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물품을 옮길 때에는 운반 차나 금속 바스켓을 이용한다.)
(물건을 위에서 밀지 말고 앞에서 끌고 간다.)
(제작자가 원하는 온도에서 충분히 정화시킨다.)
(장갑은 사용 후 정화시키고 손을 씻는다.)
③ 인체에 미치는 영향
-급성효과로는 호흡기와 눈에 자극을 주고 피부 과민반응이 구토 , 설사를 일으킨다.
-만성 독성 효과로는 호흡기 자극, 상기도 감염, 빈혈, 정신이상을 초래하게 되며 동.식물 실험에서 보면 돌연변이나 발암효과를 일으킨다는 보고도 있다.
-소량의 E0 gas에 우연히 노출된 경우 약한 열, 기침, 근육통과 같은 증상과 더불어 약한 감기 증상과 유사한 느낌을 가지게 된다.
이것은 gas노출이 없는 경우2~3일이 지나면 없어진다.
-오랫동안 노출되면 폐렴이나 Heart failure로 인한 폐동맥 출혈과 매우 유사한 심각한 증상을 보인다.
-잠깐동안이라도 높은 농도의 E0 gas를 흡입하게 되면 일단 마취효과를 보이며 기침, 구토를 유발하고 호흡기를 자극한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두통, 오염, 호흡곤란, 청색증, 피부종, 담즙의 소변 매출 등이 나타난다. 오심 및 구토는 치료하지 않으면 장시간 계속된다.
-대부분의 임상적인 보고서에 의하면 갑작스러운 노출을 한사람은 장기적인 병적 효과 없이 회복된다. 일반적으로 약278ppm에서 한시간 동안 노출되면 불유쾌하고 인 농도에서 하루동안 노출되면 위험하며 556ppm정도에서 5~6시간 노출되면 심한 병과 심지어는 사망까지 이른다.
(부적절하고 불필요한 취급, 숙달되지 않은 작동자는 잘못된 기술 , 잘못 구조된 E0 gas 노출 조절장치와 환기 불량시 위와 같은 증상이 일어난다.)
④gas 누출 시 응급 조치 방법
-환기가 잘 되도록 한다.
-취급하는 인접지역을 15~20간 떠나 있는다.
-1회용 장갑은 물로 씻은 다음 폐기 조치한다. 면 장갑은 씻어서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서 말려 재 사용한다.
-특히 화재예방에 주의한다.
-E0 gas 가 피부에 묻었을 경우
⇒비누와 물로 계속 씻어내고 피부에 동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40℃정도의 따뜻한 물로 샤워한다.
-흡입하였을 경우
⇒깨끗한 공기로 E.0를 제거하여 호흡이 곤란하면 산소호흡을 시키고 심하면 인공호흡을 한다.
-눈에 접촉 시
⇒즉시 물로 15분간 씻어내며 심한 경우는 안과에 가야한다.
-삼켰을 경우에
⇒달걀 흰자나 gelatin solution을 마시게 하거나 물을 두 잔 이상 마시게 하고 토하지 않게 한다.
⑶ E.0 gas의 환경 감시장치
①개인적으로 부착하는 것
소독자의 가슴에 항상 E.0 monitor badge를 달고 작업한다.
②경보기
가스농도가 1ppm이상 시 불이 들어오는 경우와 단지 가스누출을 감지하는 것이 있다.
4)생물학적 위험( biology hazards )
⑴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물품을 정확하게 취급하도록 한다.
⑵감염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 할 수 있도록 적절한 건강관리를 하도록 교육한다.
5) 화재위험 ( fire hazards )
⑴안전교육과 화재훈련에 참석하도록 한다.
⑵화재 경보기와 소화기의 사용법과 위치, 탈출 통로와 비상구를 알 수 있게 교육한다.
⑶소독실에서 화기사용을 금한다.
⑷화재 발생 시 취해야 할 행동을 교육한다.
<화재 발생 시 병동 내 직원의 업무부담>
1) 수간호사의 업무
- 발견보호를 받거나 발견즉시 주간 : (☎0번으로 연락한다.)
교환실 (Apollo day 00층 3번 반복방송)
야간에는 시설 관리과로 연락한다. (☎)
-간호부 책임자를 방송하거나 호출기로 알린다.
-환자대피, 진화작전을 지휘한다.
-화재 장소 특성을 파악한다(전체적, 부분적 환자 이동의 필요성 파악) 후 각 병동의 산소 통을 잠근다.
-병실 입구 문을 닫고 화재의 번짐을 예방하기 위해 복도철문을 닫는다.
2) 제1 간호사의 업무
소화기 소화전을 작동시킨다.
3) 제2 간호사의 업무
제 3,4군 환자를 집중적으로 대피 시켜 필수적으로 필요시 보호자의 도움을 받는다.
4) 조무사의 업무
제 1,2군 환자를 신속하게 지정된 장소로 옮긴다.
