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1. 단 원 명 : 농구
2. 단원의 개관
3. 교수 - 학습 목표
4. 단원의 발전 계통
5. 단원의 내용
6 지도상의 유의점
7 단원의 학습 및 지도 계획
8. 본시학습지도안
9. 수행평가기준안
2. 단원의 개관
3. 교수 - 학습 목표
4. 단원의 발전 계통
5. 단원의 내용
6 지도상의 유의점
7 단원의 학습 및 지도 계획
8. 본시학습지도안
9. 수행평가기준안
본문내용
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옮겨 상대편의 방어를 벗어나 드리블 슛, 패스를 연결시키는 연습이다.
3. 투 스텝 피벗
투 스텝으로 뛰어가면서 볼을 캐치하고 두번째 발로 멈추는 연습으로 점프 후 먼저 디딘 발로 전후좌우 방향으로 다리와 중심을 이동시킨다.
4. 대인피벗
방어자를 앞에 두고 한 발을 축으로 다른 발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옮겨 상대편의 방어를 벗어나 드리블 슛, 패스 등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습한다.
(부록-9) 학습내용 정리
1. 공을 잡고 있을 때 방어자가 공을 뺏으려 하면 발이 옮겨지는 쪽으로 몸의 중심을 두고 피벗을 한다.
2. 워킹 바이얼레이션이 되지 않으려면 자세를 낮추고 몸의 중심을 안정시킨다.
3. 피벗을 할 때 몸의 중심은 발이 옮겨지는 쪽으로 한다.
(부록-10) 형성평가
1. 원 스텝 피벗의 사용시기를 설명하시오 ?
2. 투 스텝 피벗의 사용시기를 설명하시오 ?
3. 대인피벗의 사용시기를 설명하시오 ?
◈ 교수 - 학습 지도안 ◈
소단원명
드 리 블
차시
5/15
학습자료
농구공
학습목표
드리블을 바르게 할 수 있다.
단계
(분)
학 습
흐름도
수 준 별 교 수 - 학 습 과 정
지도방법
및
유의사항
교사활동
학생활동
도입
(10)
시 작
출석점검
스트레칭 지도
학습목표제시
학습방법 안내
4오 횡대로 집합
스트레칭체조
본시학습 숙지
경청
학습목표인지
전개
(30)
동기
유발
드리블은 어느 때 하는가 ?
드리블은 어떻게 하는가 ?
교사의 질문을 듣고 상상해 본다.
학습 동기 유발
호기심 유발
조별
학습
조별순회지도 (부록-11참조)
1. 오른(왼)손 감각 드리블
학생들로 하여금 제일 잘하는 학생을 뽑도록 하고 시범지도를 받는다.
잘하는 학생의 시범을 보고 장단점을 분석하여 내것으로 소화시킨다.
2. 한 박자 투 드리블(두 번 따닥 드리블) - 오른손, 왼손
3. 왼(오른)발 앞에 놓고 오른(왼)손으로 밀고 끌기
평 가
학습내용 정리 (부록-12참조)
질 문 (부록-13참조)
교사의 설명을 듣는다
응답
형성평가
정리
(5)
스트레칭, 정리운동
차시예고
기구정리, 청결지도
각 근육을 풀어준다.
경청숙지
기구정리정돈
몸의 긴장을 푼다.
(부록-11) 학습내용 : 드 리 블
1. 드리블
가. 농구 기능 가운데에서 패스와 함께 공을 앞으로 전진시키는 중요한 기술이다.
나. 드리블을 적절하게 사용할 때에는 공격력을 크게 발휘할 수 있지만, 과용하면 팀 플레이를 파괴하는 원인 되기도 한다. 다시 말하면 패스가 불가능하거나 패스의 기회를 얻고자 할 때, 공을 튀기면서 안전하게 공을 보유하는 기술이다.
나. 낮은 드리블 : 방어자가 공을 빼앗으려고 손을 낼 때나 방어자를 피하여 골로 향할 때 또는 밀집지대에서 흔히 쓰이는 것이다. 무릎을 굽히고 허리를 낮추지만 윗몸은 숙이지 않아야 한다.
