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단과 의사결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판단과 의사결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실제는 딸이나 아들 출산은 서로 독립적 사건이기 때문에, 각각 50%, 50%의 확률이지만, 사람들은 딸이 둘인 다음에는 아들일 것이라고 믿는다.
도박사의 오류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판단의 오류이다.
잃고 따는 것, 딸 낳고 아들 낳는 것은 앞의 사건에 의존하지 않는 전혀 독립적 사건인 것이다.
④ 예언 가능성의 무시
어떤 상황(대상)에 대해 記述이 주어질 때, 사람들은 그 기술의 예언의 정확성이나 증거의 신빙성 보다는 그 기술이 그 대상을 호의적으로 기술했느냐에 치중하여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⑤ 타당성의 착각
주어진 정보의 신뢰성, 내적 일관성, 충분성에 상관없이 사람들은 그 정보와 자기 자신의 기대 결과의 부합성에 의해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신입 사원 채용에서 면접 결과에 의존--아집적 경향
⑥ 회귀에 대한 오해
어떤 현상에 대한 반복된 표집(sampling)을 해보면 그 현상의 특성이 평균으로 회귀하는 특성을 보임이 자연 법칙의 특성이다.
Galton의 조사
예를들어, 조종사 훈련 교관이, 착륙을 잘 한 생도를 칭찬했는데, 다음 날 형편없는 착륙을 했다. 반면 착륙을 잘 못한 생도를 꾸짖었는데 다음 날 착륙을 잘 하였다. 이 결과에 근거하여 그 훈련 교관은 칭찬보다 꾸짖음이 효과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가용성(可用性, availability) 편법
사람들은 사건을 쉽게 기억할 수 있거나 또는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정도에 따라 그 대상의 발생 빈도나 확률을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① 범례의 인출 가능성에 기인한 편향
남녀 저명인사 반반씩(20:20) 있는 혼합 목록을 읽게 한 후, 남녀 중 어느 쪽이 더 많았는가 하고 물으면, 사람들은 유명한 사람이 더 많았던 성별 쪽으로 대답한다. 이는 내용 항목의 친숙성, 최신성, 현저성 등이 정보의 가용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② 집합의 탐색 효율성에 기인한 편향
r로 시작하는 영어 단어수와 r자가 3번째 글자인 영어 단어수 중에서 어느 것이 더 많은가라는 질문에서 정답은 후자인데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전자가 더 많다고 답한다. 이는 전자가 기억내에서 떠올리기 쉽고 탐색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③ 상상에 의한 편향
사례들을 쉽게 상상(생성) 가능한 경우 사람들은 빈도를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들어 10명의 임원들로부터 여러 개의 소위원회를 구성한다고 했을 때, 2명으로 구성된 소위원회를 몇 개나 만들 수 있으며 8명으로 구성된 소위원회는 몇 개나 만들 수 있는가라는 질문
④ 착시적 상관
한 사건이 의미적으로 다른 하나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으면 함께 발생할 가능성을 실제보다 높이 평가한다.
예를들어 정상인이 그려 놓은 조금 이상한 그림들을 제시해주고, 이 그림들은 정신분열증 환자와 정상인이 그린 것이다라고 한다면, 사람들은 그림들의 대부분을 정신분열증 환자가 그린 것이라고 판단할 것이다.
조정과 정박(adjusting & anchoring) 편법
사람들은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 주어진 시초값에 따라 다른 판단을 한다. 이러한 조정과 정박(닻내림) 편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UN내의 아프리카 국가 수는 몇인가?
ⓐ 다음 수(X)보다 큰가, 적은가 ⓑ 그렇다면 국가의 정확한 개수는 얼마인가? 하고 묻는다고 하자. 질문 결과, 한 집단에게 X=20을 주었을 때,
사람들은 ⓐ크다. ⓑ25로 대답하였고,
다른 집단에게 X= 65를 주었을 때,
사람들은 ⓐ적다. ⓑ45로 대답하였다.
동일한 물음인데 추론을 시작하기 위한 시초 출발(닻내림) 자료의 내용에 따라 그 추정이 크게 달라지는 이러한 결과는 조정 과정이 통상적으로 불충분하다는데 기인한다.
결합 규칙의 비사용 문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접합적인 連接的(연접적, conjunctive) 사건의 확률은 과대 평가하고, 이접적(離接的, disjunctive) 사건들의 확률은 과소 평가한다.
‘31세의 영희는 독신이고, 말이 많고, 아주 똑똑하다. 철학을 전공했고, 남녀차별과 사회정의에 관심이 많고, 반핵 데모에도 참가했었다.’ 는 진술문을 주고 다음 세 가지중 현재 그녀를 나타내 줄 가능성이 높은 순서대로 등수를 매겨 보라고 했을 경우,
a) 영희는 여성 운동에 활동적이다.
b) 영희는 은행 출납계원이다.
c) 영희는 여성 운동에 활동적인 은행 출납계원이다.
일반인들의 답은 대체로 a> c> b의 순서를 보인다. 그러나 정답은 a > c 및 b> c이다. 왜냐하면 확률 규칙에 의거하면 연접 접속사건 c의 확률은 a와 b의 동시 발생 비율과 같기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2.07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28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