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더욱 심하고 전격적이며 예후는 나쁘다. 내인성 천식은 일생 동안 계속되며 점차로 그 발작의 빈도와 정도가 심해지는 만성 질환이 된다. 또한 천식성 기관지염이 발생되고 폐기종이 발병하며 사망하기도 한다. 내인성 천식에서는 기도는 감염에 대해 반응하지만 피부 검사에서 특수 세균을 입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천식 발작과 재감염의 발생 사이에도 관련성이 없다.
천식의 원인 이론으로 세균에 대한 과민성이 제시되기는 했으나 이론이 입증되지 못하였다.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기종 환자에게 천식성 발작이 나타나는 것은 환자가 앓고 있던 만성 기도 폐쇄가 급격히 악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런 상태는 저산소증, 과잉탄산증, 호흡성 산독증으로 급격히 진행 될 수 있다.
▶ 외인성 및 내인성 천식의 특성
특성
외인성(알레르기성)
내인성(감염성)
발병
어렸을 때
35세 이후 성인
알레르기 가족력
양성
보통 음성
흡인성 또는 흡식성 알레르기 검사
양성
음성
IgE 항체의 수동적 이동
양성
음성
흡입성 항원에 대한 피부반응
양성
음성
IgE 반응자, 타입 1과의 연관성
양성
음성
호산구 증가증
양성
음성
백혈구에서 히스타민 유리
양성
음성
탈감작 치료
좋은 반응
불명확함
발작
급성이며 자연히 낫는다
병발적이고 심함
감염과 급성발작의 연관성
존재함
가끔 존재
증상과 징후
내인성과 동일
외인성과 동일
아스피린 민감성
음성
양성
예후
비교적 좋다
나쁜 편
급성 발작중 사망
드물다
발생
▶ 급성 천식 발작의 중증도 구분
단계
증상과 징후
FEV1 혹은 FVC
pH
PaO2
PaCO2
Ⅰ(경미)
경미한 호흡곤란
천식음
충분한 공기교환
50-80% 정도
정상 또는 ↑
정상 또는 ↓
정상 또는 ↓
Ⅱ(중증도)
쉴 때도 호흡장애
과호흡과 천식음
공기 교환은 정상이거나 감소
50%
대개↑
↓
↓
Ⅲ(심함)
현저한 호흡장애
천식음,무호흡음
기이맥
흉쇄유돌근의 퇴축
25%
정상이거나
↓
↓
정상이거나↑
Ⅳ(호흡부전)
심한 호흡장애
기면, 혼동
현저한 기이맥
흉쇄유돌근의 퇴축
10%
↓↓
↓
↑↑
2. 간호
1)급성 천식 발작 중 간호
발작 즉시 신속히 약물을 투여(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 산소)하고 약의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한다. 숨쉬기 편하도록 자세를 취해 주며, 기도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환자의 곁에서 안심시켜 주며, 환경의 자극물을 줄여 주고 휴식시킨다. 호흡의 특성과 횟수, 맥박,기침,빈도,땀의 양, 객담의 특성과 양, 정서상태 등을 평가한다.
지시된 산소요법을 시행하고 흡기를 습화시키며 응급시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고 감염의 징후를 관찰한다. 체액과 전해질의 불균형을 방지하고 수분을 섭취시키며 배설을 측정하고 땀을 많이 흘릴 때는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하여 오한을 방지한다. IPPB는 폐모세혈관 혈액양을 감소시켜서 동맥혈 PaO2와 관류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천식 환자에게는 좋지 않다. 만성 천식은 정서적 요인에 민감하므로 환자를 안심시키고 관심을 갖고 낙관저긍로 치료할 때 개선된다. 환자의 손 가까이에 초인종을 주고, 밤에도 불을 끄지 말고 약하게 켜놓아 안심시킨다.
2)급성 천식 발작 후 간호
발작을 일으킨 이유를 확인하여 보고한다. 환자는 지쳤으므로 휴식시키고 거담제를 투여한 후 체위배액을 시키고 발작 후에는 탈수를 막기 위해 많은 양의 수분을 섭취시킨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천식의 특성과 진단 검사를 설명하고 예방대책을 교육한다. 발작 중 간호나 폐물리요법, 휴식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의사의 허락 없이는 아무 약이나 먹지 말고,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표식을 해서 갖고 다니게 한다.
3)지속성 천식의 간호
지속성 천식은 호흡기의 염증이 원인이지만 그 외에도 약물, 심한 긴장, 항원 노출, 스테로이드 사용 중지, 호흡곤란의 결과로도 올 수 있다. 처방된 항생제나 스테로이드,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한다. 환경을 조절하여 휴식을 취하여야 하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기 위해 병원에 입원해야 한다. 좌위로 쉬게 하고, 수면을 위해 필요시 Chloral hydrate를 투여하고 베개를 비닐 카바로 싸고, 꽃가루와 먼지 등 여러 가지 자극을 주는 물질들을 피한다.
