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는가?
12) 내 속에 기쁨이 있는가?
3. 시간관리 :
목회는 특정한 시간과 공간 하에 이루어진다.
목회자는 똑같이 주어진 24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교회는 잠시 사용된다(소아시아의 교회들, 유럽의 교회들, 시카고의 무디 교회) 항구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목회자 역시 잠시 사용된다.
김춘근 교수 (JAMA멤버, 엡 5:15-17)
시간이란 기회다. 자원이다
효과적인 시간 사용 방법: “나의 시간대를 발견한다.” - 내가 가장 효율을 올릴 수 있는 시간
“그 시간대에 의미 있는 일을 한다.”
목회자 시간 관리에 있어서 교회의 규모가 커지면서 외부의 일들(지방회, 교단일 등)에 많은 시간을 빼앗긴다. 이와 같이 대외 활동을 하다 보면,
1) 목회적 관심이 소홀해지거나, 2) 명예, 권력욕에 집착하거나 3) 영적 생활이 악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대외 활동에 대해
1) 교회 성장을 시키려는 목사 - 정치 대외 활동을 하지 않거나,
2) 목회적 스트레스, 갈등, 자존심 회복의 도구로 삼기위해 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개교회와 교단의 활동에 균형을 가져야 한다.
4. 지성관리
1) 평생 나의 “전공 분야”를 결정한다. 조직신학, 신약, 구약, 그 중 마태복음 1장, 기도, 십일조, 영성, QT, 전도 등 자신만의 특수 분야를 하나 정도는 자기 것으로 한다.
2) 지성은 짧은 시간 안에 집중해서 학습하는 훈련이다.
리차드 포스트 “영적 훈련과 성장” 사고를 일정한 방향으로 가게 하는 것이 학습의 결과이다.
학습의 4단계 :
① 반복 (성경암송-아와나 프로그램),
② 집중,
③ 이해 (이해의 깨달음, 지식의 유레카 경험),
④ 숙고 (의미의 자기화 단계)
5. 육체적 정서적 관리
정서적 건강 - 친구
운동
취미생활 - 과연 나의 목회에 유익인가 아닌가를 판단해야 됨
II. 목회지도자 : Leadership
1. 소명, 사명, 운명의식 (CMF형 목사) = 목회자의 주관성
소명 (Calling) : 하나님이 나를 부르셨다는 확신
사명 (Mission) : 똑같은 소명을 하나님 측에서 본 점, 헌신의 결단
운명의식 (Fate) : 하나님이 해 주실 것이라는 믿음
1) 일반적인 소명 :
모든 크리스천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음.
직장은 선교의 현장이다. (직장은 부업이고 하나님의 일은 본업이다)
2) 독특한 소명 - 목회적 부르심
목회의 만족도는 소명의 확신에 의해 좌우된다.
Robert Wilson : 성공회와 오순절 교단의 목회자들의 만족도 비교 연구 결과, 성공회 목회자들보다 오순절 목회자들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즉 소명에 대한 확신에 의해 만족도가 달랐음
모세의 승리 이유
소명 이전에는 인간적으로 완벽하게 준비된 모세였지만 오히려 좌절했다.
그러나 호랩산 떨기나무 사건(출3:1-12) 이후 모세는 삶은 변화되었다.
그 이유로는 모세는
① 소명감 - 출3:4 (하나님의 부르심), 10 (모세를 보냄) = 영적 독대
② 사명감이 분명했다 - 동기 - 자신의 사욕이 아닌 하나님께 예배드리는 것이 주 동기 였음
③ 운명의식이 강했다. (10번을 찾아감 - 하나님의 약속은 반드시 이루어진다)
3) 소명의 동기
잘못된 동기
① 생계수단
② 명예, 권력
바른 동기
① 하나님의 부르심 : 독특한 내면의 확신 (믿음의 확신, 비밀) = 성령의 감동 또는 신비한 경험, 타인의 의견, 무의식적인 심리적 과정, 환경적인 확신
② 인간에 대한 agape적 사랑 : 영혼에 대한 관심 등
사역자로 부름에 확인
(1) 내적 소명-자기 검토 :
사역자에 대한 소명이 간헐적인가? 아니면 지속적인가? 질문해보아야 한다.
객관적 검토 (자신에 대한 질문)
① 신체적 장애-명백한
② 지적, 감성적, 정신적 문제
③ EQ (감성지수), 가난한 자들이나 소외된 자들에 대해 긍휼함이 있는가?
