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문제인식
Ⅱ. 본론
1. 대학교 학생들의 의식
2. 대학생들의 정치 ․사회적 무관심의 원인
3. 정치에 대한 무관심의 정치학적 해석
(1) 무관심의 행태와 의미
(2) 정치적 무관심의 결과
Ⅲ. 결론
맺음말
문제인식
Ⅱ. 본론
1. 대학교 학생들의 의식
2. 대학생들의 정치 ․사회적 무관심의 원인
3. 정치에 대한 무관심의 정치학적 해석
(1) 무관심의 행태와 의미
(2) 정치적 무관심의 결과
Ⅲ. 결론
맺음말
본문내용
것이다.
(2) 정치적 무관심의 결과
앞서 정치에 무관심한 이유를 물었을 때의 답변(나 하나쯤 기권하기로서니, 무슨 큰 일이 생길 것인가.)과는 달리 실제 정치에서의 일반 대중의 영향력은 앞서 살펴본바와 같이 크다. 그러면 이와 같은 정치적 무관심은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게 하는 것일까?
우선, 정당정치와 의회정치의 침체 현상을 가져오게 할 위험성이 있다.
둘째, 정치적 부패를 가져올 수 있다. 정치적 부패는 공적인 권력을 사적인 이익의 달성을 위하여 남용하는 데서 생겨지는 것이다. 따라서 공적인 권력이 사회의 소수 특권자들에 의해서 장악되어 자의적으로 행사되는 경우 또는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에 의해서 권력이 보유되고 있는 제도하에서도 만일 그 권력의 행사에 대한 감시가 충분히 행해질 수 있는 보장이 되어 있지 못한 경우에는 정치적 부패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할 것이다.
미국의 밀스는 미국의 일반대중의 무관심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그들은 정치에 대해서 제 3자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들은 급진적인 것도 자유주의적인 것도 아니며, 또한 보수주의적인 것도 반동적인 것도 아니다. 그들은 말하자면 비동적인 것이다. 만일‘천치바보’라는 그리스 말의 어의를 하나의‘사생활 화된 인간’으로 받아들인다면, 미합중국의 시민은 지금 그와 같은 천치바보로써 주로 구성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려야 할 것이다.”
정치이론의 출발은 인간이 모여 사는 데서 왔다. 그러기에 예로부터 사람을 사회적 동물이라고 했던 것이다. 그렇다고 하여 사람이 반드시 정치적 동물일 필요는 없을 뿐 아니라 사실상 정치적 동물이 아닌 인간도 많다. 그러나 이들도 싫든 좋든 간에 정치체계를 완전히 떠나서 생활을 영위하는 것은 대체로 불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맺음말
우리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인터넷, 핸드폰, 신문 등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내용에 너무나 많이 노출되어 있으며, 그러한 피상적인 것들에만 관심을 갖고 살아간다. 또는 자신의 학업이나 취업 등 개인의 이익에 관련된 것들에 온 정신을 쏟아버린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것들과 같이 개개인들 자신의 경제적, 또는 일상생활에서의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에 대한 무관심으로 자신들의 권리를 묵인하는 행동을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예전에는 대학생이라는 신분만으로도 지식인이라 불렸었지만 지금은 대졸이 평균학력이 되어버려 대학생을 지식인이라고 하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 경희대학교 학생들은 예전과 같은 의미의 지식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지식인들이 자신의 권리를 찾지 못하고 극단적일경우에는 일부 사욕을 위한 정치인들의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자신의 생각을 당당히 표현할 줄 알고 자신의 권리를 당당히 행사 할 수 있는 그런 주체적인 대학생이 되고, 그러한 대학생 문화를 만들 수 있는 자질을 가졌으면 한다.
<참고문헌>
①김명기김운태 공저, 1994, [정치학개론], 한국방송대출판부
②김영국박영사, 1994, [정치학개론]
③이극력, 1993, [정치학개론], 법문사
④이정식, 1993, [정치학개론], 대왕사
⑤노동일, 1991, [정치학개론], 법문사
⑥백상건, 1990, [정치학방법론], 박영사
⑦노컷뉴스 김지윤/이선우/최인수/송영 대학생 인턴기자 “대학생, 왜 투표 안할까…개인주의 · 정치 냉소주의 산물” CBC노켓뉴스
http://www.cbs.co.kr/Nocut/Show.asp?IDX=238033
⑧정치참여와 정치적 무관심의 개념과 특징을 비교
http://cafe.naver.com/reportdamo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4
(2) 정치적 무관심의 결과
앞서 정치에 무관심한 이유를 물었을 때의 답변(나 하나쯤 기권하기로서니, 무슨 큰 일이 생길 것인가.)과는 달리 실제 정치에서의 일반 대중의 영향력은 앞서 살펴본바와 같이 크다. 그러면 이와 같은 정치적 무관심은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게 하는 것일까?
