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모니와 불상의 출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조각이란?

불교조각
1. 釋迦牟尼의 生涯와 佛像의 出現
⑴ 불상의 출현과 樣式의 變化
⑵ 小乘불교와 大乘불교
⑶ 삼신불(三身佛)
2. 불교조각의 역사
⑴ 삼국시대
⑵ 통일신라
⑶ 고려시대
⑷ 조선시대
3. 불상의 형식
⑴ 32吉祥 80종호
(2) 자세
(3) 手印과 持物
(4) 법의(法衣)
4. 불상의 종류
5. 불상의 재료와 방법
⑴ 불타(佛陀)
⑵ 보살(菩薩)
⑶ 명왕(明王)
⑷ 천부(天部)
⑸ 나한(羅漢)

본문내용

부처를 둔다. 본 얼굴과 합쳐서 11면이 되는 것과 제외하고 11면이 되는 것도 있다. 아미타화불의 보관을 쓰고 시무외인이 일반적임. 경주 굴불사지 북면 11면 6비 관음보살상이 있으며 팔아 2비,4비,6비,8비 상이 있다.
㉡ 천수관음보살(千手觀音菩薩)
27개의 얼굴과 천개의 눈과 손을 가지고 지옥에 있는 중생을 자비로 구제하여 주는 보살. 관음의 자비가 매우 넓은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밀교적 성격의 변화 관음 중 하나이다.
③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지혜의 빛으로 모든 중생의 미혹 함을 없애주는 보살. 세지보살이라고도 한다. 형상은 보관에 수병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관세음보살과 함께 아미타불의 오른쪽에 협시보살로 아미타삼존불을 이룬다. 군위 삼존불의 협시보살상이 그 예이다.
④ 문수보살(文殊菩薩)
지혜 상징하는 보살. 반야경의 내용과 관계가 깊은 보살이다. 석가 왼편에 서서 보현보살과 함께 삼존불을 형성하였고 후대에는 비로자나불의 왼쪽 협시보살이 되기도 한다. 동자형으로 표현되는 경우도 있으나 보통은 오른손에는 지헤의 칼이나 경전을 왼손은 연꽃을 들고 있다. 대좌는 연화대좌가 일반적이나 사자를 타고 있는 모습도 표현된다. 드물게는 코끼리 위에 앉아 있는 문수, 보현보살이 표현되기도 하였다.
⑤ 보현보살(普賢菩薩)
자비나 이(理)를 상징하는 보살. 이법을 실천하여 중생을 교화하는 일을 맡고 있다. 보현 연명보살연명보살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중생의 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덕이 있기 때문이다.일반적으로 코끼리를 타고 나타나며 문수와 협시를 이루고 밀교에서는 연화좌 위에 칼을 쥐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다.
⑥ 지장 보살(地藏菩薩)
지옥에서 고통을 받고 있는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영원히 부처가 되지 않는 보살. 형상은 삭발한 스님의 모습으로 왼손에 보주를 들고 오른손은 시무외인을 하고 있는 곳과 머리에 두건을 쓰고 손에 보주 석장을 지닌 모습으로 만들어 졌다. 이 모습은 중국, 일본 등에서는 알려진 바 없으나 중앙아시아 돈황이나 투르판, 우리나라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단독상일 경우에는 명부를 주재하는 시왕을 거느리고 그 외에는 관음보살과 함께 아미타불의 협시로도 나타난다. 대표작 고려시대의 선운사 지장보살좌상이 있다.
⑦ 일광,월광보살(日光,月光 菩薩)
약사불의 좌우 협시보살로서 그 법을 수호하는 역할을 한다. 형상은 일정치는 않으나 이마나 보관에 해, 달이 표현되어 있고 단독상일 경우 지물로 해 달을 손에 들고 있다.
⑧ 약왕, 약상 보살(藥王,藥上菩薩)
양약을 베풀어 중생의 몸 마음을 치료해 주는 보살. 석가불의 양 협시보살로 간혹 나타난다. 형상은 보통 보살의 모습으로 손에는 藥樹,藥壺 들고 있고 가끔은 머리에 뜨거운 향로를 이고 있는 형태도 있다.