④ 믿음의 공동체를 이끌어 갈 능력이 있는가?
(2) 외적인 소명 - 안수위원회, 교회공동체의 검토
James George \"목사 후보생들이 던져야 할 네 가지 질문“
①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의 확증이 있는가?
② 은사가 있는가? 가르치는 은사 (성경에는 설교의 은사는 없다), 믿음, 사랑의 은사.
③ 열망이 있는가?
④ 생활이 건실한가?
*사도 바울의 사역 과정에서의 교훈
1) 절대로 서두르지 말자.
2) 하나님의 시간표(카이로스의 때)를 기다린다.
아브라함 (인간 시간표-이스마엘, 하나님의 시간표-이삭)
모세 ( 인간 시간표 - 실패, 하나님의 시간표 - 출애굽을 이룸
다윗 (하나님의 시간표- 삼하 2-4, 헤브론에서 왕으로 기름부음을 받았으나 사울의 아들이 마하나님(이스보넷)이 기름부음을 받자, 이 세력이 자연히 소멸될 때까지 7년 반을 기다렸음
2. 목회 리더쉽과 행정 리더쉽
2-1. 목회 leadership :
Ministry leadership is a dynamic process (열정, 실력, 동기부여, 재능)
in which a leader influences upon other\'s behavior
in order to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and objectives. (김춘근 박사)
영적(목회) leadership :
Spiritual leadership is dynamic process
in which a leader use God\'s given capacity and God\'s given responsibility
to influence a specific group of God\'s people toward God\'s purpose for the group.
리더쉽은 영향력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의 의견)
leadership = ledan(고대영어 = to go) -> 먼저 나가는 사람
일반적 리더쉽
목회리더쉽
만족도
Decision
동기
성취수단
목적
결정
자기 안에서 만족
본인이 결정
개인적 성취, 야심
자기 수단 개발
자기유익(manipulation)
스스로 독립적
자기 정당화 추구
권위주의적
하나님 안에서 만족
하나님의 뜻 - 성경, 성령(기초), 환경
야심이 없다. 버림
하나님의 방
12) 내 속에 기쁨이 있는가?
3. 시간관리 :
목회는 특정한 시간과 공간 하에 이루어진다.
목회자는 똑같이 주어진 24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교회는 잠시 사용된다(소아시아의 교회들, 유럽의 교회들, 시카고의 무디 교회) 항구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목회자 역시 잠시 사용된다.
김춘근 교수 (JAMA멤버, 엡 5:15-17)
시간이란 기회다. 자원이다
효과적인 시간 사용 방법: “나의 시간대를 발견한다.” - 내가 가장 효율을 올릴 수 있는 시간
“그 시간대에 의미 있는 일을 한다.”
목회자 시간 관리에 있어서 교회의 규모가 커지면서 외부의 일들(지방회, 교단일 등)에 많은 시간을 빼앗긴다. 이와 같이 대외 활동을 하다 보면,
1) 목회적 관심이 소홀해지거나, 2) 명예, 권력욕에 집착하거나 3) 영적 생활이 악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대외 활동에 대해
1) 교회 성장을 시키려는 목사 - 정치 대외 활동을 하지 않거나,
2) 목회적 스트레스, 갈등, 자존심 회복의 도구로 삼기위해 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개교회와 교단의 활동에 균형을 가져야 한다.
4. 지성관리
1) 평생 나의 “전공 분야”를 결정한다. 조직신학, 신약, 구약, 그 중 마태복음 1장, 기도, 십일조, 영성, QT, 전도 등 자신만의 특수 분야를 하나 정도는 자기 것으로 한다.
2) 지성은 짧은 시간 안에 집중해서 학습하는 훈련이다.
리차드 포스트 “영적 훈련과 성장” 사고를 일정한 방향으로 가게 하는 것이 학습의 결과이다.
학습의 4단계 :
① 반복 (성경암송-아와나 프로그램),
② 집중,
③ 이해 (이해의 깨달음, 지식의 유레카 경험),
④ 숙고 (의미의 자기화 단계)
5. 육체적 정서적 관리
정서적 건강 - 친구
운동
취미생활 - 과연 나의 목회에 유익인가 아닌가를 판단해야 됨
II. 목회지도자 : Leadership
1. 소명, 사명, 운명의식 (CMF형 목사) = 목회자의 주관성
소명 (Calling) : 하나님이 나를 부르셨다는 확신
사명 (Mission) : 똑같은 소명을 하나님 측에서 본 점, 헌신의 결단
운명의식 (Fate) : 하나님이 해 주실 것이라는 믿음
1) 일반적인 소명 :
모든 크리스천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음.
