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그 프로그램에서의 언어 사용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개그 프로그램에서의 언어 사용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은어와 비속어의 정의 및 유형
2.1 은어와 비속어의 正義
2.2 은어와 비속어의 類型

Ⅲ. 은어 . 비속어 사용 실태와 그 문제점 및 개선 방안
3.1 은어 . 비속어 사용 실태
(1) 은어의 사용 실태
(2) 비속어의 사용 실태
3.2 은어 . 비속어 사용의 문제점
3.3 개그프로그램에서의 은어 . 비속어 사용의 개선 방안
Ⅳ. 결론

본문내용

> 사기꾼(접시는 사기로 만든다), 항(項) > 모가지
(3) 차용어 : 삥(ping), 하꼬노리(열차의 소매치기)
(4) 은유형 : 건빵 >육군, 짭새>경찰
(5) 음대체형 : 개병대 > 해병대, 골병대 > 공병대
(6) 의태어 : K.B.S > 갈비씨 > 마른사람
Ⅲ. 은어 비속어 사용 실태와 그 문제점 및 개선 방안
3.1 은어 비속어 사용 실태
공영 방송 三社의 대표적인 개그 프로그램으로는 MBC의 Gag夜(개그야), KBS의 개그콘서트, 그리고 SBS의 웃음을 찾는 사람들이 있다. 각 방송사의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MBC ‘개그야’에서는 그 뜻을 파악할 수 없는 은어와 과격한 표현의 비속어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또한 KBS ‘개그 콘서트’에는 본래의 의미에서 파생된 형식의 은어와 비속어를 자주 사용한다. ‘꺼져’ ‘깽판’과 같은 비속어가 많이 사용된다. SBS ‘웃음을 찾는 사람들’에서는 ‘뽀대 간지 열라 화장빨’과 같이 주로 10대와 20대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은어를 찾아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남생(You know what I\'m saying), 유나미(You know me)’ 등과 같이 영어를 한국식으로 발음하거나 ‘이즈 나나~~’ ‘요~쉐키~’ 등과 같이 그 뜻을 알 수 없는 말을 사용함으로써 유행어를 만들고 이를 통해 시청자의 웃음을 유발시키고자 한다. 다음은 2006년 10월 16일과 30일에 방송된 MBC ‘개그야’의 ‘명품남녀’와 ‘라이벌 뉴스’, KBS ‘개그콘서트’ 384회와 385회에 방송된 ‘고교천왕’, ‘오빠’, ‘봉숭아학당’, 그리고 2006년 9월 14일 24일 10월 5일에 방송된 SBS ‘웃음을 찾는 사람들’의 ‘정직한 대통령’과 ‘나몰라 패밀리’에서 나타난 은어 및 비속어 사용 실태이다.
(1) 은어의 사용 실태
- 일부러 그러려고 내가 체육시간 땡땡이 친거 아니겠습니까.
- 재밌는 게임을 준비했습니다. 야자타임...
- 아동전집~ 자세히 보시면 아동전집이 아니라 야동전집이죠~
- 아니 어디서 빨판질이야~!
- 쟤가 옆 학교 퀸카, 신봉선아이가?
- 햄버거 알바 잘 하고 왔어?
- 이게 완전 개념 없네.
- 쟤 고교천왕이야, 짱~
- 넌 내 똘마니고.
- 아저씬 벌구예요, 벌구! 입만 벌리면 구라.
- 우리? 폭탄~
- 다 악플이 달려가지고 속상해죽겠다.
- 상 받고도 안 쏘는 갈빡이~
- 가을 지대로 타셨네.
- 네. 오토바이 타고 왔어요,

키워드

언어,   비속어,   개그,   개선방안,   문제점,   방송,   실태,   은어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2.08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12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