⑶ 명왕(明王)
지혜의 작용에 의해 중생을 구제하는 方便佛. 명은 지혜 광명의 뜻으로 진언, 다라니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① 공작명왕(孔雀明王)
독초나 해충을 잡아 먹는 공작을 신격화 한 것으로 모든 중생의 정신적인 해독인 번뇌를 제거 하여 안락함을 주는 존상.명왕부에 속하지만 자비로운 보살형으로 공작을 타고 있는 모습이며 보통 팔이 네개 달린 4비상이나 2비상,6비상이 있으며 고려시대 동경이나 동종에 그 모습이 보인다.
② 오대명왕(五大明王)
금강계 5불의 명령을 받아 교화하기 어려운 중생과 내외의 악마를 항복시키기 위해서 분노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5개의 대명왕이라는 뜻이다.고려시대 금강령이나 동경 등에 나타난다.
⑷ 천부(天部)
수미산 위에 있는 천계에 사는 모든 신을 말한다.
① 사천왕(四天王)
수미산 중턱에 살며 사방과 불법을 수호하는 신. 동방지국천, 서방광목천, 남방증장천, 북방 다문천 왕이 그들이며 지물은 일정치않으나 라마교 영향을 받은 티벳계의 사천왕은 지국천이 비파, 증장천이 검, 광목천이 새끼줄, 다문천이 보서 또는 보탑을 들고 있다.
② 인왕(仁王)
사찰 문이나 입구를 지키는 한쌍의 신장상, 금강역사, 이왕, 집금강신 이라고도 한다. 하나는 입을 벌리고 "아" 소리를 내며 공격 자세를 취하는 나라연금강과 "흠" 표정으로 방어 자세를 취하고 있는 밀적금강이 있다
③ 범천(梵天)
만물의 근본인 本有를 신격화 한 것으로 바라문교에서 존숭되던 신이 었으나 불법수호신이 되었고 형상은 중국식 복장에 손에 佛子를 쥐고 있다.
④ 제석천(帝釋天)
고대 인도 신화에 나오는 신으로 태양신으로 천둥,비를 관리하는 雷霆神, 天帝釋, 天帝라고도 한다. 형상은 일정치 않으나 肉계에 중국식 복장이며 석굴암의 제석천이 있다.
⑤ 팔부중(八部衆)
불법을 수호하는 8종류의 신. 天, 龍, 야차, 건달파,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후라가를 가르킨다.
⑥ 비천(飛天)
천계에 사는 신으로 天人, 天女, 천이라고 한다. 보통사람에게는 보이지 않으나 초인적인 힘으로 자유자재로 날아다니는 신이다.
인도 초기 미술에서 한쌍이 散花供養 하는 형태로 나타나고 우리나라 고분 벽화 및 불상의 광배, 대좌에 나타나고 범종, 사리장 엄구, 기타 공예품에 나타난다.
⑦ 가릉빈가
인도 새의 일종으로 아름다운 소리로 불법을 설하는 상상의 새다. 우리나라 석탑,부도등에 모습이 보인다.
⑸ 나한(羅漢)
깨달음을 얻어 중생으로 부터 공양을 받을 만한 공덕을 갖춘 성자로 응공, 應眞 이라고 한다. 소승블교에서는 가장 높은 지위임. 16나한, 18나한, 500나한으로 발전 했다.
① 십대제자(十大弟子)
석가를 따르던 10명의 뛰어난 제자. 사리불(智慧), 목건련(神通), 마하가섭(頭陀), 아나률(天眼), 수보리(解空), 부루나(說法), 가전연(論議), 우바리(持律), 라후라(密行), 아난타(多聞)
② 유마거사(維摩居士)
재가 신자로 집에 머물면서 불도를 닦은 사람을 말하며 유마詰의 약칭이다. 지혜제일의 문수보살도 그를 당할 수 없었다고 한다.
***** 참고문헌 *****
1. 韓國 美術 文化의 理解 金元龍監修 (株)藝耕 1995
2. 韓國 佛敎 彫刻의 흐름 강우방 대원사 1995
3. 佛像(빛깔 있는 책 40) 秦弘燮 대원사 1994
4. 佛畵(빛깔 있는 책 50) 홍윤식 대원사 1994
5. 사찰 그 속에 깃든 의미 김현준 교보문고 1994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1.27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08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