아스피린, penicillin, 마약성 진통제는 투여하지 않는다. 연식을 주고 염분은 1일 5gm 정도로 제한하며, 수분을 많이 섭취시키고, 영양상태를 좋게 유지한다. 객담배양검사와 cosinophil검사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진단 검사(EKG, 혈액검사, 소변검사, 가스분석)를 시행한다. 인공기도와 계속적인 인공호흡이 필요할 수 있다. 폐렴, 폐기능 손상, 심부전 및 산독증으로 또는 진정제를 과량 투여하여 사망하는 수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3. 예후
기관지 천식으로 인한 사망률이 최근 증가하고 있지만 예후는 좋은 편이다. 전반적인 건강관리와 약물 복용으로 거의 모든 경우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 어릴 때 발병한 외인성 천식의 예후가 더 좋다. 발작이 자주 반복되는 경우도 적극적으로 약물 치료를 하면 입원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 폐결핵 (Pulmonary tuberculosis)
1. 정의
폐결핵은 Mycobacteria of the tuberculous complex 주로 M. tuberculosis 에 의한 만성 감염성 질환이다.
2. 역학
-우리나라는 거의 모두 Mycobacterium tuberculosis
-1995년 통계에 의하면 균양률 : 0.22% , 유병률 : 1.0% , BCG 접종률 : 91.8%
-감염된 환자의 10%정도에서만 발병한다. HIV감염, silicosis, lymphoma, leukemia, hemophilia, CRF, immunosuppressed treatment, malnutrition, gastrectomy받은 환자에서 발병률이 높다. 25세에서 34세의 연령과 고령에서 호발한다.
-치료받지 않은 객담도말 양성환자가 주요 감염원이 된다. 기침이나 재채기할 대 생성되는 5-10um 미만의 작은 비말핵이 흡입되어 감염된다. 공동을 가진 환자, 기관지 결핵, 긴밀한 접촉을 오랜 기간 하는 경우 감염의 위험이 커진다.
3. 전파
1) 결핵균의 비말핵에 의한다. 즉 결핵균의 비말핵이 기침 , 재채기 , 말할
천식의 원인 이론으로 세균에 대한 과민성이 제시되기는 했으나 이론이 입증되지 못하였다.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기종 환자에게 천식성 발작이 나타나는 것은 환자가 앓고 있던 만성 기도 폐쇄가 급격히 악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런 상태는 저산소증, 과잉탄산증, 호흡성 산독증으로 급격히 진행 될 수 있다.
▶ 외인성 및 내인성 천식의 특성
특성
외인성(알레르기성)
내인성(감염성)
발병
어렸을 때
35세 이후 성인
알레르기 가족력
양성
보통 음성
흡인성 또는 흡식성 알레르기 검사
양성
음성
IgE 항체의 수동적 이동
양성
음성
흡입성 항원에 대한 피부반응
양성
음성
IgE 반응자, 타입 1과의 연관성
양성
음성
호산구 증가증
양성
음성
백혈구에서 히스타민 유리
양성
음성
탈감작 치료
좋은 반응
불명확함
발작
급성이며 자연히 낫는다
병발적이고 심함
감염과 급성발작의 연관성
존재함
가끔 존재
증상과 징후
내인성과 동일
외인성과 동일
아스피린 민감성
음성
양성
예후
비교적 좋다
나쁜 편
급성 발작중 사망
드물다
발생
▶ 급성 천식 발작의 중증도 구분
단계
증상과 징후
FEV1 혹은 FVC
pH
PaO2
PaCO2
Ⅰ(경미)
경미한 호흡곤란
천식음
충분한 공기교환
50-80% 정도
정상 또는 ↑
정상 또는 ↓
정상 또는 ↓
Ⅱ(중증도)
쉴 때도 호흡장애
과호흡과 천식음
공기 교환은 정상이거나 감소
50%
대개↑
↓
↓
Ⅲ(심함)
현저한 호흡장애
천식음,무호흡음
기이맥
흉쇄유돌근의 퇴축
25%
정상이거나
↓
↓
정상이거나↑
Ⅳ(호흡부전)
심한 호흡장애
기면, 혼동
현저한 기이맥
흉쇄유돌근의 퇴축
10%
↓↓
↓
↑↑
2. 간호
1)급성 천식 발작 중 간호
발작 즉시 신속히 약물을 투여(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 산소)하고 약의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한다. 숨쉬기 편하도록 자세를 취해 주며, 기도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환자의 곁에서 안심시켜 주며, 환경의 자극물을 줄여 주고 휴식시킨다. 호흡의 특성과 횟수, 맥박,기침,빈도,땀의 양, 객담의 특성과 양, 정서상태 등을 평가한다.
지시된 산소요법을 시행하고 흡기를 습화시키며 응급시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고 감염의 징후를 관찰한다. 체액과 전해질의 불균형을 방지하고 수분을 섭취시키며 배설을 측정하고 땀을 많이 흘릴 때는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하여 오한을 방지한다. IPPB는 폐모세혈관 혈액양을 감소시켜서 동맥혈 PaO2와 관류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천식 환자에게는 좋지 않다. 만성 천식은 정서적 요인에 민감하므로 환자를 안심시키고 관심을 갖고 낙관저긍로 치료할 때 개선된다. 환자의 손 가까이에 초인종을 주고, 밤에도 불을 끄지 말고 약하게 켜놓아 안심시킨다.
