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어린이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아동 문학의 본질
2. 아동 문학의 특성

Ⅱ. 본 론
1. 아동 문학의 주제론적 접근
1) 어린이와 희생
2) 어린이와 지혜
3) 어린이와 사랑
4) 어린이와 전쟁
2. 아동 문학의 시대론적 접근
1) 한국 아동 문학의 흐름
2) 세계 아동 문학의 흐름
3. 아동 문학의 재해석
1) 영상매체
2) 동화책

Ⅲ. 결 론

본문내용

여겨진다. 이 때문에 비평이든 연구든, 자기 스스로의 양심과 사명감에 바탕하고 있는 운동 지향의 문학에서 나름대로 성과가 이어져 왔다는 사실을 기억하지 않을 수 없다. 운동 지향의 문학은 현장성실천성을 핵심으로 삼는 것이기에 학문적 연구보다는 비평 쪽에서 더 활발했다. 만일에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원을 양성하는 대학의 교육과정에서 필수로 아동문학 과목이 개설된다면 연구 방면의 상황이 훨씬 더 나아질 것이라 믿는다. 아동들에게 긍정적 효과를 가져다주고 성인에게는 내면적 거울의 역할로써 아동문학이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소감
20030710 고민희 : 아동학을 전공하고 있어서 인지 아동문학에 대해서 조사하면서 더 많은 애착과 관심을 가지고 이 과제를 준비했다. 아동문학론 수업을 들을 때는 아동문학에는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아이들에게 들려주어야하는지를 배웠다면 이 과제를 하면서 아동문학의 흐름과 현재 아동문학의 위치 그리고 나아가 방향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아동문학이 아이들에게 주는 긍정적 효과와 더불어 성인들에게도 영향을 주는 아동문학으로써 단단히 자리매김을 할 수 있기를 바래본다.
20030744 김영미 : 조별 발표 주제 중 ‘아동문학’ 이라는 주제는 아동학과이면서 국문과 복수전공을 하는 나에게는 다른 어떤 주제보다 눈길을 끌었다. 아동학과에서 실습을 나가면서 타과 학생들보다는 아동문학에 조금은 더 접해보면서 아동문학이 아동의 전 영역의 발달에 있어서 크나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순한 즐거움, 재미만을 위한 문학이 아닌, 인간의 첫 단계에 접하는 아동문학은 그 문학을 접하는 아동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접하게 함으로써 감성에 대해 배우게 하고, 이야기 속의 주인공이나 등장인물들을 접하면서 간접적으로 사회성을 발달시키는 등의 아동에게 있어서 여러 가지 긍정적 발달을 도모한다. 이런 아동이 지금 우리 사회에서는 단지 아동에게만 필요한, 아동만을 위한 문학으로 전락되고 있는데, 그러기 보다는 성인 역시 아동문학이 사람의 첫 마음인 동심을 품고 있듯이, 그 때의 순수함을 되찾고, 첫 마음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되었다.
20030784 박정은 : 학기 초에 교수님께서 발표 수업이 있다는 말에 덜컥 겁부터 났던 기억이 난다. 학교를 다니는 4년 동안 발표수업을 한 두 번 한 것도 아닌데 말이다. 여전히 발표 수업이란 것은 부담으로 느껴진다. 더군다나 나는 4학년이니까 내가 12학년 때 선배님들이 그랬던 것처럼 내가 좀 더 적극적으로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부담감이 내게는 발표수업이라는 과제보다 더 크게 다가왔다. 그러나 나는 이번 기회를 통해 평소 내가 관심 있던 분야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고 또한 많이 느낄 수 있었던 것 같다. 아동문학에 대해 조금이나마 자세히 알게 되어 기뻤음은 물론이며 내가 선택한 전공과 복수전공에 대해서도 좀 더 많은 애착을 느끼고 긍지를 가질 수 있는 보람된 순간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Report를 쓰는 시간동안 나에게 긍정적으로 도움 되는 많은 자극을 받을 수 있었고, 이는 내가 좀 더 좋은 방향으로의 발전을 꾀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번 조 발표 준비는 내가 4년 동안 공부해왔던 두 가지 전공을 하나로 접목시켜 양자를 통합해 볼 수 있었던 좋은 시간 이었고, 대학시절의 좋은 경험이 되어 영원히 추억으로 남을 것 같다. 이번 일을 계기로 하여 아동문학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앞으로도 이 분야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해야겠다는 다짐을 하면서 이번 보고서를 마무리한다.
20030876 이진
20030923 조혜정 : 언어는 아이들이 자신의 의사를 표출 할 수 있는 하나의 통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문학과 언어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말로 자기의 생각을 표현 할 수 있기 전부터 아이들은 엄마의 자장가를 듣게 되고 나아가 전래동화(옛날이야기)를 들으며 문학을 접하게 된다. 문학작품을 통해서 어린이들은 다양한 문체와 다양한 언어의 형태를 접하기 때문에 언어발달에 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언어뿐만이 아니라 문학을 통해서 자아적으로 성숙할 수 있고, 또 사회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 ‘문학과 어린이’라는 주제로 공부를 하면서 어린이들이 문학을 통해 무엇을 배우며, 반대로 문학 속에서 아이들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알게 되었다. 현대사회로 감에 따라 이야기 속의 주제의식들이 변해가는 양상도 옅볼 수 있었다.
20030923최지안 : 어린이와 문학이라는 주제를 조사하면서 과거에서 현대로 아동관이 변화함에 따라 문학에서 다뤄지는 아동의 위치나 역할 역시도 같이 변화하는 양상을 보면서 아동 문학과 사회에서의 아동관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고 생각되었다. 매일 매일이 어린이날이라고 불릴 만큼 아동의 위치가 상승되고 아동이 중시되는 현대사회에서는 아동 중심의 동화책뿐만 아니라 아동의 해당 연령 범위를 확대하여 영아, 유아, 심지어 청소년, 성인까지도 즐길 수 있는 동화가 등장하여 모든 계층에 걸친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하고 있다. 갈수록 삭막해져만 가는 사회 속에서 동화책이나 아동 문학 작품 하나로 마음을 따뜻하게 하고 자신만의 여유로운 시간을 가질 수 있다는 것 자체를 즐길 줄 아는 성인이 되도록 하고, 우리나라 아동 문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아동 문학을 만드는 작가나 그 안에 그림을 그리는 삽화가의 노력뿐만 아니라 아동 문학을 읽는 대상, 그리고 아동 문학을 둘러싼 환경까지도 지원을 아끼지 않고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느꼈다.
참고문헌
- 어린이 문학과 문화론, 오세은, 2006, 새미
- 아동문학론, 장혜순, 2002, 창지사
- 아동 문학의 이론과 실제, 박춘식, 1987, 박춘식
- 아동문학론, Smith,L.H, 1982, 교학연구사
- 아동 문학론, 스미스, 1974, 정음사
- 힌국문학 주제론, 이재선, 1989, 西江大學校出版部
- 어린이 이야기, 그 거세된 꿈, 최기숙, 2001, 책세상
- 어린이문학을 보는 시각, 김이구, 2005, 창비
  • 가격1,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7.02.05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24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