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실패하면 이상적 정서에 반하는 부정적 정서가 대신 발달하게 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프로이드가 초기 즉 아동기의 경험을 중시한데 반해 에릭슨은 평생 발달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프로이드롸 신프로이드 모두 창의성을 강조하였다. 프로이드는 방어기제의 하나인 승화 현상을 창의성이라 하였고 신프로이드 학파의 빅터 로웬필드는 정서적 배출구라고 하였다. 둘 다 창의성이 정서적 긴장의 해소하는데서 생겨난다고 본 것이다. 21세기 창의성의 강조되는 현 교육에서 정신분석학의 창의성 강조는 큰 의미를 가지는 것 같다. 이밖에 신프로이드 학자인 흐랭크는 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놀이가 억압된 정서를 표현하는 수단이 되며 놀이를 통해 자아를 볼 수 있고 성장할 수 있다고 한 점등이 프로이드 사상과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추천자료
(프로이드)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의 내용과 사회복지적 적용
[사회복지]프로이드, 에릭슨, 융의 이론비교 (정신분석,자아심리,분석심리 이론)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과 스키너행동주의이론
2010년 2학기 정신건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방어기제)
프로이드학파와 후기 프로이드학파를 비교 중심으로 정신분석이론을 정리(인행사)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의정신분석입문을읽고
2011년 2학기 정신건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프로이드의정신분석이론과방어기제)
2012년 2학기 정신건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프로이드의정신분석이론과방어기제)
정신분석이론인 프로이드의 이론과 에릭슨의 이론을 비교하여 서술
2013년 2학기 정신건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방어기제)
인간행동과사회환경3E) 프로이트(프로이드/Freud) 정신분석이론과 융(Jung)의 분석심리학의 ...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와 에릭슨(Erikson) :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