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백화점의 등장 및 유래
한국 백화점의 문화컨텐츠
국내 백화점의 현황
대형할인마트의 틈새시장 공략
쇼핑몰의 등장
비보이 힙합그룹 리버스와 김제동
맺음말
한국 백화점의 문화컨텐츠
국내 백화점의 현황
대형할인마트의 틈새시장 공략
쇼핑몰의 등장
비보이 힙합그룹 리버스와 김제동
맺음말
본문내용
특정 부류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고 다양한 코드를 지닌 사람들이 어떤 본질적인 것에 서로간 호흡이 같아지고 같은 생각을 하고 있어 같아져가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 연예계 MC부문에서 스케쥴 잡기가 가장 힘든 연예인이 김제동일꺼다. 김제동하면 생각나는 단어들이 달변가, 어록의 마술사 등등 타고난 MC가 바로 김제동이다. 그런 김제동이가 한때 몇 년간 쇼핑몰 무대에서 사회를 보면서 많은 젊은 청소년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고 물론 지금은 더 선망의 대상이지만 대중문화속에서 자신의 끼와 장점을 부각시켜 성공한 케이스이며 지금도 방송에서 진행하는 멘트기술들이 쇼핑몰진행때와 별반 다르지 않다고 한다.
비보이 힙합그룹 리버스와 김제동
쇼핑몰의 신세대바람 중에 선풍을 일으켰던 바람이 바로 힙합의 발전이라는 것이다.
힙합(HipHop)은 말그대로 엉덩이(Hip)을 들썩들썩(Hop)하는 춤의 종류이지만 장르가 다양하다. 힙합은 저항을 바탕으로 흑인문화에서 출발하여 엠씨(Mcing-래퍼)와 그래피티(Tagging)와 디제잉(Djing),곡을 재구성한 샘플링(Sampling)그리고 언더계열의 최고인기종인 비보잉(B-boying), 이렇게 구성된다.
1973년에 쿨허크(Kool Herc)에 의해 엠씨(래퍼), 디제잉이 확립되었고 1980년대가 힙합의 대중적으로 가장 발달한 시기였으며 미국의 유면한 엠씨해머의 탄생으로 공격적인 하드코어랩이 선보이는 시기였고 1990년대 이후에 서태지도 불렀던 갱스터랩등이 인기 주종을 끌었고 바로 비보잉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쇼핑몰이 발굴해낸 신세대 문화중 힙합 비보이의 최고라고 할수 있는 비보이 그룹 리버스가 있다.
리버스라는 그룹은 고교중퇴자들로 구성되어 그들만의 표현을 비보잉을 통해 오늘날 국내 최고의 비보잉 그룹이되어 방송 카메라를 많이 받기도 했다.
한때 모 지역방송에서 일년간 단독 취재를 해서 순식간에 장안에 유명한 스타로 떠오르기도했다.
리버스는 비보이계를 천하 평정한 그룹이다. 국내 대회는 물론 동양 비보잉 대회 금상, 세계 대회에서 은상, 대상을 차지한 비보이계에서 전무후무한 대기록을 달성한 그룹이면서 국내 비보이 바람을 불러일으킨 장본인이다.
국내 비보이 대회는 아직까지 리버스를 대적할만한 팀이 없다고들 한다. 유일한 대적관계가 있다면 갬블러라고하는 팀인데 인기면에서는 어쩌면 리버스보다 한수 위라고 하지만 리버스 출신들이 새로 구성한 그룹이어서 제2의 리버스라고도 불리는 것이다.
특이할만한 사항은 국내 모 에이전트에서 갬블러와 리버스 매니저먼트를 구성중에 있다.
만은 에너지 소비를하는 비보이라는 힙합문화를 대중에게 선보이면서 다이어트 상품으로도 떠오르고 있지만 대중에게는 즐기며 보는 볼거리 쇼밖에 지나지 않다라는 것이다.
청소년 보호위원회와 서울시 문화관광부에서 진행하는 매년마다 열리는 아우성힙합 페스티벌을 전국에서 예선에 걸쳐 서울에서 본선이 열리고 있는데 리버스, 갬블러는 초청공연단이면서 심사단이기도하고 전국에서 올라오는 수많은 비보이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었다.
