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About Grand Hyatt Seoul
2. 호텔회계의 이론
가. 호텔회계의 발전과정
나. 호텔업의 경영회계학적 특성
다. 호텔회계의 특징
라. 호텔회계의 기능
마. 기업회계기준과 USAL의 비교
3. 특1급 호텔재무 현황 및 분석
가. 대차대조표
나. 손익계산서
다. 비율분석
4. Grand Hyatt Seoul의 재무적 특성
가. 비상장
나. No Show 처리
다. Skipper 처리
라. 특수계정과목
※ 별첨1 : 인터뷰 내용
※ 별첨2 : Accounting Manual
1. About Grand Hyatt Seoul
2. 호텔회계의 이론
가. 호텔회계의 발전과정
나. 호텔업의 경영회계학적 특성
다. 호텔회계의 특징
라. 호텔회계의 기능
마. 기업회계기준과 USAL의 비교
3. 특1급 호텔재무 현황 및 분석
가. 대차대조표
나. 손익계산서
다. 비율분석
4. Grand Hyatt Seoul의 재무적 특성
가. 비상장
나. No Show 처리
다. Skipper 처리
라. 특수계정과목
※ 별첨1 : 인터뷰 내용
※ 별첨2 : Accounting Manual
본문내용
/ 클럽회계처리기준 : Uniform System of Accounts for Club, USAC)
2. 호텔업의 경영 회계학적 특성
가. 경영 관리적 특성
첫째, 호텔경영은 기계화의 한계성을 내포하고 있다. 호텔기업은 인적서비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경영자원으로서 인적자원이 중요하며 이로 인해 기계활용에 한계가 있다. 둘째, 인적 서비스에 대한 의존성이 높기 때문에 호텔경영은 고객의 안내, 접객업무, 판매서비스 , 고객편의 서비스 등에 있어서 인적자원이 경영의 중심이 된다. 셋째, 호텔경영은 일시적 초기투자비용이 높고 고정자산 비율이 높다. 넷째, 호텔 상품의 생산, 공급의 특수성으로 상품의 무형성, 계절성, 수요의 비신축성과 공급의 탄력성이라는 특성이 있다. 다섯째, 경영시설의 조기 노후화 현상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를 요약해보면 표1과 같다.
운영상의 특성
시설상의 특성
경영상의 특성
1. 서비스의 전략적 운영필수
2. 각 부문간의 협조필수
3. 연중무휴 운영
1. 고정자산 의존성
2. 시설의 조기 노후화
3. 저 생산적 공공장소 많음
1. 기계화/자동화의 한계성
2. 높은 고정비 지출
3. 수입의 불안정성
4. 상품저장 불가능성
나. 재무적 특성
(1) 고정자산의 비중이 높아 재무구조상 유동성에 압박을 받을 수 있다.
(2) 시설이 조기에 노후화되는 특성이 있어서 유지, 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3) 판매상품에 특수성이 있다.
(4) 매출액의 약 30~40%가 종업원의 임금이나 급료, 기타 복리후생비로 구성되어 인건비의 비중이 높다.
(5) 호텔기업은 1일 24시간 365일 연중무휴로 영업활동을 해야 하며 동시에 계절성을 탄다. 다라서 주기별로 재무적 의사결정을 적절히 해야하며 운영자금 확보 전략이 중요하다. 일별주기, 주별주기, 계절주기, 경기 순환주기 등의 특성으로 인해 종업원 운영계획이(임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므로) 적절한 예측을 통해 각 주기마다 전략적으로 접근되어야 한다.
3. 호텔회계의 특징
호텔경영은 고객에게 서비스 상품, 환경, 전달 시스템을 경험하여 하여 그 품질로 거래를 이어가는 활동이다. 이러한 경험의 품질은 그 관리가 매우 복잡하고 표준화하기가 어려운게 시실이다. 왜냐하면 100명이면 100명의 고객이 모두 다른 동기와 가치를 가지고 거래를 하고 다른 배경과 문화 속에서 구매하기 대문이다. 또한 종사원들도 100명이면 100명의 종사원 모두가 다른 동기와 가치관을 가지고 다른 근무배경과 문화 안에서 고객을 접하게 될 것이다. 이 때 고객은 그야말로 순간적으로 지나가는 경험으로 품질을 평가하고(John Carlson 에 의하면 15초 이내에 평가가 마감된다 함) 종사원은 이를 고나리, 경영해야 한다. 다른 종사원들이 다른 고객들을 다른 장소와 시간에 다른 방법으로 만족시켜야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고객이 체재하면서 수많은 업장들을 방문하게 되고 어느 곳, 어느 순간 잠시도 방심할 수 없는 그야말로 MOT(Moment Of Truth) 비즈니스이며 이러한 고객들이 매일매일 바귀면서 끊임없이 고객 만족을 위해 나서야 하는 비즈니스이다. 이러한 비즈니스의 거래를 기록하고 정보원천을 만드는 호텔회계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개의 특징을 갖는다.