다. 높은 드리블 : 속공할 때에 루스 볼을 잡거나 인터셉터 한 후에 곧바로 골로 돌진해 들어갈 때에 쓰인다.
2. 감각드리블
손가락을 넓게 벌려 공과 손가락의 마찰을 크게 얻어, 어깨를 축으로 공의 탄력에 따라 공과 손가락이 자석처럼 붙어 있는 듯하게 손목의 감각을 익힌다.
3. 한 박자 투 드리블(따닥 드리블)
공의 리듬에 따라 한 박자에 빠르게 두 번 드리블을 실시한다.
4. 전 후 드리블
한 발을 딛고 약간 굽혀(중심이 앞에 70%) 한 손으로 공을 튕겨 뒤쪽으로 끌어 공의 탄력이 떨어지는 순간에 손가락을 받쳐 손가락으로 공을 회전시키며 튕겨 앞으로 밀어낸다.
(부록-12) 학습내용 정리
1. 손가락을 크게 벌려 손가락으로 드리블을 하는 것은 마찰력을 크게 얻기 위한 것이다.
2. 드리블은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3. 드리블은 어깨를 축으로 공의 리듬에 따라 손목과 팔을 이용한다.
(부록-13) 형성평가
1. 드리블을 사용하는 시기는 언제 인가요 ?
◈ 교수 - 학습 지도안 ◈
소단원명
드 리 블
차시
6/15
학습자료
농구공
학습목표
드리블을 바르게 할 수 있다.
단계
(분)
학 습
흐름도
수 준 별 교 수 - 학 습 과 정
지도방법
및
유의사항
교사활동
학생활동
도입
(10)
시 작
출석점검
스트레칭 지도
학습목표제시
학습방법 안내
4오 횡대로 집합
스트레칭체조
본시학습 숙지
경청
학습목표인지
전개
(30)
동기
유발
왼손, 오른손 체인지 드리블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
이동하며 체인지 드리블을 하려면 발의 스텝과 방향은 어떻게 해야 효과적인가 ?
교사의 질문을 듣고 상상해 본다.
학습동기 유발
호기심 유발
문제의식 고취
조별
학습
조별순회지도 (부록-14참조)
1. 오른(왼)발 앞에 놓고 양손 체인지 드리블
학생들로 하여금 제일 잘하는 학생을 뽑도록 하고 시범지도를 받는다.
잘하는 학생의 시범을 보고 장단점을 분석하여 내것으로 소화시킨다.
2. 오른(왼)발 앞에 놓고 좌우뒤로 체인지 드리블
3. 양발 11자로 놓고 좌우로 체인지 드리블
4. 이동하며 체인지 드리블
평 가
학습내용 정리 (부록-15참조)
질 문 (부록-16참조)
교사의 설명을 듣는다
응답
형성평가
정리
(5)
스트레칭, 정리운동
차시예고
기구정리, 청결지도
각 근육을 풀어준다.
경청숙지
기구 정리정돈
몸의 긴장을 푼다.
(부록-14) 학습내용 : 드 리 블
1. 체인지 드리블
한 발을 앞으로 딛고 약간 굽혀(중심이 70%) 한 손으로 공을 뒤쪽으로 끌어 공의 탄력이 떨어지는 순간에 손가락을 받쳐 손가락으로 공을 회전시키며 바운드 시켜 앞쪽으로 밀어낸다. 이 때 손가락이 공에 자석처럼 밀착되어 같이 이동해야 한다. 앞쪽으로 이동하는 공이 탄력이 떨어지려는 순간 반대쪽으로 손가락을 깊게 넣어 뒤쪽으로 바운드시켜 끌어 반대손으로 드리블 한다.
2. 이동 체인지 드리블
투 스텝으로 45°비껴 앞으로 다리를 디디며 무릎을 약간 굽혀(중심이 70%) 한 손으로 공을 안쪽다리 발오금옆에서 바운딩 시켜 밀어 무릎앞에서 공의 탄력이 떨어지는 순간에 공의 반대방향에 손가락을 받치며 동시에 반대쪽으로 투 스텝을 밟아 바운딩시켜 몸을 틀며 공을 끌어 당긴다. 이 때 손가락이 공에 자석처럼
3. 투 스텝 피벗
투 스텝으로 뛰어가면서 볼을 캐치하고 두번째 발로 멈추는 연습으로 점프 후 먼저 디딘 발로 전후좌우 방향으로 다리와 중심을 이동시킨다.
