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틀맘이 생기는 원인과 문제점에 대한 대안제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리틀맘이 생기는 원인과 문제점에 대한 대안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1. 리틀맘의 정의
2. 연구동기

Ⅱ. 본론
1. 리틀맘이 생기는 원인
2. 리틀맘 영상과 그 줄거리
3. 리틀맘으로서 살아가는 삶의 문제점, 어려움
4. 대중매체속의 리틀맘
5. 청소년기의 발달, 심리에 미치는 영향
6. 원인과 문제점에 대한 대안제시

Ⅲ. 맺음말

본문내용

틀맘 역시 사회복지망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음을 반영한다.
4. 대중매체 속의 리틀맘
(1)리틀맘에 대한 언론의 미화
네티즌 \'\'언XXX\'\'는 \"저또한 생명을 소중희 여겨야 한다고 여기긴 하지만 지금 저런 일들을 너무 미화하는 느낌이네요. 자꾸 이런 일들을 보도하고 좋은 쪽으로 보여지면 저런 일들이 아무렇지 않은... 조금 이르긴 하지만 나쁜 일이 아닌 것 같은 생각을 하게 만드네요.\" 라며 언론에서 리틀맘을 너무 좋게 미화시키는 것은 아닌지, 그리고 그 영향으로 인해 청소년들이 성관계에 대한 경각심을 잃는 것은 아닌지 걱정했다
- 임신, 출산 격려 가능성
Case1)
사실상 이 영화감독의 의도는 이러하다
\"영화를 통하여 우리나라 현실에서 존재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임신과 성윤리에 대해
관심을 갖고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키고자 합니다.\"
그러나 상영이 되기도 전에 내용이 불건전하다는 이유로 네티즌들 사이에서 상영금지서명 운동이 일어났다. 이유는
△ 청소년들에게 성윤리적인 혼란을 가져다 줄 것이다
△ 청소년들에게 임신, 출산을 권장하는 영화다
△ 청소년 임신에 대해 미화시킬 우려가 있다 등이었다.
△ 그렇게 중3때 임신해가지고 남편 엄마가 얘 지우라고 할까봐 남편이랑 도망 왔대요.
자기 말로는 영화 제니주노 보니까 행복하고 잘 살더라 면서..
참;; 어리긴 어리더군요.
Case2) < SBS TV\'김미화의 U\' 프로그램, 리틀맘 이주영(18)씨 소개 >
지난 30일 16세에 원치 않는 임신을 해 딸을 낳아 기르고 있는 리틀맘 이주영(18)씨를 소개했다. 그날 방송은 인물 코너였던 만큼 이씨가 잘했다, 잘못했다는 차원이 아니라 어떤 생각으로 아이를 낳았는지, 어떻게 생활하는지를 들어보는 게 초점이었다”며 “이씨 이야기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또 미혼모에 대한 대안 제시 없이 흥미 위주로 방송을 내보냈다는 지적에 대해
“다음날(31일) 방송에서는 낙태와 성교육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다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시청자들의 의견은 달랐다. 방송 뒤 시청자 게시판에는
“10대에 실수로 임신한 미혼모를 마치 스타처럼 추켜세웠다”는 비난의 글이 잇따랐다.
△\'tiders79’는 “16살에 임신한 사람이 뭐가 대단하다고 방송에 나오나.”
“아이들이 방송을 보고 무엇을 배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buppy74’는 “방송이 청소년을 되레 부추기는 것 같아 걱정 된다”
△‘loving9431’는 “제작진은 이씨를 방송에 출연시켜 무엇을 얻고자 했는지 모르겠다.\'
(2) 성공적인 모델의 역할
이런 모델설정이 언제나 부정적인 것만은 아닌데, 미혼모의 낙태비율이 1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는 현실에서, 성공적인 리틀맘의 모델은 다른 10대 임신 청소년들로 하여금 “나도 저렇게 아이를 잘 키울 수 있을 거야.” 라고 생각하게 해줌으로써, 낙태라는 비극적인 선택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5. 청소년기의 발달, 심리에 미치는 영향
(1) 신체적 영향
- 이른 시기의 출산은 산모와 태아의 몸에 해로울 수 있다.
: 미혼모들은 임신 중에 고혈압이나 빈혈같은 합병증을 앓을 가능성이 높으며 10대 미혼모가 낳은 아이는 저 체중, 정신지체, 선천성 기형이 될 확률이 높다
10대 미혼모의 문제는 장애아를 낳을 확률이 매우 높다. 이에 대한 공식 통계는 없지만 입양기관이나 미혼모 보호시설에서는 10대 미혼모의 장애아동 출산율이 50% 이상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신체적 미성숙과 임신 및 출산에 대한 지식 부족, 심리적 불안감, 약물 오·남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2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내에서 해외로 입양된 어린이는 1998년 2,443명, 99년 2,409명, 2000년 2,360명 등으로 여전히 줄지 않고 있다. 이 중 장애아는 98년 917명(37.5%)으로 가장 많고 99년과 2000년에도 각각 825명(34.2%)과 634명(26.8%)에 달했다. 홀트아동복지회의 지난해 미혼모 상담건수(1,452건) 가운데 10대는 895명으로 62%를 차지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해외로 입양되는 장애아 대부분이 10대 미혼모의 자녀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지난달 초 만삭의 몸으로 홀트아동복지회를 찾은 여고 중퇴생 김모양(18)은 얼마전 미숙아에 \'복벽균열\'(배가 터져 장기가 밖으로 나온 채 태어나는 것) 장애아동을 출산했다. 남자친구와의 성관계로 임신한 뒤에도 술과 담배를 입에 대온 것으로 밝혀졌다.
복지회 상담과 이승하씨는 \"출생 직후 장애와 관리 부족에 따른 사후 장애를 합치면 10대의 장애아 출산율은 50∼60%에 이를 것\"이라고 말했다. 산부인과 전문의들도 18세 이하 출산은 위험하며 유산.조산율이 높고 미숙아를 낳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다.
한양대병원 박문일 교수는 \"10대의 장애아 출산율이 높은 것은 생식기관이 미성숙한 데다 미혼모 대다수가 술.담배에 노출돼 있으며 낙태를 시도하면서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서울 은평구 은혜산부인과 장부용 원장은 \"임신으로 인한 심리적인 충격과 불안감, 그리고 영양부족도 기형아 출산을 높인다.\"고 말했다.
-태교의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 임신을 알게 된 시기에 대해 이루어진 한 설문조사에서, 임신 3~4개월이 지나서 임신사실을 알게 되는 미혼모가 가장 많았다. 전체 응답자 203명 중 76명로 37.4%를 차지했고, 임신 5~7개월이 지나 임신사실을 안 미혼모가 63명으로 31.0%차지했다. 임신 2개월전에는 27.1%, 임신 8~10개월이 되어서야 임신 사실을 안 미혼모도 9명이나 있었다.
리틀맘의 아이에게 보내는 편지 중.
아가...널보낸지도..벌써..4개월이..다되어..가는구나...
널보낸..그날..2005년1월29일...엄만..잊을수없어...
널보낸마음..널보내야만..햇던..엄마의..아픔...정말이지..잊기힘들어..
그래서..아직두 벌받나봐..
엄마..널..절대..잊지못할꺼야...
너가..잇는줄알앗으면...아파도..약도안먹고...술도안먹고...그랫을껀데..
넌...엄마한테..잇다가..신호를보내지...
9주가되도..10주가..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6.12.29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53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