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포장개발과 환경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새로운 포장개발과 환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소비자에게 많은 이익을 안겨주는 포장재로 인식될 것이다. 각 산업계는 소비자에게 이에 관한 홍보를 해야 할 것이며,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는 포장형태를 또한 개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두가지 환경 문제, 즉 자원의 낭비와 폐기시의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의 3R을 고려한 플라스틱병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재사용(Reuse): 용기를 재사용하여 낭비를 없앤다.
-감량(Reduce) : 무게를 줄여 재료량을 감소한다.
-리사이클(Recycle): 재료를 용기 제작에 재사용하거나, 부재료로
사용한다.
1. 재사용
독일을 비롯하여 유리용기를 재사용하는 나라들의 경우, 탄산음료수 재생 PET병의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다.
재사용된 PET병은 재충전된 유리용기에 비해 더 많은 이점을 지니고 있으며, 무게가 매우 가벼우므로 수송이나 최종 사용시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포장시 안전하며 큰 용량을 포장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유리에 비해 음료 제조업자가 다량의 내용물을 담는데 이 PET병을 (재사용된) 사용할 경우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유럽 대부분의 지역을 비롯해 라틴아메리카와 아시아 일부 나라에서도 재 사용된 PET병 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전세계적으로 약 15%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볼 때, 재 사용된 PET병을 사용할 경우, 폐기시 야기될 수 있는 환경문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러한 포장용기를 좀더 세밀히 연구를 할 경우 그 예상이 빗나갈 수도 있다.
1회용 PET에 비해 단점으로 지적되는 몇가지 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회용 용기에 비해 재료가 2배 정도 더 소요된다.
-재사용된 용기를 수집하고 운송하는 데 별도의 비용이 든다.
-병을 세척하는 데 별도의 노동력이 필요하다.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다. 오염감지기를 충전라인에 설치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일본의 경우에서처럼 일부 문제가 발생한 바
있다.
-반복해서 용기를 사용할 경우, 용기 품질에 대한 의문점이 야
기되며, 한계 사용횟수는 20회로 나타났다.
1회용 PET병만을 줄곧 사용해오던 시장에서는 PET병보다 훨씬 덜 편리한 포장형태의 사용량이 대신 증가하리라고는 예상하지 않는다. 따라서 미국이나 영국, 프랑스, 스페인, 이태리, 일본, 호주 등지에서 재사용된 PET병의 사용량은 당분간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 탄산음료를 제외한 기타의 제품에 대해서도 재사용된 플라스틱 병이 사용되는데 스위스나 스웨덴에서는 우유를 재사용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용기에 포장하고 있다. 미국이나 영국에서는 재사용한 용기에 사무실용 식수를 담고 있고, 한편 독일에서는 쥬스를 PET용기에, 그리고 일본에서는 맥주를 재사용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용기에 담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재사용한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환경문제를 어느 정도 감소시킬수 있다.
2. 포장재료의 절감
무게를 가볍게 하여 포장재료를 줄이는 것은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아울러 단위비용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재료량을 줄일 경우, 포장용기의 무게가 가벼워짐에 따라 제조속도가 훨씬 빨라지고 생산비용도 감소되는 장점이 있으며, 실제로 다량의 생필품 시장에서 이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영국의 경우, 1980년 83g이던 2리터들이 탄산음료수 용기의 무게를 48g으로 줄여 32% 정도 경량화시켰으며, 매우 가벼운 중량의 용기를 우유포장에 활용하였다. 병의 무게를 감소하면 용기의 강도(Rigidity)역시 약해진다. 그러므로 용기에 내용물이 없을 경우 그대로 부식되는 특성을 지닌 병을 고안하여 폐기가 용이하도록 하고 나아가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독일의 Thurn Chemine사는 폐기시 썩는 가정용 25g, 1 리터들이 병으로된 크리너를 개발하여 이것을 1차 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스위스의 AG사가 “Fottle”이라는 상표명으로 접음식 병을 개발하였는데, 병을 접으므로써 쓰레기 폐기량을 90%까지 감소기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의 포장은 재사용되고 있다. 액체용 화장실 세제의 재사용(재충전)포장형태도 있는데, 이들 용기들은 경량의 기타 다른 포장형태와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포장재료에 비해 경량의 플라스틱 병이 지닌 뛰어난 장점을 살펴보면, 1)제품디자인의 독특함, 2)보다 손쉬운 취급, 3)기존 충전장비의 사용가능, 4)단층 재료의 구성등이 있다. 재료의 무게를 보다 가볍게 하기 위한 개발이 향후에도 계속 이루어질 것이다.
3. 리사이클
환경문제 가운데 세번째 요인인 리사이클링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다. 기타의 포장재료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병의 경우에도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는데 있어 리사이클 측면이 가장 중시되어야 할 부문중에 하나이다. 이를 위해서는 용기를 수거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재료를 분리, 세척할 수 있는 세부구조를 개발해 내는 것이 급선무이다.
한편 “Bring”시스템과 “Kerbside”시스템으로 대분되는 플라스틱 병의 수거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이 두 방법 모두 각 가정에서 일반 쓰레기와 플라스틱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장소에 수집하거나 분리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 두 방법 가운데 Kerbside 시스템이 보다 수거비용이 적게 들므로 효용이 높다고 할 수 있다.
LMG Fibrenyle사는 영국회사인 Recoup를 통해 플라스틱 병 수거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으며 HDPE, PET, PVC등의 혼합 플라스틱 병을 수거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폐기물을 수거하여 세척하는 것이 가장 큰 작업이고 또한 가장 어려운 작업인데, 플라스틱 병 재료의 수거가 엄격한 관리하에 이루어진다면 보다 용이해질 수도 있다. 예컨대, PET 음료수 병과 HDPE 우유병만을 수거하는 제도가 미국에서 채택되고 있으면, 그 결과 재사용되는 플라스틱의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Recoup사는 모든 형태의 플라스틱 병을 수거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들 재료들은 정밀한 자동 기계장비를 갖춘 Reprise공장에서 분리되어 순도
  • 가격3,0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07.02.11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39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