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중화 인민 공화국이 대치하고 있어 민족의 역량이 내전에 소모되고 있었다. 그러나 중화민국 중화 인민공화국, 그리고 만주국의 세 나라로 분단된 상황을 극복하여야 한다는 민족적 각성이 점차 적극적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었다고 이 소설에서는 이야기 하고 있다.
그럼 이 소설을 자세히 들어가 보기로 하자.
2. 이 소설의 주인공 기노시다 히데요의 민족에 대한 인식변화
이 소설의 주인공인 기노시다 히데요는 39살의 기업체 과장이고, 시인이다. 그는 만주에서 군인으로 근무를 하다가 그의 어머니가 아픈 바람에 제대를 하게 되었는데, 조선인으로 차별을 작게 받는 곳이 군대라고 인식하고 군대에서 전역한 것을 후회하고 있다. 이러한 그는 그저 조선인이라는 것이 하나의 약점이라고 밖에 처음에는 생각하고 있지 않았다.
그 스스로가 자신의 인생을 대차대조표 할 때 조선인을 하나의 커다란 부채라고 생각하였음에도 새해가 되면 황국신민의례규칙에 따라 진자(神社)참배를 가는데 철저한 그런 인물이었다. 그리고 새해에 기생집에 가서 기생과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이 시기는 아직 만주에 전쟁이 계속 되던 시기이고 빚을 지면 만주에 데이신아이라는 군대 위안부를 보낸다는 이야기를 들어도 그는 그냥 조선인이라는 것은 하나의 약점일 뿐 바뀌어야 한다던지, 사회가 잘못되었다는 지 생각하지 못하던 인물이었다.
그는 유부남임에도 불구하고 집안에서의 정약으로 결혼해서 부인에 대한 사랑을 가지 못하고 있고 도끼에라는 부하직원을 좋아했는데 그녀는 내지(일본본토)의 유명한 집안 자녀이고 자신은 조선인이라는 자격지심을 항상 가지고 있어 그녀에게 고백하지 못하는 인물이다. 그런 그녀와 영화를 보러 갔을 때에도 영화상영전 국가연주와 제국의 소식과 국내 소식을 들으면서도 그저 그녀와 오래 같이 있고 싶어 더 그 시간이 지속 되었으면 하고 바라지 사회가 바뀌어야 한다던지 하는 생각은 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그가 시를 쓸 때에도 일본어로 시를 써도 번역상의 이유로 노벨문학상을 받기 힘들다는 문제와 더불어 조선인이라는 약점을 지니고 있어서 장벽이라는 것에만 인식하고 있고 조선어와 조선역사는 인식조차 못하고 있었다는 것을 이 글에서는 이야기 하고 있다.
그러던 그는 이러한 조선인이라는 부채를 자산으로 바뀌자는 의식이 점점 변하기 시작하는데 그 계기의 시작이 된 것은 “독사 수필”이란 이름의 사노 히사이찌의 금서였다. 당시의 조선은 외국에서 발간된 서적 또는 다른 출판물 관리는 나라에서 상당히 압제를 가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손아래 처남이 대만에 출장을 갔다 가지고 들어온 이 “독사 수필”이라는 금서는 일본에서의 민중 반란을 다루면서, 일본은 피지배계급에 대한 사회적 변혁이 거의 없다고 지적하고 피지배계급의 사회적 변혁의 시도는 사회를 바꾸는 힘인데 중국은 다양한 민중 반란이 존재 하며, 월남에서도 18세기 후반 떠이싼당의 성공적 반란이 있었고 심지어 조선에도 19세기 후반 동학란이 있었으니, 조선 정부만으로 도저히 수습할 수 없어 일본과 청의 출병으로 수습해야 한다는 내용을 실고 있었다. 이 책을 접한 히데요는 국사(이때의 국사는 일본의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신 일본사를 두번이나 통독 했음에도 동학란이 19세기 조선에서 있었다는 말조차 들어보지 못하였고 조선이 단독으로 독립적인 정부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있었다. 그가 알았던 조선은 옛날 징꼬우 황후가 조선을 정복해서 만들어 졌다고 그렇게 알고 있었다. 이에 그는 자신이 조선의 역사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으며, 징꼬우 황후의 정벌로 일본의 일부가 되었다는 이야기를 끝으로 조선에 대한 역사가 없다는 것을 인식해 냈다. 그리고 조선의 역사가 씌여 지지 않았거나 아니면 지워진 것이라고 서서히 인식하기 시작해 간다.
그러면서 결정적으로 그가 조선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그의 승진 탈락으로부터다. 그의 대신 승진한 것은 야마시다이다. 야마시다는 히데요보다 대학도 그리고 호봉도 못하였다. 단 하나 야마시다가 히데요보다도 나은 점이 있다면 그것은 내지인이라는 점이며, 요직인 외삼촌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었다. 이 때 히데요는 생각한다. 만약 자신이 내지인이었다면 자신이 승진 하지 않았을까? 라고……. 그러면서 술을 마시게 되고 조선인의 삶에 눈을 돌리게 되는데 술을 마시러 간 포장마차 주인이 자신의 딸이 5학년까지 배우기 위해 포장마차를 하고 있다고 이야기 하면서 그 포장마차에 들어온 이가 술을 단 한잔만 마시는 것을 보고 포장마차 주인이 소작할 땅이 없어
그럼 이 소설을 자세히 들어가 보기로 하자.