가. 판매시점(POS : Point Of Sales) 관리회계
호텔영업은 판매장소와 거래의 발생시점이 다르고 빈번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판매 시점관리가 필요하고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나. 고객별 회계
호텔서비스는 고객 개개인에게 특화되어 제공되므로 고객별 회계관리가 필요하다.
다. 부문별 업적평가회계
호텔영업으로 인한 수익과 비용은 여러서비스 부문별로 발생하므로 부문별 업적평가회계가 적용되어야 한다.
라. 일일결산회계
호텔영업은 24시간 이루어지며 매일의 서비스 제공에 대한 모든 고객이 지불한 금액과 지불할 금액을 정확히 등록확인하는 일일 결산회계를 한다. 매일매일의 결산으로 하는 Night Auditor(야간 감사원)의 업무는 다음과 같다.
※ 일일결산 과정
미처리계정의 마감 → 객실요금의 확인 → 예약부도의 처리 → 영업장의 정산 → 기타매출의 처리
마. 매출채권(외상매출금, 받을 어음)의 구분관리
호텔영업으로 인한 외상매출금 중 호텔투숙객에 대한 외상매출금은 Guest Ledger에 기록되어 Check-out 시점에 정산되며, Guest Ledger에 기록되지 않은 모든 외상매출금은 City Ledger에 기록되고 정산되어야 한다.
4. 호텔회계의 기능
동종업종 간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 제고
주요 수익창출 부문별 성과의 분석, 평가 정보제공
책임 회계제도의 중요성 인식과 적용
통계 및 분석 정보의 활용에 기여
5. 기업회계기준과 USAL의 비교
오늘날의 회계실무는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이란 회계실무의 지침으로 다수의 권위 있는 전문가에 의하여 합의되고 많은 사람들로부터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는 회계기준이다.
가장 대표적인 GAAP(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는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 1월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의해 금융감독위원회로부터 위탁을 받아 한국회계연구원이 회계정보의 유용성과 기업회계기준의 국제적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기업회계기준을 제정하거나 기존의 기업회계기준을 개정한 기업회계 기준서이다.(구체적인 내용은 한국회계연구원 홈페이지-www.kasb.or.kr을 참고하면 된다.) 미국의 경우는 재무회계기준심의회에서 발표하는 보고서이다. 특별히 호텔기업만을 위한 회계기준은 우리의 경우는 아직 제정되어 있지 않으나, 미국의 경우는 뉴욕시호텔협회에서 제정하고 미국호텔,모텔협회에서 승인하는 USAL이 마련되어 있다. 호텔회계기준 제정 위원회는 호텔기업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호텔회계에 대한 일정한 준칙을 제정하고 그 준칙에 따라 회계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각계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다.
가. 기업회계기준
기업회계기준은 1981년 12월 제정 후 여러차례 개정되어 1998년 12월 전문 개정되어 오늘날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 2005년 1월에 개
2. 호텔업의 경영 회계학적 특성
가. 경영 관리적 특성
첫째, 호텔경영은 기계화의 한계성을 내포하고 있다. 호텔기업은 인적서비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경영자원으로서 인적자원이 중요하며 이로 인해 기계활용에 한계가 있다. 둘째, 인적 서비스에 대한 의존성이 높기 때문에 호텔경영은 고객의 안내, 접객업무, 판매서비스 , 고객편의 서비스 등에 있어서 인적자원이 경영의 중심이 된다. 셋째, 호텔경영은 일시적 초기투자비용이 높고 고정자산 비율이 높다. 넷째, 호텔 상품의 생산, 공급의 특수성으로 상품의 무형성, 계절성, 수요의 비신축성과 공급의 탄력성이라는 특성이 있다. 다섯째, 경영시설의 조기 노후화 현상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를 요약해보면 표1과 같다.
운영상의 특성
시설상의 특성
경영상의 특성
1. 서비스의 전략적 운영필수
2. 각 부문간의 협조필수
3. 연중무휴 운영
1. 고정자산 의존성
2. 시설의 조기 노후화
3. 저 생산적 공공장소 많음
1. 기계화/자동화의 한계성
2. 높은 고정비 지출
3. 수입의 불안정성
4. 상품저장 불가능성
나. 재무적 특성
(1) 고정자산의 비중이 높아 재무구조상 유동성에 압박을 받을 수 있다.
(2) 시설이 조기에 노후화되는 특성이 있어서 유지, 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3) 판매상품에 특수성이 있다.
(4) 매출액의 약 30~40%가 종업원의 임금이나 급료, 기타 복리후생비로 구성되어 인건비의 비중이 높다.
(5) 호텔기업은 1일 24시간 365일 연중무휴로 영업활동을 해야 하며 동시에 계절성을 탄다. 다라서 주기별로 재무적 의사결정을 적절히 해야하며 운영자금 확보 전략이 중요하다. 일별주기, 주별주기, 계절주기, 경기 순환주기 등의 특성으로 인해 종업원 운영계획이(임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므로) 적절한 예측을 통해 각 주기마다 전략적으로 접근되어야 한다.
