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산업의 현주소와 미래전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바이오산업의 현주소와 미래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BT(Bio Technology)산업의 개요
1.1 BT(Bio Technology)산업의 개념
1.2 BT(Bio Technology)산업의 특징
1.3 BT(Bio Technology)산업의 성장과정
1.4 BT(Bio Technology)산업의 응용분야
2.BT(Bio Technology)산업의 응용분야 및 향후전망
2.1 의약(medicine) 및 의료(medical treatment)분야
2.2 농업(agriculture)분야
2.3 환경(environment)분야
2.4 산업(industry)분야
2.5 해양(ocean)분야
3.BT(Bio Technology)산업의 이용기술
3.1 Biopharmaceuticals 생산기술
3.2 Therapeuitic Antibody
3.3 New Drug Discovery/Development
3.4 Genomics/Proteomics/Bioinformatics
3.5 Gene Therapy
3.6 Cell Therapy
3.7 Transgenic Plant/Animal
3.8 Bio 촉매기술
4.BT(Bio Technology)산업의 현황
4.1 국가간 경쟁력 비교
4.2 추진전략 및 집중투자 분야
4.3 정책법규 및 추진기관별 Program
4.4 바이오 관련 예산(연구개발 투자비용)
4.5 기업규모
4.6 국내 BT(Bio Technology)산업의 현 주소
4.7 경쟁력 현황(경쟁력부족원인)

Ⅲ. 결 론

본문내용

으로 해결해 줄 수 있는 \'자연과 조화된 기술\'이며, 에너지 다소비 기술이 아니라 에너지 절약형 기술이 되며, 이제까지 화학공정으로는 불가능했던 여러가지 유용물질을 단일공정으로 생산해 낼 수 있는 새로운 생산 기술로서 그 의미가 부여되고, 오늘날 우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 해결의 관건이 되고 있는 산업이다. 바이오산업의 연구개발은 첨단 산업 중 성장속도가 가장 빠르며 국제적으로 일반화 되어있고 미국, 유럽, 일본 등이 생명공학산업의 연구 및 상업화를 주도하는 국가로 알려져 있다. 21세기는 생명공학의 시대로서 현재는 IT산업의 정보통신부문이 주도하고 있는 현재의 경제가 2020년 정도에는 바이오경제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Fig. 1 바이오산업의 응용범위
참고자료: 7.경기도 바이오산업 육성방안
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나노,IT와의 융합이 용이하며 기술적 난이도가 높아 시장진입이 어렵지만, 일단 시장을 선점하면 독과점 산업이 가능하며 또한 장기간에 걸친 대규모 투자로 위험성이 높고 장기간의 시간을 요하지만 개발된 기술의 복제와 모방이 어려우며 완성품의 특허비중이 높아 시장의 선점 가능성이 크다.



- 21세기를 대표하는 2축의 성장산업
- 막대한 초기투자가 필요하나 일정 궤도진입 후에는 투자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수확체증의 법칙“ 이 적용
-「First Mover」의 이익이 절대적
ㆍTop tier 중심으로 뭉쳐서 과점상태가 됨
- 사업영역이 넓어 Alliance 와 M&A가 필수적
- 기술과 아이디어만으로만 존재하는 소규모 회사가 가능
- 벤처조직에 적합한 사업내용