2. 이 소설의 주인공 기노시다 히데요의 민족에 대한 인식변화
이 소설의 주인공인 기노시다 히데요는 39살의 기업체 과장이고, 시인이다. 그는 만주에서 군인으로 근무를 하다가 그의 어머니가 아픈 바람에 제대를 하게 되었는데, 조선인으로 차별을 작게 받는 곳이 군대라고 인식하고 군대에서 전역한 것을 후회하고 있다. 이러한 그는 그저 조선인이라는 것이 하나의 약점이라고 밖에 처음에는 생각하고 있지 않았다.
그 스스로가 자신의 인생을 대차대조표 할 때 조선인을 하나의 커다란 부채라고 생각하였음에도 새해가 되면 황국신민의례규칙에 따라 진자(神社)참배를 가는데 철저한 그런 인물이었다. 그리고 새해에 기생집에 가서 기생과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이 시기는 아직 만주에 전쟁이 계속 되던 시기이고 빚을 지면 만주에 데이신아이라는 군대 위안부를 보낸다는 이야기를 들어도 그는 그냥 조선인이라는 것은 하나의 약점일 뿐 바뀌어야 한다던지, 사회가 잘못되었다는 지 생각하지 못하던 인물이었다.
그는 유부남임에도 불구하고 집안에서의 정약으로 결혼해서 부인에 대한 사랑을 가지 못하고 있고 도끼에라는 부하직원을 좋아했는데 그녀는 내지(일본본토)의 유명한 집안 자녀이고 자신은 조선인이라는 자격지심을 항상 가지고 있어 그녀에게 고백하지 못하는 인물이다. 그런 그녀와 영화를 보러 갔을 때에도 영화상영전 국가연주와 제국의 소식과 국내 소식을 들으면서도 그저 그녀와 오래 같이 있고 싶어 더 그 시간이 지속 되었으면 하고 바라지 사회가 바뀌어야 한다던지 하는 생각은 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그가 시를 쓸 때에도 일본어로 시를 써도 번역상의 이유로 노벨문학상을 받기 힘들다는 문제와 더불어 조선인이라는 약점을 지니고 있어서 장벽이라는 것에만 인식하고 있고 조선어와 조선역사는 인식조차 못하고 있었다는 것을 이 글에서는 이야기 하고 있다.
그러던 그는 이러한 조선인이라는 부채를 자산으로 바뀌자는 의식이 점점 변하기 시작하는데 그 계기의 시작이 된 것은 “독사 수필”이란 이름의 사노 히사이찌의 금서였다. 당시의 조선은 외국에서 발간된 서적 또는 다른 출판물 관리는 나라에서 상당히 압제를 가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손아래 처남이 대만에 출장을 갔다 가지고 들어온 이 “독사 수필”이라는 금서는 일본에서의 민중 반란을 다루면서, 일본은 피지배계급에 대한 사회적 변혁이 거의 없다고 지적하고 피지배계급의 사회적 변혁의 시도는 사회를 바꾸는 힘인데 중국은 다양한 민중 반란이 존재 하며, 월남에서도 18세기 후반 떠이싼당의 성공적 반란이 있었고 심지어 조선에도 19세기 후반 동학란이 있었으니, 조선 정부만으로 도저히 수습할 수 없어 일본과 청의 출병으로 수습해야 한다는 내용을 실고 있었다. 이 책을 접한 히데요는 국사(이때의 국사는 일본의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신 일본사를 두번이나 통독 했음에도 동학란이 19세기 조선에서 있었다는 말조차 들어보지 못하였고 조선이 단독으로 독립적인 정부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있었다. 그가 알았던 조선은 옛날 징꼬우 황후가 조선을 정복해서 만들어 졌다고 그렇게 알고 있었다. 이에 그는 자신이 조선의 역사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으며, 징꼬우 황후의 정벌로 일본의 일부가 되었다는 이야기를 끝으로 조선에 대한 역사가 없다는 것을 인식해 냈다. 그리고 조선의 역사가 씌여 지지 않았거나 아니면 지워진 것이라고 서서히 인식하기 시작해 간다.
그러면서 결정적으로 그가 조선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그의 승진 탈락으로부터다. 그의 대신 승진한 것은 야마시다이다. 야마시다는 히데요보다 대학도 그리고 호봉도 못하였다. 단 하나 야마시다가 히데요보다도 나은 점이 있다면 그것은 내지인이라는 점이며, 요직인 외삼촌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었다. 이 때 히데요는 생각한다. 만약 자신이 내지인이었다면 자신이 승진 하지 않았을까? 라고……. 그러면서 술을 마시게 되고 조선인의 삶에 눈을 돌리게 되는데 술을 마시러 간 포장마차 주인이 자신의 딸이 5학년까지 배우기 위해 포장마차를 하고 있다고 이야기 하면서 그 포장마차에 들어온 이가 술을 단 한잔만 마시는 것을 보고 포장마차 주인이 소작할 땅이 없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