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목차
1. 위성통신의 개요
2. 위성통신 방식의 종류
3. 다원 접속 방식
4. 회선 할당 방식
5. 통신위성 시스템의 구성.기능
6. 지구국의 구성 및 장비
2. 위성통신 방식의 종류
3. 다원 접속 방식
4. 회선 할당 방식
5. 통신위성 시스템의 구성.기능
6. 지구국의 구성 및 장비
본문내용
VSAT는 신호가 대형 허브국을 경유하는 방식으로서, VSAT국→허브국→공중 통신망→이용자 본사의 경로를 통해 판매 시점 관리(POS)나 신용 카드의 여신 조회 등 소용량 통신에 사용된다. 통신 사업자가 복수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shared hub 서비스’라고 한다. VSAT국의 통신 대상은 대형 허브국만 해당되므로 안테나는 아주 소형이어서 극소형 지구국(USAT)이라고 부른다. TDMA형은 허브국의 주 시계(master clock)에 의해 동일 주파수 신호를 모든 VSAT국이 시분할로 사용하는 전화/데이터 통신이다. 안테나 지름은 전체 회선 용량에 비례하지만 VSAT국당 회선 수는 DAMA형에 비해 아주 많다. DAMA형은 허브국이 VSAT국으로부터 전화 신호를 수신해서, VSAT국끼리 단일 반사로(single hop)에 의한 전화 회선을 개설하는 방식이다.
6.3 디지털 SNG
일반적으로 광대역의 유선 전송로가 충분한 경우 압축의 필요성은 없다.
이에 대해 전송대역이 한정되어 있는 무선 전송계의 디지털화는 대역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전송로를 유효하게 이용하여야 한다.
디지털 화상압축 기술이 차세대 TV 전송기술의 요소기술이 되면서 급속한 기술발전을 거듭하여 무선 전송계의 총아로 등장시킨 것이 디지털 SNG 이다.
이는 광역성, 즉시성, 동보성, 내 재해성 등의 특징으로 프로그램 제작, 송출에 강력한 전송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통신이 도입한 SNG장비를 이용하여 MBC에서 1995년 3월 방송 및 통신역사상 최초로 독도에서 생방송 중계를 시작한 이래 현재는 각 방송사, CATV PP등 각계에서 SNG 이용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6.3.1 SNG 디지털화 장점
SNG(Satellite News Gathering)는 현재 통신위성을 이용하는 전송의 일반 명칭으로 정착되었으며, 통신은 물론 방송 등에도 폭 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SNG 시스템을 디지털화 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방송 회선 품질 향상 및 균일화
-중계기의 유효 이용
-송신 EIRP(위성에서 지상으로의 방사전력)의 저감
-장치 소형화 및 저 소비 전력화
-채널간섭 저감
-전송신호의 스크램블화
6.3.2 시스템 구성
SNG회선은 기존 MW 회선이나 FPU와는 달리 수신점에 대한 제약은 없으나 시가지 등에서는 위성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운용상 FPU와 연동해야 할 경우도 있다. 여기서는 SNG 최대 효용 목적인 취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며 다음 그림은 MBC에서 운영 중인 위성방송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그림> SNG 시스템 구성도
-기지국
안테나는 7∼10m의 Cassegrain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향/하향 링크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중계기의 운용관리를 실행하는 SNG 제어 센터에서 다른 이동국, 수신국을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운용된다.
-차량형 지구국
일반적으로 5∼6m 정도의 트럭에 1.2∼1.8m인 파라볼라 안테나를 갖추고 송신출력은 최대 500∼600W이며, 발전기 등을 장착하고 있다.
프로그램 제작기능으로 ENG 카메라 1∼2대로 구성된 영상 시스템, 생중계 리포터 및 스튜디오와 관계 있는 음성시스템, 연락 시스템(Order Wire), 자동차 전화, VHF나 UHF 무선연락 장치, FPU장비 등을 탑재한 SNG용 중계차도 있다.
-이동형 지구국
차량형 지구국이 들어 가지 못하는 산악지역 및 섬 등에 헬리꼲터 혹은 다른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운반하고 지구국을 가설하여 운용한다. 기재는 소형, 저전력화되어 보통은 여러 개로 분할하여 운반하고 몇 명의 스텝이 운용한다.
안테나는 지름 1.2m 이하인 그레고리안 안테나, 송신출력 80∼120W, 1.5KVA 소형 발전기 등이다.
네트웍의 지구국 위주로 운용하는 경우 기지국으로의 송신은 차량형 지구국에서 한다.
6.4 표준 지구국 설치장소가 가져야하는 조건
1.지리적 조건
①위성과의 충분한 가시거리가 확보되어야 한다.
②다른 시스템과의 간섭 및 혼신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어야 한다.
2.지질적 조건
대형 안테나를 설치해야 하므로 지질학적으로 인정한 토지여야 한다.
3.환경 조건
건설예정지의 온도, 습도, 풍량, 강수량 적설량등에 대한 과거 통계치를 조사 검토하여야 한다.
4.부지와 국사배치조건
①향후 지구국 증설에 대비하여 부지의 모양과 면적을 정해야 한다.
②지구국 전체의 운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국사의 위치를 정해야 한다.
5.기타조건
①전력, 용수의 공급이 용이하고 교통이 편리해야 한다.