4. 대인피벗
방어자를 앞에 두고 한 발을 축으로 다른 발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옮겨 상대편의 방어를 벗어나 드리블 슛, 패스 등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습한다.
(부록-9) 학습내용 정리
1. 공을 잡고 있을 때 방어자가 공을 뺏으려 하면 발이 옮겨지는 쪽으로 몸의 중심을 두고 피벗을 한다.
2. 워킹 바이얼레이션이 되지 않으려면 자세를 낮추고 몸의 중심을 안정시킨다.
3. 피벗을 할 때 몸의 중심은 발이 옮겨지는 쪽으로 한다.
(부록-10) 형성평가
1. 원 스텝 피벗의 사용시기를 설명하시오 ?
2. 투 스텝 피벗의 사용시기를 설명하시오 ?
3. 대인피벗의 사용시기를 설명하시오 ?
◈ 교수 - 학습 지도안 ◈
소단원명
드 리 블
차시
5/15
학습자료
농구공
학습목표
드리블을 바르게 할 수 있다.
단계
(분)
학 습
흐름도
수 준 별 교 수 - 학 습 과 정
지도방법
및
유의사항
교사활동
학생활동
도입
(10)
시 작
출석점검
스트레칭 지도
학습목표제시
학습방법 안내
4오 횡대로 집합
스트레칭체조
본시학습 숙지
경청
학습목표인지
전개
(30)
동기
유발
드리블은 어느 때 하는가 ?
드리블은 어떻게 하는가 ?
교사의 질문을 듣고 상상해 본다.
학습 동기 유발
호기심 유발
조별
학습
조별순회지도 (부록-11참조)
1. 오른(왼)손 감각 드리블
학생들로 하여금 제일 잘하는 학생을 뽑도록 하고 시범지도를 받는다.
잘하는 학생의 시범을 보고 장단점을 분석하여 내것으로 소화시킨다.
2. 한 박자 투 드리블(두 번 따닥 드리블) - 오른손, 왼손
3. 왼(오른)발 앞에 놓고 오른(왼)손으로 밀고 끌기
평 가
학습내용 정리 (부록-12참조)
질 문 (부록-13참조)
교사의 설명을 듣는다
응답
형성평가
정리
(5)
스트레칭, 정리운동
차시예고
기구정리, 청결지도
각 근육을 풀어준다.
경청숙지
기구정리정돈
몸의 긴장을 푼다.
(부록-11) 학습내용 : 드 리 블
1. 드리블
가. 농구 기능 가운데에서 패스와 함께 공을 앞으로 전진시키는 중요한 기술이다.
나. 드리블을 적절하게 사용할 때에는 공격력을 크게 발휘할 수 있지만, 과용하면 팀 플레이를 파괴하는 원인 되기도 한다. 다시 말하면 패스가 불가능하거나 패스의 기회를 얻고자 할 때, 공을 튀기면서 안전하게 공을 보유하는 기술이다.
나. 낮은 드리블 : 방어자가 공을 빼앗으려고 손을 낼 때나 방어자를 피하여 골로 향할 때 또는 밀집지대에서 흔히 쓰이는 것이다. 무릎을 굽히고 허리를 낮추지만 윗몸은 숙이지 않아야 한다.
다. 높은 드리블 : 속공할 때에 루스 볼을 잡거나 인터셉터 한 후에 곧바로 골로 돌진해 들어갈 때에 쓰인다.
2. 감각드리블
손가락을 넓게 벌려 공과 손가락의 마찰을 크게 얻어, 어깨를 축으로 공의 탄력에 따라 공과 손가락이 자석처럼 붙어 있는 듯하게 손목의 감각을 익힌다.
3. 한 박자 투 드리블(따닥 드리블)
공의 리듬에 따라 한 박자에 빠르게 두 번 드리블을 실시한다.
4. 전 후 드리블
한 발을 딛고 약간 굽혀(중심이 앞에 70%) 한 손으로 공을 튕겨 뒤쪽으로 끌어 공의 탄력이 떨어지는 순간에 손가락을 받쳐 손가락으로 공을 회전시키며 튕겨 앞으로 밀어낸다.
