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언어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게임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이버언어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게임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 사이버 언어
1) 사이버 언어의 발생동기 및 기능
2) 사이버 언어의 언어학적 특성과 지위

본 론
☐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
1) 비트겐슈타인은 누구인가?
2) 언어 게임 이론
3) 사이버 문화의 특징
4) 사이버 언어 사용 사례분석

결 론

본문내용

얼른 사라져 버려’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리고 ‘즐’의 변형된 형태인 ‘KIN’의 형태로도 많이 사용된다. 이 ‘KIN’의 경우는 ‘즐’이라는 단어의 나쁜 의미를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놀리려는 의도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단어들이 생소한 이들도 적지 않을 것이다. 적어도 인터넷 아이디를 소유하고 있는 정도의 수준이라면 이런 단어들을 심심치 않게 접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단어들이 특정 집단 내에서 은어처럼 사용되어 온 것이 사실이지만, 최근에는 현실에서도 흔히 사용되고 있다. ‘초딩’이나 ‘즐’처럼 본래의 의미와는 다른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삼체’와 같이 우리의 문법체계에 존재하지 않는 단어도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단어들의 의미를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고 있고, 또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단어들의 사용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해 보면, 소쉬르가 기호학에서 말한 기호의 두 가지 측면 기표와 기의에서 똑같은 초딩, 즐 이라는 기표가 맥락에 따라서 다른 의미로 해석됨으로써, 다중의 기의를 포함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사회 전체라고 할 수는 없지만, 다수의 사람들이 비슷한 의미로 파악하고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초딩, 즐, ‘삼체’는 기호학적으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얼짱’이나 ‘몸짱’과 같이 인터넷에서 생긴 단어이지만 최근 미디어에서 종종 등장하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가 더 쉬울 것이다). 소쉬르는 기호의 속성을 첫 번째, 감각기관이 인지하는 물리적 형태를 지니는 것, 두 번째, 해석에 있어서 그 본질적인 의미는 완전히 일치하지 않고, 어느 정도의 개인차는 존재한다는 것,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그 의미를 인정하고 사용할 때, 기호라고 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단어들은 소쉬르가 말한 기호의 세 가지 속성을 모두 지니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단어는 기호로써 인정될 수 있으며, 그 의미에 있어서는 그 단어가 지니는 최초의 의미가 아닌 또 다른 의미로 해석된다. 이는 롤랑 바르뜨가 말한 이차적 의미를 통해서 설명할 수 있다. 바르뜨는 기표와 기의로 이루어진 기호가 그 자체적인 의미를 통하여 또 다른 의미인 이차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고 하였다. ‘꽃’이라는 기표는 꽃이라는 기의를 지니지만, 그 꽃이라는 기호는 다시 ‘아름다운 여자’라는 기의로 해석될 수 있다. 이 ‘아름다운 여자’라는 기의를 바르뜨는 이차적 의미라고 하였다. 위에 설명한 ‘초딩’이라는 단어는 초등학생이라는 의미를 지니지만, 초등학생이 나이가 어리고, 정신적으로 신체적으로 미성숙하며, 사회적 경험이 많지 않다는 것을 통하여, 정신적으로 미성숙하고, 생각이 부족한 사람이라는 이차적의미로 해석 될 수 있는 것이다. ‘즐’의 경우는 의미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전체 맥락을 파악함으로써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 참고
<온라인상에서 영어로 이루어지는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게임이론의 예>
영어에서는 한글에서와 조금 다르게 신조어나 원래의 단어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기보다, 원래의 단어를 줄여 사용하는 약어 형태의 언어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1) Wutz up?(What\'s up?)
위와 같이 영어의 원래 단어형태를 보다 빠르게 키보드로 치기 쉽게 변형하거나, 원래의 단어의 형태를 소리가 나는 데로 표기하는 식의 새로운 언어를 사용하여 온라인상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2) I wuz like LOL(I was like laugh out loud)
위의 예문에서 ‘was’가 ‘wuz’로 변형 사용되었다. 이것은 키보드에서 손의 움직임을 더 쉽게 하여 타이핑 할 수 있게 하고, 단어의 발음 그대로 변형하여 사용되고 있다. ‘lol’의 경우 ‘laugh out loud‘ 란 긴 문장으로 한국에서는 ’ㅎㅎㅎ‘ 와 같이 실제로 웃고 있다는 감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영어에서는 보다 쉽고 빠르게 표현하고자 축약되어 사용하고 있다.
예3) I g2g(I got to go)
이 예문의 경우 I got to go 라는 원래의 문장을 온라인상에서 사용하기 쉽고 빠르게 하기 위해서 축약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같이 온라인상에서 소수 사람들끼리 약속되어져 사용되는 축약어도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게임이론’에 접목 시켜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언어는 처음에는 온라인상에서만 몇몇 사람들을 통해서만 사용되었지만 점차 그 사용수가 많아지므로 인해 오프라인 상에서도 사용되어지고 있고 많은 사람이 이해하고 사용하는 a.s.a.p.(as soon as possible)와 같은 몇몇의 단어는 영어사전에도 등록되어져있을 만큼 통용화 되고 있다.
요약어들의 예를 보면 아래와 같다.
<요약어>
4ya - for you
BTW - By The Way
IC - I See
ASAP - As Soon As Possible
CYA - See You (Seeya)
IGP - I Gotta Pee
BBL - Be Back Later
CYAL8R - See You Later (Seeyalata)
L8R - Later
B4 - Before
GFN - Gone For Now
LOL - Laugh Out Loud
BRB - Be Right Back
HAGN - Have A Good Night
OIC - Oh, I See
PITA - Pain In The Ass
Plz - Please
QSL - Reply
QT - Cutie
SYS - See You Soon
TA - Thanks Again
TGIF - Thanks God It\'s Friday
TNT - Till Next Time
TTYL - Talk To You Later
▶ 외계어
음운을 축약해 모뎀 통신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등장한 사이버 언어는, 초기에 안냐세요(안녕하세요),방가(반갑습니다) 등 \'줄임말\'을 많이 사용했다. 이후 인터넷 보급이 늘면서 답글, 폐인 등의 새로운 말이 나타났으며, 최근에는 숫자특수문자외국어들을 조합한 \'외계어\'가 사용되고 있다.
그렇다면 \'외계어\'는 앞에서 예로 들은 사이버 언어(초딩, 즐 등)와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
일반적 인터넷 사이버 언어는 음운 축약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에 반해, \'외계어\'는 ⓤㄹ│ ④그┃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2.03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19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