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目 次
1. 序 論
2. 本 論
1) 編 撰 背 景
2) 編 撰 者 理 解
3) 構 成 및 內 容
4) 歷 史 的 意 義
3. 結 論
1. 序 論
2. 本 論
1) 編 撰 背 景
2) 編 撰 者 理 解
3) 構 成 및 內 容
4) 歷 史 的 意 義
3. 結 論
본문내용
中心으로 三國의 歷史를 보려는 면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三國史記가 中國 史料에 크게 依存하고 있다는 점, 中國의 文化를 韓國 文化의 模範으로 보고 있다는 점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政治人의 한 사람이었던 金富軾이 歷史를 編撰함에 있어서 당 시대가 拒否하고 否定하는 思想이나 事實까지도 적나라하게 敍述했을 것인가 라는 疑心과 單純한 歷史書가 아닌 政治的 敎科書化 하려했던 歷史書라는 점 또 한 가지 貴族 社會 體制속에서 貴族으로서 平民에 대한 歷史 認識을 어떻게 했을까 하는 意識을 가지고 三國史記를 理解해야 한다는 것이다.
三國遺事는 三國史記에 編되지 않은 三國의 國民 生活을 記錄하기도 하였으나 僧侶라는 編撰者의 身分과 環暻에 따라 新羅 中心, 佛敎 中心등이 되어 北方 系統의 歷史 敍述이 소홀한 점과 史官이 아닌 身分으로 이 책을 著述함에 있어 더러는 引用書와 그 內容이 같지 않거나 잘못 전해져 내려 오는 것을 그대로 수집, 수록한 것 등은 현재 古代史 硏究의 明確性을 沮害하는 要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古代史 硏究의 基本 史書로서 雙璧을 이루고 있는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의 價値는 高麗 以後 編撰 되는 史書의 貴重한 礎石이 되었다는 것이다.
三國遺事는 三國史記에 編되지 않은 三國의 國民 生活을 記錄하기도 하였으나 僧侶라는 編撰者의 身分과 環暻에 따라 新羅 中心, 佛敎 中心등이 되어 北方 系統의 歷史 敍述이 소홀한 점과 史官이 아닌 身分으로 이 책을 著述함에 있어 더러는 引用書와 그 內容이 같지 않거나 잘못 전해져 내려 오는 것을 그대로 수집, 수록한 것 등은 현재 古代史 硏究의 明確性을 沮害하는 要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古代史 硏究의 基本 史書로서 雙璧을 이루고 있는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의 價値는 高麗 以後 編撰 되는 史書의 貴重한 礎石이 되었다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