힙합문화가 한국에 상륙한지는 얼마되지 않지만 쇼핑몰의 탄생으로 급속도로 성장했다는 것이다.
이제는 초등학생까지 비보이 열풍이 불어 심심찮게 공연장에서 어린 비보이들을 만날 수 있다.
심한 몸놀림으로 타박상이나 관절상을 입기도하지만 수많은 관람객의 환호와 누구나 따라할수 없는 테크닉이어서 비보이들은 굉장한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
힙합을 통한 청소년 문화가 정착되면서 아직도 동대문 및 전국 쇼핑몰에서는 이를 잇는 수많은 매니아들이 무대를 장악하고 있고 어쩌면 청소년문화의 주도라고 할수 있다.
대중문화의 이해강의를 수강하면서 현대문화속에 살고있는 나 를 한번 되돌아 보게 되었고 레포트 자료를 수집하면서 백화점, 쇼핑몰,대형마트등에서 많은 대중들의 생활문화를 접할 수 있었 다.
오늘 아침에 배달된 신문지에 껴있는 백화점과 쇼핑몰과 대형할인마트의 홍보 광고 전단지를 보면서 어디가 더 싸고 좋고 어디가면 뭘 즐길수 있는지를 궁리하면서 전단 하단부의 절취선을 오려가면 주방세제를 준다고 호들갑을 떠는 집사람보고 묘한 미소가 흘렀다.
나또한 출근길에 지하철옆에 마련되어 있는 복권판매대에서 1등을 꿈꾸는 로또를 오천원어치사면서 일주일간 1등 백억의 환상에 살아보곤 한다.
물론 토요일 추첨하면 사정없이 ‘꽝’이지만 백억(요즘은 30억정도)으로 만드는 꿈을 꾸는 일주일이 그렇게 나쁘지만은 않다.
맺음말
수많은 유행이 흘러왔고 또 수많은 유행이 오고 있다는 것이다. 그 유행을
지금 연예계 MC부문에서 스케쥴 잡기가 가장 힘든 연예인이 김제동일꺼다. 김제동하면 생각나는 단어들이 달변가, 어록의 마술사 등등 타고난 MC가 바로 김제동이다. 그런 김제동이가 한때 몇 년간 쇼핑몰 무대에서 사회를 보면서 많은 젊은 청소년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고 물론 지금은 더 선망의 대상이지만 대중문화속에서 자신의 끼와 장점을 부각시켜 성공한 케이스이며 지금도 방송에서 진행하는 멘트기술들이 쇼핑몰진행때와 별반 다르지 않다고 한다.
비보이 힙합그룹 리버스와 김제동
쇼핑몰의 신세대바람 중에 선풍을 일으켰던 바람이 바로 힙합의 발전이라는 것이다.
힙합(HipHop)은 말그대로 엉덩이(Hip)을 들썩들썩(Hop)하는 춤의 종류이지만 장르가 다양하다. 힙합은 저항을 바탕으로 흑인문화에서 출발하여 엠씨(Mcing-래퍼)와 그래피티(Tagging)와 디제잉(Djing),곡을 재구성한 샘플링(Sampling)그리고 언더계열의 최고인기종인 비보잉(B-boying), 이렇게 구성된다.
1973년에 쿨허크(Kool Herc)에 의해 엠씨(래퍼), 디제잉이 확립되었고 1980년대가 힙합의 대중적으로 가장 발달한 시기였으며 미국의 유면한 엠씨해머의 탄생으로 공격적인 하드코어랩이 선보이는 시기였고 1990년대 이후에 서태지도 불렀던 갱스터랩등이 인기 주종을 끌었고 바로 비보잉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쇼핑몰이 발굴해낸 신세대 문화중 힙합 비보이의 최고라고 할수 있는 비보이 그룹 리버스가 있다.
리버스라는 그룹은 고교중퇴자들로 구성되어 그들만의 표현을 비보잉을 통해 오늘날 국내 최고의 비보잉 그룹이되어 방송 카메라를 많이 받기도 했다.
한때 모 지역방송에서 일년간 단독 취재를 해서 순식간에 장안에 유명한 스타로 떠오르기도했다.