(부록-12) 학습내용 정리
1. 손가락을 크게 벌려 손가락으로 드리블을 하는 것은 마찰력을 크게 얻기 위한 것이다.
2. 드리블은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3. 드리블은 어깨를 축으로 공의 리듬에 따라 손목과 팔을 이용한다.
(부록-13) 형성평가
1. 드리블을 사용하는 시기는 언제 인가요 ?
◈ 교수 - 학습 지도안 ◈
소단원명
드 리 블
차시
6/15
학습자료
농구공
학습목표
드리블을 바르게 할 수 있다.
단계
(분)
학 습
흐름도
수 준 별 교 수 - 학 습 과 정
지도방법
및
유의사항
교사활동
학생활동
도입
(10)
시 작
출석점검
스트레칭 지도
학습목표제시
학습방법 안내
4오 횡대로 집합
스트레칭체조
본시학습 숙지
경청
학습목표인지
전개
(30)
동기
유발
왼손, 오른손 체인지 드리블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
이동하며 체인지 드리블을 하려면 발의 스텝과 방향은 어떻게 해야 효과적인가 ?
교사의 질문을 듣고 상상해 본다.
학습동기 유발
호기심 유발
문제의식 고취
조별
학습
조별순회지도 (부록-14참조)
1. 오른(왼)발 앞에 놓고 양손 체인지 드리블
학생들로 하여금 제일 잘하는 학생을 뽑도록 하고 시범지도를 받는다.
잘하는 학생의 시범을 보고 장단점을 분석하여 내것으로 소화시킨다.
2. 오른(왼)발 앞에 놓고 좌우뒤로 체인지 드리블
3. 양발 11자로 놓고 좌우로 체인지 드리블
4. 이동하며 체인지 드리블
평 가
학습내용 정리 (부록-15참조)
질 문 (부록-16참조)
교사의 설명을 듣는다
응답
형성평가
정리
(5)
스트레칭, 정리운동
차시예고
기구정리, 청결지도
각 근육을 풀어준다.
경청숙지
기구 정리정돈
몸의 긴장을 푼다.
(부록-14) 학습내용 : 드 리 블
1. 체인지 드리블
한 발을 앞으로 딛고 약간 굽혀(중심이 70%) 한 손으로 공을 뒤쪽으로 끌어 공의 탄력이 떨어지는 순간에 손가락을 받쳐 손가락으로 공을 회전시키며 바운드 시켜 앞쪽으로 밀어낸다. 이 때 손가락이 공에 자석처럼 밀착되어 같이 이동해야 한다. 앞쪽으로 이동하는 공이 탄력이 떨어지려는 순간 반대쪽으로 손가락을 깊게 넣어 뒤쪽으로 바운드시켜 끌어 반대손으로 드리블 한다.
2. 이동 체인지 드리블
투 스텝으로 45°비껴 앞으로 다리를 디디며 무릎을 약간 굽혀(중심이 70%) 한 손으로 공을 안쪽다리 발오금옆에서 바운딩 시켜 밀어 무릎앞에서 공의 탄력이 떨어지는 순간에 공의 반대방향에 손가락을 받치며 동시에 반대쪽으로 투 스텝을 밟아 바운딩시켜 몸을 틀며 공을 끌어 당긴다. 이 때 손가락이 공에 자석처럼
추천자료
문화적 측면에서 연고제
[레저스포츠] 레크레이션 258가지
코치카터 감상문
농기구 조사하기
[사회과학] 레크레이션 모음
야외놀이 및 게임 지도안
text를 통한 화용전략 분석 - 슬램덩크 23~24권
배구의 기술과 규칙 및 배구의 특성과 효과
기관분석보고서[청소년회관]_사회복지 기관실습일지,종결보고서,사회복지실습보고서,청소년복...
교육평기[ppt] 수행평가,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지구의 자전과 해의 뜨고 짐의 실험보고서
[홍보마케팅][PR마케팅][홍보]홍보마케팅(PR마케팅)의 정의, 홍보마케팅(PR마케팅)의 성공요...
인터넷 상에서 의견지도자가 존재하는가에 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