- Life Cycle상의 위치
ㆍ인터넷산업은 성장기에 돌입
ㆍ바이오산업은 이제 산업화 초기단계
- Life Cycle상의 성숙속도
ㆍ인터넷은 Life cycle 이 짧아서 2010년 이내에 성장속도가 둔화될전망
- 기술속도 및 난이도
ㆍ기술발전속도는 상대적으로 인터넷이 빠르나 기술적 난이도는 바이오쪽이 높아 진입장벽이 높음
- 윤리 및 법규문제
ㆍ바이오산업은 법규에 아주 민감하여 확실한 기술 또는 대비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사업화에 어려움이 있음
참고자료: 2.바이오 테크날리지
생명공학 발전과정상의 공통적인 특징은 첫째, 연구 전문 인력이 풍부한 기존의 산업지역에 직주혼합형으로 발전하며 둘째, 고가의 실험 장비를 포함한 물리적인 시설투자가 필요하다. 셋째, 연구개발비중이 크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전문인력 양성이 불가능하고, 마지막으로 다국적기업과 파트너쉽으로 투자가 추진되기 때문에 다국적 기업의 해외진출 거점은 정보와 지식이 집적된 지역을 우선으로 선정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할때, 바이오산업 육성은 기존의 인프라 구축지역에 추가적인 보완시설을 구비하는 전략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고, 기존의 인력양성이 활발한 지역을 선택해야하며, 연구시설이 집적되어 있고, 연구결과를 상업화할 기업이 필요하며, 장기간 투자할 자본에의 접근성이 유리하며, 파트너쉽이 활발할 수 있고 국제협력 및 정보가 집적된 지역의 요건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지역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1.3 BT(Bio Technology)산업의 성장과정
생명공학기술은 발효 및 육종기술을 바탕으로 포도주, 빵 등을 만드는데 이용되던 전통적 생명공학기술과 유전자 재조합기술, 세포융합기술 등을 이용한 현대적 생명공학기술로 구분하였다. 비약적인 자연과학의 발달에 기인한 자연현상에 대한 이해증가와 왓슨(J.Watson)과 클릭(F.Crick)에 의한 DNA 의 이중나선구조의 규명 (1953년)은 생명현상의 이해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여 현대적 생명공학기술 역사의 기초가 되어 1970년대 후반 유전자 재조합기술과 세포융합기술의 발달로 바이오산업의 현대적 기반이 확립되었으며 재조합 단백질(인슐린)의 등장과 함께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미 FDA 최초승인 1982년)하였다. 유전자 재조합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1980년대를 지나면서 성장호르몬, EPO(Erythropoietin) 등 많은 재조합 바이오 의약품들이 개발, 또한 의약, 식품, 농업분야 뿐만 아니라 환경, 에너지, 해양 등의 영역에서도 생명공학기술의 적용으로 새로운 개념의 제품 및 신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1990년 시작된 인간지놈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의 영향으로 유전자 정보해석 분야의 경쟁이 치열해졌으며, 최근의 추세는 분석기기 및 컴퓨터, 정보기술의 발달 등으로 대표되는 IT(정보통신기술)와 BT(생명공학기술)의 융합기술이다. 융합분야의 급속한 대두는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지노믹스(Genomics),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바이오칩(Bio Chips)등과 같은 신분야를 탄생시켜 2000년대 들어서는 유전자 구조연구를 바탕으로 유전자의 기능을 규명하는 기능유전체학(Functional Genomics)과 개인간 유전자 정보 비교를 통해 생체내 기능차이를 규명하는 비교유전체학(Comparative Genomics)에 대한 연구가 활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인간지놈 연구의 1차 완성 결과(2001.2), 인간의 유전자 수는 3만여개로 추정, 이는 향후 연구의 중심이 유전자의 다기능성 규명과 유전자 발현, 즉 단백질에 대한 연구로 옮겨 갈 것임을 시사한다.이러한 연구결과의 최대의 수혜자는 제약기업이며 이를 바탕으로 바이오 신의약품, 맞춤의약, 암, AIDS와 같은 난치병의 정복, 유전자 치료를 통한 유전적 난치병의 정복 등 지금과는 차원이 다른 새로운 산업으로 도약할 것이다.
년대
생명공학 기술발전
생물산업 발전
특기사항
1900
미생물 순수배양기술
효모 순수 배양에 의한
맥주 생산 (Denmark Carlsberg)
1940
항생물질 탐색기술
페니실린 대량생산
페니실린 발견(1942)
1950
발효기술
신규 항생항암제 생산
1960
생물전환기술
유기산발효산업
아미노산 발효산업
1970
효소공학기술
유전공학기술
공업용/식품용 효소 생산
생물고분자 산업 등장
최초유전자클로닝(1972)
유전공학 모험기업 탄생
(1976)
1980
세포대량배양 기술
바이오리엑터 기술
동식물형질전환 기
  • 가격4,000
  • 페이지수48페이지
  • 등록일2006.12.27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45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