2)급성 천식 발작 후 간호
발작을 일으킨 이유를 확인하여 보고한다. 환자는 지쳤으므로 휴식시키고 거담제를 투여한 후 체위배액을 시키고 발작 후에는 탈수를 막기 위해 많은 양의 수분을 섭취시킨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천식의 특성과 진단 검사를 설명하고 예방대책을 교육한다. 발작 중 간호나 폐물리요법, 휴식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의사의 허락 없이는 아무 약이나 먹지 말고,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표식을 해서 갖고 다니게 한다.
3)지속성 천식의 간호
지속성 천식은 호흡기의 염증이 원인이지만 그 외에도 약물, 심한 긴장, 항원 노출, 스테로이드 사용 중지, 호흡곤란의 결과로도 올 수 있다. 처방된 항생제나 스테로이드,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한다. 환경을 조절하여 휴식을 취하여야 하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기 위해 병원에 입원해야 한다. 좌위로 쉬게 하고, 수면을 위해 필요시 Chloral hydrate를 투여하고 베개를 비닐 카바로 싸고, 꽃가루와 먼지 등 여러 가지 자극을 주는 물질들을 피한다.
아스피린, penicillin, 마약성 진통제는 투여하지 않는다. 연식을 주고 염분은 1일 5gm 정도로 제한하며, 수분을 많이 섭취시키고, 영양상태를 좋게 유지한다. 객담배양검사와 cosinophil검사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진단 검사(EKG, 혈액검사, 소변검사, 가스분석)를 시행한다. 인공기도와 계속적인 인공호흡이 필요할 수 있다. 폐렴, 폐기능 손상, 심부전 및 산독증으로 또는 진정제를 과량 투여하여 사망하는 수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3. 예후
기관지 천식으로 인한 사망률이 최근 증가하고 있지만 예후는 좋은 편이다. 전반적인 건강관리와 약물 복용으로 거의 모든 경우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 어릴 때 발병한 외인성 천식의 예후가 더 좋다. 발작이 자주 반복되는 경우도 적극적으로 약물 치료를 하면 입원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 폐결핵 (Pulmonary tuberculosis)
1. 정의
폐결핵은 Mycobacteria of the tuberculous complex 주로 M. tuberculosis 에 의한 만성 감염성 질환이다.
2. 역학
-우리나라는 거의 모두 Mycobacterium tuberculosis
-1995년 통계에 의하면 균양률 : 0.22% , 유병률 : 1.0% , BCG 접종률 : 91.8%
-감염된 환자의 10%정도에서만 발병한다. HIV감염, silicosis, lymphoma, leukemia, hemophilia, CRF, immunosuppressed treatment, malnutrition, gastrectomy받은 환자에서 발병률이 높다. 25세에서 34세의 연령과 고령에서 호발한다.
-치료받지 않은 객담도말 양성환자가 주요 감염원이 된다. 기침이나 재채기할 대 생성되는 5-10um 미만의 작은 비말핵이 흡입되어 감염된다. 공동을 가진 환자, 기관지 결핵, 긴밀한 접촉을 오랜 기간 하는 경우 감염의 위험이 커진다.
3. 전파
1) 결핵균의 비말핵에 의한다. 즉 결핵균의 비말핵이 기침 , 재채기 , 말할
추천자료
<간호학특론> 서치만의 질병과정 중산층과 빈곤층의 만성질환자
<간호학특론> 서치만의 질병과정에 대해 논하시오 (중산층과 빈곤층의 만성질환자 각 1인씩, ...
간호학 특론 C형 서치만의 질병과정에 대해 논하시오. 중산층과 빈곤층의 만성질환자 각각 1...
COPD 간호과정
copd 케이스 스터디
[간호학특론C]서치만의 질병과정에 대해 만성질환자와 급성질환자를 비교하여 사례분석하여 ...
[간호학특론D]서치먼의 단계별 질병과정모형을 적용한 의료추구행위분석을 하시오.(급성질환...
간호학특론4B)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만성질환자와 급성질환자의 건강예방행위를 비교하여...
[간호이론C]스트레스이론과 관련해 작성.(만성질환자 1인을 선정 인구사회적 생활습관특성 기...
[간호이론D형]압델라의 환자중심간호접근법과 관련해 작성하시오-<주요개념, 만성질환자 1인...
간호학특론 B형) 서치만의 단계적 질병과정모형, 서치만이 제시한 단계적 질병과정모형에 대...
[간호학특론] 서치만이 제시한 단계적 질병과정모형에 대해 설명. 또한 중산층과 빈곤층의 만...
간호학특론]서치만이 제시한 단계적 질병과정모형에 대해 설명. 또한 중산층과 빈곤층의 만성...
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