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봉흉곽 배액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밀봉흉곽 배액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늑막의 문제
1)생리적 이론

2)밀봉배액

3)밀봉배액의 종류

4)흉곽튜브 삽입시 간호

5)밀봉 흉곽 배액관을 가진
대상자 간호

6)기대되는 간호평가

본문내용

봉병 안에 파동이 있는지 확인한다
° 밀봉관이나 흉곽 튜브로 액체가 오르내리는데 흡기 시에는 올라가고 호기 시에는 내려간다. 튜브의 파동은 늑막강과 배액병 사이의 개방을 나타내며, 늑막강 내 압력을
평가한다.
11)흉곽 튜브의 액체 파동이 정지된 경우
의사에게 보고한다
° 액체 파동이 정지되는 이유
- 폐가 재확장되었을 때
- 관이 혈과, 섬유소로 막혔거나 꼬였을때
- 연결줄이 고리를 형성하였을 때
- 흡인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12)밀봉배액에 심한 거품이 일면 즉시 보고 한다. 공기누출이 있는 대상자의 흉곽튜 브를 짜준다.
° 밀봉배액병에 거품이 계속 생기는 것은 배액 기구에서 공기가 누출되는 것으로, 늑막강에 공기가 누출되거나 괴면 긴장성기흉
13) 얕고 빠른 호흡, 청색증, 흉곽압박, 피하 기종, 출혈 증상 등이 있거나 색깔이나 활력징후에 변화가 나타나면 즉시 보고한 다
° 긴장성 기흉, 종격동 변위, 출혈, 심한 절상 통등 등에서 이러한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는데 외과적 중재가 필요하다.
14) 심호흡과 기침을 자주 하도록 격려한다
° 심호흡과 기침은 기관지로부터 분비물을 제거하고 늑막강 내 액체의 축적을 막아주며무기폐를 예방한다.
15) 대상자를 운반 할 때 배액 기구는 가슴
아래에 높이게 한다.
° 배액기구는 늑막강 내에 액체가 역류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가슴보다 낮게 둔다.
16) 흉곽 튜브의 제거
° 1일 배액량이 80~100ml이하이고
더 이상의 공기 배출이나 배액이 없을 때
제거한다.
° 흉곽 튜브를 제거한 후 흉곽 X선 촬영하여
폐 확장을 평가하고, 기흉의 재발 증상과
징후를 관찰한다.
° 흉곽 튜브는 폐가 재팽창되었을 때
제거한다. 튜브를 빼낼때는 늑막강에 공기 가 들어가지 않게 하고 감염을 예방해야한 다.
(5) 기대되는 간호 평가
♣ 실내공기에서 동맥가스 분석값이 정상으로 돌아오면 가스교환 능력이 회복된 것이다.
♣ 정상 폐기전의 회복은 다음의 증거로 알 수 있다.
1) 배액관 제거 후에도 폐가 확장된다.
2) 정상 호흡음이 청진된다.
3) 활력증상, 특히 심박수와 호흡수가 정상이다.
4) 숨이 차고 불안하였던 증싱이 덜해졌다고 표현하고
보기에도 편안해 조인다.
♣ 통증의 완화는 다음의 증거로 알 수 있다.
1) 환자 자신이 편안하다고 말한다.
2) 손상받은 폐쪽을 손으로 받치치 않는다.
3) 폐의 청경방법을 편안히 수행 할 수 있다.
4) 심박수, 호흡수, 혈압이 정상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2.22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43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