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영화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립영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독립영화의 정의

2. 독립영화의 역사
- 자본과 영화언어로부터의 독립
- 배급으로부터의 자유

3. 독립영화의 다양한 장르
- 실험영화의 아버지 - 스탠 브래키지 Stan Brakhage
- 이본 라이너 Yvonne Reiner의 실험적 극영화
- 인류애에 바탕을 둔 다큐멘터리
- 크리스틴 최의 제3세계 뉴스릴
- 여성 인디영화

4. 인디영화의 발판
- NYU와 뉴욕영화제
- 인디영화 전문 상영관 - 안젤리카 영화센터와 필름포럼
- 인디영화의 후원자들 - NYSCA와 AIVF

5. 우리나라의 독립영화

본문내용

우리는 어쩌면 지금까지 헐리우드의 보수적이고 허구적인 영화만 보고 있을지도 모른다. 예술가는 자유롭게 표현할 권리가 있고 관객은 다양한 영화를 볼 권리가 있다. 뉴욕의 인디 영화는 그 당연한 사실을 위해 헐리우드와 싸웠고 또 승리를 거두고 있다.
하지만 헐리우드로부터 자유로운 것이 인디라고 하는데 반해, 어떤 체제에서 만들었건 간섭을 받지 않고 만들었다면 그것도 인디 영화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울루 그로스바드의 말을 빌면 소규모의 예산으로 영화를 시작해 진짜 독립적인 방식으로 만드는 경우도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인디 제작자들도 감독과 견해차가 생기면 헐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만큼이나 작품에 간섭한다. 반면 헐리우드라고 해서 모두 감독의 영화에 간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제로 요즘 인디 영화 중 상당수는 제작 때부터 헐리우드나 다른 거대 배급사와 연결되어 있다.
-배급으로부터의 자유
인디영화는 보수적인 기성세대 중심의 문화를 거부하고 그 밑에 감춰진 많은 하위문화를 드러나게 함으로써 마이너리그의 반항아가 되었다. 그 덕분에 배급구조에서조차 인디들은 마이너리그가 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인디 감독들은 직접 배급에 나서게 되었다. <브라더스 키퍼 The Brother\'s Keeper>(1992)는 감독이 직접 배급한 대표적인 영화이다. 이 영화를 공동 연출한 조 벌링어 Joe Berlinger와 브루스 시노프스키 Bruce Synofski는 신용카드로 대출받은 돈으로 주말에만 영화를 촬영했다. 그리고 모든 영화관과 직접 접촉하고, 포스터를 만들고, 홍보활동을 했다. 결국 이 작품은 전 세계 19개 나라에서 상영되어 150만 달러의 수익금을 올렸다. 이런 현상은 전문 배급사들이 주류에 속하지 않는 인디 영화가 겨냥하는 관객에 대해서는 아무런 지식이 없다는 데서 온다. 그들은 그냥 영화를 영화관에 던져버리는 일밖에 할 줄 모른다. 이것이 이른바 ‘고기이론 meat theory’인데 스크린을 향해 영화를 던져서 그것이 고깃덩어리처럼 스크린에 달라붙으면 성공한다는 식이다.
이에 반해 조나 브루스 같은 자체 배급자나 KGM3 엔터테인먼트 같은 인디 배급회사들은 배급하려는 작품과 그 작품이 지향하는 관객층을 잘 이해하고 그것에 근거해 마케팅과 홍보활동을 한다.
우려스러운 현상은 최근 주류 영화산업이 수평, 수직으로 통합되면서 소수 독점체제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펄프픽션>의 제작사 미라맥스 Miramax가 인디로 성공하자 디즈니가 재빨리 이 회사를 사버린 일이라든지, ‘파인 라인 Fine Line’이 타임-워너에 흡수된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런 독점화로 인디에서 시작해 영화산업의 주류에 동참할 수 있는 감독의 수가 줄어들지도 모른다.
3. 독립영화의 다양한 장르
- 실험영화의 아버지 - 스탠 브래키지 Stan Brakhage
250편의 작품을 만들었는데 몇 초짜리에서 몇 시간짜리까지 다양하다. <개, 별, 인간 Dog Star Man>(1959~1964)은 1950년대 미국 독립영화의 일부인 언드그라운드 영화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그 밖에 완성 작품의 편집용 프린트 사이에 나방의 날개, 꽃, 씨앗 등을 붙여 넣은 <나방불>, <마릴린의 창문> 등의 작품이 있으며, 필름을 긁어 새로운 효과를 시도한 실험적 작품 <흑색의 반영>도 있다. 특징적인 것은 이러한 그의 작품 대부분은 무성영화로 만들어졌는데 여타의 무성영화처럼 음악이 동반되는 것이 아니라 ‘추상적 그림이면서 동시에 정말 소리 없는 영화’라는 것이다.
- 이본 라이너 Yvonne Reiner의 실험적 극영화
1934년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나 1960년대부터 무용 안무가로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2.12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41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