우선, 정당정치와 의회정치의 침체 현상을 가져오게 할 위험성이 있다.
둘째, 정치적 부패를 가져올 수 있다. 정치적 부패는 공적인 권력을 사적인 이익의 달성을 위하여 남용하는 데서 생겨지는 것이다. 따라서 공적인 권력이 사회의 소수 특권자들에 의해서 장악되어 자의적으로 행사되는 경우 또는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에 의해서 권력이 보유되고 있는 제도하에서도 만일 그 권력의 행사에 대한 감시가 충분히 행해질 수 있는 보장이 되어 있지 못한 경우에는 정치적 부패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할 것이다.
미국의 밀스는 미국의 일반대중의 무관심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그들은 정치에 대해서 제 3자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들은 급진적인 것도 자유주의적인 것도 아니며, 또한 보수주의적인 것도 반동적인 것도 아니다. 그들은 말하자면 비동적인 것이다. 만일‘천치바보’라는 그리스 말의 어의를 하나의‘사생활 화된 인간’으로 받아들인다면, 미합중국의 시민은 지금 그와 같은 천치바보로써 주로 구성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려야 할 것이다.”
정치이론의 출발은 인간이 모여 사는 데서 왔다. 그러기에 예로부터 사람을 사회적 동물이라고 했던 것이다. 그렇다고 하여 사람이 반드시 정치적 동물일 필요는 없을 뿐 아니라 사실상 정치적 동물이 아닌 인간도 많다. 그러나 이들도 싫든 좋든 간에 정치체계를 완전히 떠나서 생활을 영위하는 것은 대체로 불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맺음말
우리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인터넷, 핸드폰, 신문 등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내용에 너무나 많이 노출되어 있으며, 그러한 피상적인 것들에만 관심을 갖고 살아간다. 또는 자신의 학업이나 취업 등 개인의 이익에 관련된 것들에 온 정신을 쏟아버린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것들과 같이 개개인들 자신의 경제적, 또는 일상생활에서의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에 대한 무관심으로 자신들의 권리를 묵인하는 행동을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예전에는 대학생이라는 신분만으로도 지식인이라 불렸었지만 지금은 대졸이 평균학력이 되어버려 대학생을 지식인이라고 하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 경희대학교 학생들은 예전과 같은 의미의 지식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지식인들이 자신의 권리를 찾지 못하고 극단적일경우에는 일부 사욕을 위한 정치인들의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자신의 생각을 당당히 표현할 줄 알고 자신의 권리를 당당히 행사 할 수 있는 그런 주체적인 대학생이 되고, 그러한 대학생 문화를 만들 수 있는 자질을 가졌으면 한다.
<참고문헌>
①김명기김운태 공저, 1994, [정치학개론], 한국방송대출판부
②김영국박영사, 1994, [정치학개론]
③이극력, 1993, [정치학개론], 법문사
④이정식, 1993, [정치학개론], 대왕사
⑤노동일, 1991, [정치학개론], 법문사
⑥백상건, 1990, [정치학방법론], 박영사
⑦노컷뉴스 김지윤/이선우/최인수/송영 대학생 인턴기자 “대학생, 왜 투표 안할까…개인주의 · 정치 냉소주의 산물” CBC노켓뉴스
http://www.cbs.co.kr/Nocut/Show.asp?IDX=238033
⑧정치참여와 정치적 무관심의 개념과 특징을 비교
http://cafe.naver.com/reportdamo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4
키워드
추천자료
중동 여성의 사회적 지위.
5장 교육의 사회적 기초 요약
유아의 사회화 이론과 사회적기술을 기를 수 있는 방안
예술의 사회적 기능은 무엇인가
부모교육중 Erikson의 심리사회적 성격발달 8단계를 서술하시오
영국의 사회적 자유주의 -종교적 대립양상을 중심으로-
중세 귀족 부인의 사회적 역할
결혼한 이주여성의 심리, 사회적 기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중국의사회와문화 A형] 전통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어떻...
우리 시대가 필요로하는 노인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중국의사회와문화 B형) 195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어떻게 변해왔...
성,사랑,사회=여성들의 몸에 가해지는 억압이나 사회적 통제 중에서, 과학과 의료의 이름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