3. 호텔회계의 특징
호텔경영은 고객에게 서비스 상품, 환경, 전달 시스템을 경험하여 하여 그 품질로 거래를 이어가는 활동이다. 이러한 경험의 품질은 그 관리가 매우 복잡하고 표준화하기가 어려운게 시실이다. 왜냐하면 100명이면 100명의 고객이 모두 다른 동기와 가치를 가지고 거래를 하고 다른 배경과 문화 속에서 구매하기 대문이다. 또한 종사원들도 100명이면 100명의 종사원 모두가 다른 동기와 가치관을 가지고 다른 근무배경과 문화 안에서 고객을 접하게 될 것이다. 이 때 고객은 그야말로 순간적으로 지나가는 경험으로 품질을 평가하고(John Carlson 에 의하면 15초 이내에 평가가 마감된다 함) 종사원은 이를 고나리, 경영해야 한다. 다른 종사원들이 다른 고객들을 다른 장소와 시간에 다른 방법으로 만족시켜야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고객이 체재하면서 수많은 업장들을 방문하게 되고 어느 곳, 어느 순간 잠시도 방심할 수 없는 그야말로 MOT(Moment Of Truth) 비즈니스이며 이러한 고객들이 매일매일 바귀면서 끊임없이 고객 만족을 위해 나서야 하는 비즈니스이다. 이러한 비즈니스의 거래를 기록하고 정보원천을 만드는 호텔회계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개의 특징을 갖는다.
가. 판매시점(POS : Point Of Sales) 관리회계
호텔영업은 판매장소와 거래의 발생시점이 다르고 빈번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판매 시점관리가 필요하고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나. 고객별 회계
호텔서비스는 고객 개개인에게 특화되어 제공되므로 고객별 회계관리가 필요하다.
다. 부문별 업적평가회계
호텔영업으로 인한 수익과 비용은 여러서비스 부문별로 발생하므로 부문별 업적평가회계가 적용되어야 한다.
라. 일일결산회계
호텔영업은 24시간 이루어지며 매일의 서비스 제공에 대한 모든 고객이 지불한 금액과 지불할 금액을 정확히 등록확인하는 일일 결산회계를 한다. 매일매일의 결산으로 하는 Night Auditor(야간 감사원)의 업무는 다음과 같다.
※ 일일결산 과정
미처리계정의 마감 → 객실요금의 확인 → 예약부도의 처리 → 영업장의 정산 → 기타매출의 처리
마. 매출채권(외상매출금, 받을 어음)의 구분관리
호텔영업으로 인한 외상매출금 중 호텔투숙객에 대한 외상매출금은 Guest Ledger에 기록되어 Check-out 시점에 정산되며, Guest Ledger에 기록되지 않은 모든 외상매출금은 City Ledger에 기록되고 정산되어야 한다.
4. 호텔회계의 기능
동종업종 간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 제고
주요 수익창출 부문별 성과의 분석, 평가 정보제공
책임 회계제도의 중요성 인식과 적용
통계 및 분석 정보의 활용에 기여
5. 기업회계기준과 USAL의 비교
오늘날의 회계실무는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이란 회계실무의 지침으로 다수의 권위 있는 전문가에 의하여 합의되고 많은 사람들로부터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는 회계기준이다.
가장 대표적인 GAAP(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는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 1월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의해 금융감독위원회로부터 위탁을 받아 한국회계연구원이 회계정보의 유용성과 기업회계기준의 국제적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기업회계기준을 제정하거나 기존의 기업회계기준을 개정한 기업회계 기준서이다.(구체적인 내용은 한국회계연구원 홈페이지-www.kasb.or.kr을 참고하면 된다.) 미국의 경우는 재무회계기준심의회에서 발표하는 보고서이다. 특별히 호텔기업만을 위한 회계기준은 우리의 경우는 아직 제정되어 있지 않으나, 미국의 경우는 뉴욕시호텔협회에서 제정하고 미국호텔,모텔협회에서 승인하는 USAL이 마련되어 있다. 호텔회계기준 제정 위원회는 호텔기업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호텔회계에 대한 일정한 준칙을 제정하고 그 준칙에 따라 회계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각계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다.
가. 기업회계기준
기업회계기준은 1981년 12월 제정 후 여러차례 개정되어 1998년 12월 전문 개정되어 오늘날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 2005년 1월에 개
추천자료
발리지역의 호텔에 대해 조사
프라자와 리츠칼튼 회계자료분석 및 경영전략
르네상스 서울 호텔의 재무제표 분석 A+레포트
호텔 등급 심사제도
[사회과학] 강원랜드 기업분석
마카오의 도시브랜드마케팅 - 관광산업의 미래
크루즈관광의 사례와 관광상품 개발
불황속 호텔의 살길(웰빙과 실버전략)
호텔 견학 보고서 - 강남 르네상스 서울
[호텔] 호텔의 개념과 분류
힐튼호텔 호텔경영사례분석 및 힐튼 마케팅전략 분석 자료.ppt
서울신라호텔,서울힐튼호텔,제주신라호텔,제주롯데호텔,호텔서비스경영,호텔기업분석,서비스...
[컨벤션산업론] 국제건축박람회
크루즈관광,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