직장은 선교의 현장이다. (직장은 부업이고 하나님의 일은 본업이다)
2) 독특한 소명 - 목회적 부르심
목회의 만족도는 소명의 확신에 의해 좌우된다.
Robert Wilson : 성공회와 오순절 교단의 목회자들의 만족도 비교 연구 결과, 성공회 목회자들보다 오순절 목회자들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즉 소명에 대한 확신에 의해 만족도가 달랐음
모세의 승리 이유
소명 이전에는 인간적으로 완벽하게 준비된 모세였지만 오히려 좌절했다.
그러나 호랩산 떨기나무 사건(출3:1-12) 이후 모세는 삶은 변화되었다.
그 이유로는 모세는
① 소명감 - 출3:4 (하나님의 부르심), 10 (모세를 보냄) = 영적 독대
② 사명감이 분명했다 - 동기 - 자신의 사욕이 아닌 하나님께 예배드리는 것이 주 동기 였음
③ 운명의식이 강했다. (10번을 찾아감 - 하나님의 약속은 반드시 이루어진다)
3) 소명의 동기
잘못된 동기
① 생계수단
② 명예, 권력
바른 동기
① 하나님의 부르심 : 독특한 내면의 확신 (믿음의 확신, 비밀) = 성령의 감동 또는 신비한 경험, 타인의 의견, 무의식적인 심리적 과정, 환경적인 확신
② 인간에 대한 agape적 사랑 : 영혼에 대한 관심 등
사역자로 부름에 확인
(1) 내적 소명-자기 검토 :
사역자에 대한 소명이 간헐적인가? 아니면 지속적인가? 질문해보아야 한다.
객관적 검토 (자신에 대한 질문)
① 신체적 장애-명백한
② 지적, 감성적, 정신적 문제
③ EQ (감성지수), 가난한 자들이나 소외된 자들에 대해 긍휼함이 있는가?
④ 믿음의 공동체를 이끌어 갈 능력이 있는가?
(2) 외적인 소명 - 안수위원회, 교회공동체의 검토
James George \"목사 후보생들이 던져야 할 네 가지 질문“
①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의 확증이 있는가?
② 은사가 있는가? 가르치는 은사 (성경에는 설교의 은사는 없다), 믿음, 사랑의 은사.
③ 열망이 있는가?
④ 생활이 건실한가?
*사도 바울의 사역 과정에서의 교훈
1) 절대로 서두르지 말자.
2) 하나님의 시간표(카이로스의 때)를 기다린다.
아브라함 (인간 시간표-이스마엘, 하나님의 시간표-이삭)
모세 ( 인간 시간표 - 실패, 하나님의 시간표 - 출애굽을 이룸
다윗 (하나님의 시간표- 삼하 2-4, 헤브론에서 왕으로 기름부음을 받았으나 사울의 아들이 마하나님(이스보넷)이 기름부음을 받자, 이 세력이 자연히 소멸될 때까지 7년 반을 기다렸음
2. 목회 리더쉽과 행정 리더쉽
2-1. 목회 leadership :
Ministry leadership is a dynamic process (열정, 실력, 동기부여, 재능)
in which a leader influences upon other\'s behavior
in order to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and objectives. (김춘근 박사)
영적(목회) leadership :
Spiritual leadership is dynamic process
in which a leader use God\'s given capacity and God\'s given responsibility
to influence a specific group of God\'s people toward God\'s purpose for the group.
리더쉽은 영향력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의 의견)
leadership = ledan(고대영어 = to go) -> 먼저 나가는 사람
일반적 리더쉽
목회리더쉽
만족도
Decision
동기
성취수단
목적
결정
자기 안에서 만족
본인이 결정
개인적 성취, 야심
자기 수단 개발
자기유익(manipulation)
스스로 독립적
자기 정당화 추구
권위주의적
하나님 안에서 만족
하나님의 뜻 - 성경, 성령(기초), 환경
야심이 없다. 버림
하나님의 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