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외부적 요소에 달려 있다는 논리로 환원되어 피식민 사회내이 자체적 근대성을 왜소화시켜 버리기 때문이다.
(2) 4분법의 실제
■ 르네상스의 새로운 시대로서의 의미도 살리고 현재 사회의 보다 직접적인 기원으로서의 의미는 딴 곳에서 찾는 방안으로 나타난 것이 4분법이다. 시대 명칭도 고대 - 중세 - 근세 - 최근세라고 표현하게 되었다. 4분법에 의한 각 시대의 종말과 시작 - 서양의 경우에는 르네상스를 경계로 중세의 종말과 근세의 시작으로 삼게 되었다. 한편 근세의 종말과 최근세의 시작에 대해서는 보통 1789년이 프랑스대혁명으로 보고 있다. 근대국가의 수립과 기계의 발명, 생산력의 변화가 인간의 의식과 생활을 크게 변화시켰다고 본다. 한국사의 경우에는 고려의 멸망으로 중세가 종말을 고하고 조선을 근세로 구분하게 되었다. 일본사의 경우에는 마지막 도쿠가와 바쿠후와 그 이전 2차례 바쿠후의 단절성에 무게를 두어, 도쿠가와 바쿠후를 근세로 구분하게 되었다. 중국사의 경우 한 왕조의 멸망으로 고대가 종말을 고하고 중세가 시작된다고 본다. 또한 당 왕조의 멸망 송 왕조의 수립을 중세의 종말, 근세의 시작으로 보았다. 4분법은 단절성을 살리면서 한편으로 오늘날 사회의 직접적 기원으로 보는 데서 보다 자유로울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3) 현대
■ 현대사는 바로 오늘날의 시대 자체이다. 현대의 기점은 유럽 중심주의의 종식과 미국의 등장, 러시아 혁명을 분수령으로 1차 세계대전을 그 기점으로 삼는다. 우리나라는 보통 1945년의 광복을, 일본은 1945년 패전을, 중국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을 현대
(2) 4분법의 실제
■ 르네상스의 새로운 시대로서의 의미도 살리고 현재 사회의 보다 직접적인 기원으로서의 의미는 딴 곳에서 찾는 방안으로 나타난 것이 4분법이다. 시대 명칭도 고대 - 중세 - 근세 - 최근세라고 표현하게 되었다. 4분법에 의한 각 시대의 종말과 시작 - 서양의 경우에는 르네상스를 경계로 중세의 종말과 근세의 시작으로 삼게 되었다. 한편 근세의 종말과 최근세의 시작에 대해서는 보통 1789년이 프랑스대혁명으로 보고 있다. 근대국가의 수립과 기계의 발명, 생산력의 변화가 인간의 의식과 생활을 크게 변화시켰다고 본다. 한국사의 경우에는 고려의 멸망으로 중세가 종말을 고하고 조선을 근세로 구분하게 되었다. 일본사의 경우에는 마지막 도쿠가와 바쿠후와 그 이전 2차례 바쿠후의 단절성에 무게를 두어, 도쿠가와 바쿠후를 근세로 구분하게 되었다. 중국사의 경우 한 왕조의 멸망으로 고대가 종말을 고하고 중세가 시작된다고 본다. 또한 당 왕조의 멸망 송 왕조의 수립을 중세의 종말, 근세의 시작으로 보았다. 4분법은 단절성을 살리면서 한편으로 오늘날 사회의 직접적 기원으로 보는 데서 보다 자유로울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3) 현대
■ 현대사는 바로 오늘날의 시대 자체이다. 현대의 기점은 유럽 중심주의의 종식과 미국의 등장, 러시아 혁명을 분수령으로 1차 세계대전을 그 기점으로 삼는다. 우리나라는 보통 1945년의 광복을, 일본은 1945년 패전을, 중국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을 현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