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운입기,손소독법,손말리기, 장갑끼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운입기,손소독법,손말리기, 장갑끼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손소독법, Gowning, Gloving
(1)손소독법(hand washing)
(2)손말리기
(3)가운입기(gowning)
(4)장갑끼기(폐쇄식:closed glove technique)

본문내용

e의 개수를 기록해 둔다.
두 번째 needle count는 복강이나, 흉강, 기타 수술절개부위가 봉합되고 있는 동안 하게 되며 이때 물론 sponge, 수술기계의 count도 함께 한다.
3)incorrect count
gauze, needle 또는 instrument의 count에 오류가 생겼을 경우 다음과 같이 한다.
①즉시 외과의사에게 알린다.
②모아놓은 거즈에 대한 gauze count를 다시한다.
③순환간호사는 쓰레기통, 수술침대 아래, 수술기계상 아래, 수술실 바닥 등을 점검 한다.
④소독간호사는 수술기계상, mayo stand, 방포 등을 다시 한번 점검한다.
⑤외과의사는 draping한 부위, 수술절개 부위 등을 점검한다.
⑥간호감독에게 gauze, needle, instrument의 \"incorrect count\"를 알리고 함께 점검한다.
⑦위의 노력을 했음에도 gauze, needle, instrument를 찾지 못하면 엑스레이 촬영을 한다.
⑧순환간호사는 사고보고서를 작성하여 오류가 있었던 gauze, needle, instrument를 찾기 위해 모든 노력과 조치를 취했다는 내용도 상세히 기록한다. 혹시 엑스레이 촬영에서 찾고자 하는 gauze, needle, instrument가 수술환자 의 체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어도 사고보고서를 작성한다. 이 사고보고서는 후에 발생될 문제 발생에 대한 법적인 책임의 소재 여부를 확실히 하는데에 도움 이 된다.
⑨사고보고서에는 소독간호사, 순환간호사, 외과의가 함께 서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수술실 기록지에 “gauze, needle, instrument count incorrect”라고 기 록한 후 소독간호사, 순환간호사, 외과의가 함께 서명하도록 한다.
7. 수술 환자 준비
수술전 환자의 일반적인 준비는 피부준비, 수술승낙서, 각종 검사결과, 수술전 시술(관장, 유치도뇨, 위장관 삽입 등)을 포함한다.
1)수술 승낙서
환자는 수술에 관한 결정을 내릴 권리가 있으며, 수술절차, 수술의 장단점에대해 설명을 들을 권리가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에게 수술과 관련된 내용을 설명해 주어야 하며, 다음의 내용을 확인해야 한다.
①환자 자신의 사인이 있어야 한다.- 소아 또는 무의식환자 등 사인이 불가능한 사람은 제외할 것.
②보호자 사인이 있어야 한다. - 법적으로 책임질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③보호자 사인없이 수술을 진행하고자 할때는 주치의 사인을 받아야 한다.
④서약서 쓴 날짜가 기록되어야 한다.
2)수술을 위한 각종검사
수술이 시행되기 전에 환자의 신체상태와 병리적 소견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 결과는 수술시기에 적절히 맞추어 준비되어야 한다. 수술에 관한 각종 검사는 혈액검사, 소변검사, 심장검사, 병리학적 검사, 방사선 검사, 초음파검사, 내시경검사, 혈량측정, 감각유발 검사 등을 포함한다. 환자에게 검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환자의 불안과 공포를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3)수술을위한 환자의 피부준비
◈목적: 피부청결을 통해 피부의 세균수를 줄여 세균침입 가능성을 최대한 방지
◈종류:
①기계적 청결: 소독액, 목욕, 샤워를 통해 미생물 제거
②면도
③피지제거: 탄화수소, 알코올, 아세톤등 사용
④소독: 소독제를 이용
◈방법: ①소독부위 아래에 타올이나 방포를 대준다. 수술부위를 2번확인한다.
②소독장갑을 착용
③스폰지는 적당히 소독용액을 짜낸 후 소독함
④수술부위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소독, 안에서 바깥쪽으로 원을 그리면서 소독
⑤수술부위는 스폰지로 4번정도 소독
⑥한 개의 스폰지는 한번만 사용
⑦복부수술시 배꼽소독을 먼저하고 소독액이 남아있지 않도록 마른 거즈로 닦아냄
◈효과: 피부의 세균수를 줄일 수 있다.
접착제의 부착을 용이하게 해준다.
피부표식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여 부위를 분명하게 확인하도록 함.
4)수술 전 투약
수술전 투약은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켜 주고,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제공하며, 또한 수술실 환경에 대한 감각을 둔화시키고, 기억이 상실되도록 하는데 필요하다. 수술전 투약의 효과는 호흡기계의 분비물을 감소시키고, 심혈관계에 대한 미주신경의 작용을 감소시켜 심장의 활동을 강화하며, 마취약의 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고통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제공해 준다.
5)수술전 처치 및 간호상태 확인
병실에서 가져온 기록지의 확인단계로 환자의 수술대기 지연으로 인한 불안요소를 줄이는 자료로 쓰기 위해 도착시간도 기록한다.
8. 소독과 멸균의 개념
1)멸균 및 소독의 정의
멸균(sterilization)이라 함은 대상으로 하는 물체의 표면 또는 그 내부에 분포하는 모든 세균을 완전히 죽이는 것,즉 무균(無菌)의 상태로 만드는 조작을 말하는 것이다. 여기에 대해 소독(disinfection)이라 함은 대상으로 하는 물체의 표면 또는 그 내부에 있는 병원균을 죽여 전파력 또는 감염력을 없애는 것, 즉 안전한 상태로 하는 조작을 말한다. 따라서 멸균은 소독의 가장 안전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①소독과 살균
소독이란 병원미생물을 죽이거나, 또는 반드시 죽이지는 못하더라도 활동하지 못하도록 감염력을 억제하는 조작을 말한다. 즉 소독은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살균은 모든 미생물을 대상으로, 세균을 완전히 죽여서 무균상태로 하는 조작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병원성 미생물은 외계에서는 저항력이 약하므로 비병원성의 미생물을 죽이는 조건 보다 쉽게 죽일 수 있다.
②소독의 종류
독의 종류에는 물리적 소독과 화학적 소독이 있다.
◈물리적 소독법: 저온살균법, 자비소독, 증기소독, 쉼멜부시소독, 건열멸균법, 소각화염법, 자외선소독법
◈화학적 소독법: 승홍수, 석탄산수, 크레졸수, 포름 알데히드, 알콜, 계면 활성제(비누), 과산화수소
③소독에 필요한 조건
1)물리적 인자(physical agents)
열***건열과 습열
수분***건열에 비해 습열이 살균효과가 좋다.
자외선***무영조사(無影照射),부착물제거
2)화학적 인자(chemical agents)
물***소독약은 먼저 물에 젖어있는 균체와 접촉하고 규막을 통하여 균체에 용해되어 들어가 단백질을 변성시킨다.엄밀히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2.05
  • 저작시기200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24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