 인문사회학의 접목을 통해 ‘패러다임(paradigm)’의 개념을 만들어낸 점을 높이 평가하고 싶다. 학문이 다루어야할 영역은 점점 넓어지고 있다. 고지식하게 어떤 학문은 기존의 연구대상만을 바라봐서는 안 된다. 학문 간의 경계를 허물어야 할필 요가 있다. 그는 진리라는 아프락시스(Abraxas)를 향해 날아가기 위해서 이기 때문이고, 그를 위해서 학문이라는 새는 껍질을 깨야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이문호,『펭슈이(風水) 사이언스』, 도원미디어, 2003.
이진경,『철학과 굴뚝청소부 - 근대철학의 경계들』, 그린비, 2002.
Descartes, Rene, 최명관 역저,『방법서설 성찰 데까르뜨연구』, 서광사,1986.
, 정봉구 역, 『정념론』, 을유문고, 1976.
, 원석영 역, 『철학의 원리』, 아카넷, 2002.
Langer, William L., 박상익 역,『뉴턴에서 조지 오웰까지』, 푸른역사, 2004.
Morwood, James, Maurice Balme, Oxford Latin Course Part. 1 (Seco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Peusen, C. A. Van, 손봉호강영안 역,『몸영혼 정신』, 서광사, 1983.
참고문헌.
이문호,『펭슈이(風水) 사이언스』, 도원미디어, 2003.
이진경,『철학과 굴뚝청소부 - 근대철학의 경계들』, 그린비, 2002.
Descartes, Rene, 최명관 역저,『방법서설 성찰 데까르뜨연구』, 서광사,1986.
, 정봉구 역, 『정념론』, 을유문고, 1976.
, 원석영 역, 『철학의 원리』, 아카넷, 2002.
Langer, William L., 박상익 역,『뉴턴에서 조지 오웰까지』, 푸른역사, 2004.
Morwood, James, Maurice Balme, Oxford Latin Course Part. 1 (Seco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Peusen, C. A. Van, 손봉호강영안 역,『몸영혼 정신』, 서광사, 198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