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공학 전화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보통신 공학 전화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화기(Telephone

2. 기타전화기의 종류

3. 교환기

4.트래픽 이론

본문내용

ision of the subscriber loop(가입자의 hoof/off 감시)
C: Coding & decoding(아날로그와 디지털 음성신호의 상호변환)
H: Hybrid(2선-4선 전송방식 상호변환)
T: Test access to the subscriber loop(시험장치 연결)
이중에서 아주 오래된 아날로그 교환기에는 C,H기능이 없는 것이며 현재의 디지털교환기에서는 모두가 사용된다.
가입자 정합회로 블록도
가입자 정합회로는 각각의 가입자마다 필요한 것이므로 교환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하드웨어적으로 가장 많은 부분이다. 때문에 소형화와 경제성이 필요하게되며 기능 또한 다기능을 요구하게 된다. 현재 교환기들은 BORCHT기능을 반도체 집적회로에 전용IC화 시켜서 사용하고 있다.
3.3.1 디지털 교환기의 교환원리
-디지털 교환기의 동작원리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가 가지는 초당 수백만 이상의 아주 빠른 동작속도를 이용한다. 발,착신자가 통화를 하는 동안 실제적으로 물리적 연속성을 갖는 아날로그 교환기와는 달리 디지털 교환기는 물리적 연속성(통신선로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교환기 내부의 스위치 네트웍을 말함)을 갖지 않고 아주 짧은 간격의 일정 주기 마다 짧은 시간동안 유지되는 가상회선을 이용한다. 쉽게 설명하자면 전지와 전구 사이에 스위치를 연결하고 아주 빠른 속도로 스위치를 on/off 하게 되면 인간이 느끼기에는 항상 전구에 불이 켜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과 같은 이치로 인간의 음성도 송화기(마이크)와 통신선로와 수화기(스피커)를 거쳐 상대방의 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통신선로 상에 스위치를 빠른 속도로 on/off하게 되면 끊어짐이 없는 자연스런 음성이 들린다.
위의 그림에서 6명이 모두 통화를 하려고 할 경우 핑크 색의 사랑의 막대기(스위치)가 J.K Han과 H.K Hong의 전화선에만 붙어 있게 되면 나머지 4명은 통화를 하지 못하게 된다.그러나 핑크색 막대기(스위치)가 초당 수백만번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세쌍의 전화선을 연결하게 되면 실제적으로는 하나의 핑크색 막대기(스위치)이지만 인간이 느끼기에는 마치 3개의 핑크색 막대기(스위치)가 서로의 짝을 연결시켜 세쌍 6명 모두가 통화가 되는 것 처럼 된다. 이것이 바로 디지털 교환의 원리이다. 이제 디지털교환의 원리가 약간 이해가 되었으면 하위레벨의 전문용어를 사용하면서 디지털 교환의 원리를 알아보자. 디지털 교환에 사용되는 PCM, TDM등의 디지털기술은 원래는 전송분야에서 먼저 사용 되었으며 디지털화 된 전송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교환동작을 하고 다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시스템에 보내는 비효성을 없애기 위하여 차츰 교환기들도 디지털화 되었다. 교환시스템을 다루는 엔지니어라면 디지털 교환기의 스위칭 동작을 이해하기 위하여 PCM과 Time Switch를 알아야 한다.
PCM이란 아날로그 신호(음성)를 잘게 쪼개어 0.1의 이산신호(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며 Time Switch란 디지털 교환기에서 실질적인 교환동작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말한다. Time Switch(시간스위치)를 이용하여 교환동작을 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 PCM이다. PCM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부분 중에 A/D 변환기(아날로그 신호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는 표본화 된 신호를 진폭에 따라 8bit로 부호화 한다. 부호화된 8bit신호는 Time slot이라는 아주 짧은 시간동안 상대방에게 전송(교환)된다. 음성정보의 전송을 위한 주파수 대역폭은 ITU-T에 의해 표준화된 규격이 300~3400㎐이기 때문에 표본화 주파수는 6.8㎑이지만 실제 PCM 시스템의 여파기 설계에 어려움 때문에 어느 정도 여유를 두어 8㎑로 표본화 한다. 6.8㎑의 표본화 주파수(속도)를 나이퀘스트 속도(Nyquist rate)라고 하며 이것보다 표본화 하는 속도가 낮게 되면 주파수 스펙트럼이 겹쳐저 fold over (arising)왜곡이 일어나게 된다. N개의 입력신호(N개의 음성신호)를 모두 한번씩 표본화 하는데 걸리는 프레임이라고 한다.
4. 트래픽 이론
4.1 트래픽 이론
-트래픽 시스템 안에서 대기 행렬을 취급하는 이론. 시스템이 통화 중이 될 확률이나 대기 시간을 예측하는 것뿐만 아니라 버퍼의 크기, 파일의 접근 방법, 기억 장치 용량 등 시스템의 각종 자원을 결정할 때 사용되는 중요한 이론이다.
4.2 트래픽이란?
-전신, 전화 등의 통신 시설에서 통신의 흐름. 개개의 호 보류 시간에 관계없이 발생한 호의 수를 호 수라고 하고, 호 수와 평균 보류 시간의 곱을 트래픽양, 단위 시간당 트래픽양을 호량 또는 트래픽 밀도라고 한다. 트래픽양의 단위를 얼랑(ERL)이라고 한다. 1얼랑은 1회선이 전송할 수 있는 최대 호량, 즉 단위 시간 내에 1회선이 쉴 새 없이 점유될 때의 트래픽양이다. 또 1/36얼랑을 100초호(秒呼)라고 한다.
4.3 트래픽 용어와 단위
① 호(call) : 통신을 하기 위한 어떠한 기동 사항.
예) 전화하기 위해 송수화기를 들었다.
② 보류 시간 (holding time) : 호가 발생하여 통신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
→ 호와 보류 시간은 임의로 발생
그 시간 간격을 예상 못함.
→ 호의 발생 특성은 대상지역, 측정시기, 지역특성, 경제상황, 사회 분위기 등에 따라 달라지나 비교적 규칙적이다.
☞ 평균 보류 시간 : 호가 교환 장치 또는 회선을 점유하고 있는 시간을 평균한 값.
③ 최번시(busy hour) : 하루중 가장 많은 호가 발생하는 시간. → 오전 10시를 전후한 시간.
4.4 트래픽 이론의 대상
-통신트래픽 이론(theory of telecomunication traffic)은 traffic의 시간적인 변화에 착안한 이론으로 확률적인 변동요인을 고려하여 Traffic처리에 필요한 통신설비의 서비스 조건등의 설계을 행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이론은 기본적으로 시스템이 처리하는 일의 흐름이라는 관점에서 문제를 파악해서 대개는 확률적으로 발생되는것으로 간주되는 처리요구와 그것을 실행하는 공용 설비의 양과 서비스 조건등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하고 있다.
  • 가격3,5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7.02.16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0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