<화재 발생 시 행동수칙>
1. 신고하라 교환실(☎0번)
시설관리과 (☎)
2. 비상경보를 울려라
3. 환자를 대피 시켜라
4. 문을 닫아라(복도 중간 문, 창문)
5. 진화시켜라.
6. 산소를 잠그라.(모든 전원을 차단하고 gas cylinder의 valve를 잠근다.)
7. 업무 분담을 따르다.
8. 침착하게 행동하고 방화 문을 닫으며 비상구를 이용하여 대피한다.
6)개인적인 청결 (personal cleanliness)
-개인 위생, 올바른 손씻기 머리와 의복이 청결은 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전파를 감소시키므로 개인적인 청결을 유지하도록 한다.
-적절한 복장을 착용한다.
머리카락이 보이지 않게 하고 신발커버를 착용한다.
장신구를 억제하고 손톱에 메니큐어를 칠하지 않는 것은 일반적이다.
< 청소지침 >
1) 기준
⑴깨끗한 환경에서 멸균 물품을 공급 , 관리하여 병원감염을 최소화한다.
⑵먼지나 곤충, 해충은 미생물을 전파시키므로 작업장은 청결해야한다.
⑶오염제거지역에만 사용하는 청소설비와 도구가 따로 있어야 하며 이 설비와 장비는 깨끗해야 하고 적절한 세제를 사용해야 한다.
⑷쓰레기를 오염, 비 오염, 독성물질로 구분하고 각각 분되어진 쓰레기를 수거, 운반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규정이 있어야 한다.
2)규정
⑴청소 구역은 clean area에서 dirty area로 순서를 정해야한다.
ex)멸균물품 창고→ 불출 시→ 작업준비실→ 비 소독실
⑵깨끗한 환경의 유지를 위해 지정 인이 지정시간에 청소를 담당하고 점검해야한다.
⑶1회/일 이상 습식(진공)청소를 하여 가장자리에 쌓인 먼지를 제거한다.
⑷정기적으로 소독약을 분무한다.
⑸싱크 작업대, 세척 장비를 1회/일 이상 닦고 소독한다.
⑹선반 , 벽, 천장, 배기관, 부착물 등은 정기적으로 청소한다.
⑺더러운 린넨과 쓰레기는 1회/일 이상 수거한다.
3) 청소도구 장비의 관리 및 보관
청소도구는 깨끗하고 건조하게 정돈된 상태로 보관한다.
비소독물 실에서 사용한 청소도구를 다른 장소에서는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청소도구는 분리되어야 한다.
(물건을 위에서 밀지 말고 앞에서 끌고 간다.)
(제작자가 원하는 온도에서 충분히 정화시킨다.)
(장갑은 사용 후 정화시키고 손을 씻는다.)
③ 인체에 미치는 영향
-급성효과로는 호흡기와 눈에 자극을 주고 피부 과민반응이 구토 , 설사를 일으킨다.
-만성 독성 효과로는 호흡기 자극, 상기도 감염, 빈혈, 정신이상을 초래하게 되며 동.식물 실험에서 보면 돌연변이나 발암효과를 일으킨다는 보고도 있다.
-소량의 E0 gas에 우연히 노출된 경우 약한 열, 기침, 근육통과 같은 증상과 더불어 약한 감기 증상과 유사한 느낌을 가지게 된다.
이것은 gas노출이 없는 경우2~3일이 지나면 없어진다.
-오랫동안 노출되면 폐렴이나 Heart failure로 인한 폐동맥 출혈과 매우 유사한 심각한 증상을 보인다.
-잠깐동안이라도 높은 농도의 E0 gas를 흡입하게 되면 일단 마취효과를 보이며 기침, 구토를 유발하고 호흡기를 자극한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두통, 오염, 호흡곤란, 청색증, 피부종, 담즙의 소변 매출 등이 나타난다. 오심 및 구토는 치료하지 않으면 장시간 계속된다.
-대부분의 임상적인 보고서에 의하면 갑작스러운 노출을 한사람은 장기적인 병적 효과 없이 회복된다. 일반적으로 약278ppm에서 한시간 동안 노출되면 불유쾌하고 인 농도에서 하루동안 노출되면 위험하며 556ppm정도에서 5~6시간 노출되면 심한 병과 심지어는 사망까지 이른다.
(부적절하고 불필요한 취급, 숙달되지 않은 작동자는 잘못된 기술 , 잘못 구조된 E0 gas 노출 조절장치와 환기 불량시 위와 같은 증상이 일어난다.)
④gas 누출 시 응급 조치 방법
-환기가 잘 되도록 한다.
-취급하는 인접지역을 15~20간 떠나 있는다.
-1회용 장갑은 물로 씻은 다음 폐기 조치한다. 면 장갑은 씻어서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서 말려 재 사용한다.
-특히 화재예방에 주의한다.
-E0 gas 가 피부에 묻었을 경우
⇒비누와 물로 계속 씻어내고 피부에 동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40℃정도의 따뜻한 물로 샤워한다.