리버스는 비보이계를 천하 평정한 그룹이다. 국내 대회는 물론 동양 비보잉 대회 금상, 세계 대회에서 은상, 대상을 차지한 비보이계에서 전무후무한 대기록을 달성한 그룹이면서 국내 비보이 바람을 불러일으킨 장본인이다.
국내 비보이 대회는 아직까지 리버스를 대적할만한 팀이 없다고들 한다. 유일한 대적관계가 있다면 갬블러라고하는 팀인데 인기면에서는 어쩌면 리버스보다 한수 위라고 하지만 리버스 출신들이 새로 구성한 그룹이어서 제2의 리버스라고도 불리는 것이다.
특이할만한 사항은 국내 모 에이전트에서 갬블러와 리버스 매니저먼트를 구성중에 있다.
만은 에너지 소비를하는 비보이라는 힙합문화를 대중에게 선보이면서 다이어트 상품으로도 떠오르고 있지만 대중에게는 즐기며 보는 볼거리 쇼밖에 지나지 않다라는 것이다.
청소년 보호위원회와 서울시 문화관광부에서 진행하는 매년마다 열리는 아우성힙합 페스티벌을 전국에서 예선에 걸쳐 서울에서 본선이 열리고 있는데 리버스, 갬블러는 초청공연단이면서 심사단이기도하고 전국에서 올라오는 수많은 비보이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었다.
힙합문화가 한국에 상륙한지는 얼마되지 않지만 쇼핑몰의 탄생으로 급속도로 성장했다는 것이다.
이제는 초등학생까지 비보이 열풍이 불어 심심찮게 공연장에서 어린 비보이들을 만날 수 있다.
심한 몸놀림으로 타박상이나 관절상을 입기도하지만 수많은 관람객의 환호와 누구나 따라할수 없는 테크닉이어서 비보이들은 굉장한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
힙합을 통한 청소년 문화가 정착되면서 아직도 동대문 및 전국 쇼핑몰에서는 이를 잇는 수많은 매니아들이 무대를 장악하고 있고 어쩌면 청소년문화의 주도라고 할수 있다.
대중문화의 이해강의를 수강하면서 현대문화속에 살고있는 나 를 한번 되돌아 보게 되었고 레포트 자료를 수집하면서 백화점, 쇼핑몰,대형마트등에서 많은 대중들의 생활문화를 접할 수 있었 다.
오늘 아침에 배달된 신문지에 껴있는 백화점과 쇼핑몰과 대형할인마트의 홍보 광고 전단지를 보면서 어디가 더 싸고 좋고 어디가면 뭘 즐길수 있는지를 궁리하면서 전단 하단부의 절취선을 오려가면 주방세제를 준다고 호들갑을 떠는 집사람보고 묘한 미소가 흘렀다.
나또한 출근길에 지하철옆에 마련되어 있는 복권판매대에서 1등을 꿈꾸는 로또를 오천원어치사면서 일주일간 1등 백억의 환상에 살아보곤 한다.
물론 토요일 추첨하면 사정없이 ‘꽝’이지만 백억(요즘은 30억정도)으로 만드는 꿈을 꾸는 일주일이 그렇게 나쁘지만은 않다.
맺음말
수많은 유행이 흘러왔고 또 수많은 유행이 오고 있다는 것이다. 그 유행을
추천자료
필수품과 사치품에 대한 소비자인지를 통해 본 소비행동의 사회문화적 함의
현대사회에서의 웰빙문화(Well-being)와 소비
[소비자 행동론]문화와 소비자 행동, 사회계층과 소비자 행동 분석
아동소비 문화의 특징과 아동소비자 피해 사례
현대 소비사회 문화와 신상녀
[소비자행동] 타문화와 비교한 한국문화의 특징
주류 시장 소비 문화 환경
소비자 행동문화, 문화적 신념, 문화적 가치, 규범, 특징, 현황, 사례, 관리, 역할, 기법, 시...
문화와 소비자행동론
성과문화_에로티시즘의 소비,광고마케팅전략사례,광고전략,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
21세기 문화트랜드 읽기 리포트, 문화 소비 트랜드
[패션과 문화 공통] 교과서 5장(강의 5강)에 소개된 소비트렌드 (명품, 매스티지 명품, 패스...
대중문화의 정의대중문화 관련 이론대중문화의 소비자외국의 대중문화대중문화의 영향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