-흡입하였을 경우
⇒깨끗한 공기로 E.0를 제거하여 호흡이 곤란하면 산소호흡을 시키고 심하면 인공호흡을 한다.
-눈에 접촉 시
⇒즉시 물로 15분간 씻어내며 심한 경우는 안과에 가야한다.
-삼켰을 경우에
⇒달걀 흰자나 gelatin solution을 마시게 하거나 물을 두 잔 이상 마시게 하고 토하지 않게 한다.
⑶ E.0 gas의 환경 감시장치
①개인적으로 부착하는 것
소독자의 가슴에 항상 E.0 monitor badge를 달고 작업한다.
②경보기
가스농도가 1ppm이상 시 불이 들어오는 경우와 단지 가스누출을 감지하는 것이 있다.
4)생물학적 위험( biology hazards )
⑴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물품을 정확하게 취급하도록 한다.
⑵감염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 할 수 있도록 적절한 건강관리를 하도록 교육한다.
5) 화재위험 ( fire hazards )
⑴안전교육과 화재훈련에 참석하도록 한다.
⑵화재 경보기와 소화기의 사용법과 위치, 탈출 통로와 비상구를 알 수 있게 교육한다.
⑶소독실에서 화기사용을 금한다.
⑷화재 발생 시 취해야 할 행동을 교육한다.
<화재 발생 시 병동 내 직원의 업무부담>
1) 수간호사의 업무
- 발견보호를 받거나 발견즉시 주간 : (☎0번으로 연락한다.)
교환실 (Apollo day 00층 3번 반복방송)
야간에는 시설 관리과로 연락한다. (☎)
-간호부 책임자를 방송하거나 호출기로 알린다.
-환자대피, 진화작전을 지휘한다.
-화재 장소 특성을 파악한다(전체적, 부분적 환자 이동의 필요성 파악) 후 각 병동의 산소 통을 잠근다.
-병실 입구 문을 닫고 화재의 번짐을 예방하기 위해 복도철문을 닫는다.
2) 제1 간호사의 업무
소화기 소화전을 작동시킨다.
3) 제2 간호사의 업무
제 3,4군 환자를 집중적으로 대피 시켜 필수적으로 필요시 보호자의 도움을 받는다.
4) 조무사의 업무
제 1,2군 환자를 신속하게 지정된 장소로 옮긴다.
<화재 발생 시 행동수칙>
1. 신고하라 교환실(☎0번)
시설관리과 (☎)
2. 비상경보를 울려라
3. 환자를 대피 시켜라
4. 문을 닫아라(복도 중간 문, 창문)
5. 진화시켜라.
6. 산소를 잠그라.(모든 전원을 차단하고 gas cylinder의 valve를 잠근다.)
7. 업무 분담을 따르다.
8. 침착하게 행동하고 방화 문을 닫으며 비상구를 이용하여 대피한다.
6)개인적인 청결 (personal cleanliness)
-개인 위생, 올바른 손씻기 머리와 의복이 청결은 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전파를 감소시키므로 개인적인 청결을 유지하도록 한다.
-적절한 복장을 착용한다.
머리카락이 보이지 않게 하고 신발커버를 착용한다.
장신구를 억제하고 손톱에 메니큐어를 칠하지 않는 것은 일반적이다.
< 청소지침 >
1) 기준
⑴깨끗한 환경에서 멸균 물품을 공급 , 관리하여 병원감염을 최소화한다.
⑵먼지나 곤충, 해충은 미생물을 전파시키므로 작업장은 청결해야한다.
⑶오염제거지역에만 사용하는 청소설비와 도구가 따로 있어야 하며 이 설비와 장비는 깨끗해야 하고 적절한 세제를 사용해야 한다.
⑷쓰레기를 오염, 비 오염, 독성물질로 구분하고 각각 분되어진 쓰레기를 수거, 운반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규정이 있어야 한다.
2)규정
⑴청소 구역은 clean area에서 dirty area로 순서를 정해야한다.
ex)멸균물품 창고→ 불출 시→ 작업준비실→ 비 소독실
⑵깨끗한 환경의 유지를 위해 지정 인이 지정시간에 청소를 담당하고 점검해야한다.
⑶1회/일 이상 습식(진공)청소를 하여 가장자리에 쌓인 먼지를 제거한다.
⑷정기적으로 소독약을 분무한다.
⑸싱크 작업대, 세척 장비를 1회/일 이상 닦고 소독한다.
⑹선반 , 벽, 천장, 배기관, 부착물 등은 정기적으로 청소한다.
⑺더러운 린넨과 쓰레기는 1회/일 이상 수거한다.
3) 청소도구 장비의 관리 및 보관
청소도구는 깨끗하고 건조하게 정돈된 상태로 보관한다.
비소독물 실에서 사용한 청소도구를 다른 장소에서는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청소도구는 분리되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