②설치장소의 경제성을 고려해야 한다.
http://blog.naver.com/bestbabo?Redirect=Log&logNo=90003163993
http://raonism.net/ITdb/mobilenet/sc4.html
http://cdma.netian.com/tech/other/satellite.html
http://cdma.netian.com/tech/other/satellite2.html
http://hl5bpf.busanedu.net/sat.htm
http://raonism.net/ITdb/mobilenet/sc1.html
http://raonism.net/ITdb/mobilenet/sc5.html
http://home.ewha.ac.kr/~ewhaelec/easyie/lesson13/sat_3.htm
http://raonism.net/ITdb/mobilenet/sc2.html
http://www.m0130.com/service/tech/tech.jsp
http://qna.cetizen.com/?MODE=faq&faq_cat=3&faq_no=2&rp=2
http://cafe.naver.com/dvb.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5
http://raonism.net/ITdb/mobilenet/sc4.html
http://cdma.netian.com/tech/cdma/multipleaccess.html
http://myhome.hanafos.com/~hwalkim/600/satellite-assignment.htm
6.3 디지털 SNG
일반적으로 광대역의 유선 전송로가 충분한 경우 압축의 필요성은 없다.
이에 대해 전송대역이 한정되어 있는 무선 전송계의 디지털화는 대역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전송로를 유효하게 이용하여야 한다.
디지털 화상압축 기술이 차세대 TV 전송기술의 요소기술이 되면서 급속한 기술발전을 거듭하여 무선 전송계의 총아로 등장시킨 것이 디지털 SNG 이다.
이는 광역성, 즉시성, 동보성, 내 재해성 등의 특징으로 프로그램 제작, 송출에 강력한 전송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통신이 도입한 SNG장비를 이용하여 MBC에서 1995년 3월 방송 및 통신역사상 최초로 독도에서 생방송 중계를 시작한 이래 현재는 각 방송사, CATV PP등 각계에서 SNG 이용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6.3.1 SNG 디지털화 장점
SNG(Satellite News Gathering)는 현재 통신위성을 이용하는 전송의 일반 명칭으로 정착되었으며, 통신은 물론 방송 등에도 폭 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SNG 시스템을 디지털화 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방송 회선 품질 향상 및 균일화
-중계기의 유효 이용
-송신 EIRP(위성에서 지상으로의 방사전력)의 저감
-장치 소형화 및 저 소비 전력화
-채널간섭 저감
-전송신호의 스크램블화
6.3.2 시스템 구성
SNG회선은 기존 MW 회선이나 FPU와는 달리 수신점에 대한 제약은 없으나 시가지 등에서는 위성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운용상 FPU와 연동해야 할 경우도 있다. 여기서는 SNG 최대 효용 목적인 취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며 다음 그림은 MBC에서 운영 중인 위성방송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그림> SNG 시스템 구성도
-기지국
안테나는 7∼10m의 Cassegrain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향/하향 링크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중계기의 운용관리를 실행하는 SNG 제어 센터에서 다른 이동국, 수신국을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운용된다.
-차량형 지구국
일반적으로 5∼6m 정도의 트럭에 1.2∼1.8m인 파라볼라 안테나를 갖추고 송신출력은 최대 500∼600W이며, 발전기 등을 장착하고 있다.
프로그램 제작기능으로 ENG 카메라 1∼2대로 구성된 영상 시스템, 생중계 리포터 및 스튜디오와 관계 있는 음성시스템, 연락 시스템(Order Wire), 자동차 전화, VHF나 UHF 무선연락 장치, FPU장비 등을 탑재한 SNG용 중계차도 있다.
-이동형 지구국
차량형 지구국이 들어 가지 못하는 산악지역 및 섬 등에 헬리꼲터 혹은 다른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운반하고 지구국을 가설하여 운용한다. 기재는 소형, 저전력화되어 보통은 여러 개로 분할하여 운반하고 몇 명의 스텝이 운용한다.
안테나는 지름 1.2m 이하인 그레고리안 안테나, 송신출력 80∼120W, 1.5KVA 소형 발전기 등이다.
네트웍의 지구국 위주로 운용하는 경우 기지국으로의 송신은 차량형 지구국에서 한다.
6.4 표준 지구국 설치장소가 가져야하는 조건
1.지리적 조건
①위성과의 충분한 가시거리가 확보되어야 한다.
②다른 시스템과의 간섭 및 혼신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어야 한다.
2.지질적 조건
대형 안테나를 설치해야 하므로 지질학적으로 인정한 토지여야 한다.
3.환경 조건
건설예정지의 온도, 습도, 풍량, 강수량 적설량등에 대한 과거 통계치를 조사 검토하여야 한다.
4.부지와 국사배치조건
①향후 지구국 증설에 대비하여 부지의 모양과 면적을 정해야 한다.
②지구국 전체의 운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국사의 위치를 정해야 한다.
5.기타조건
①전력, 용수의 공급이 용이하고 교통이 편리해야 한다.
②설치장소의 경제성을 고려해야 한다.
http://blog.naver.com/bestbabo?Redirect=Log&logNo=90003163993
http://raonism.net/ITdb/mobilenet/sc4.html
http://cdma.netian.com/tech/other/satellite.html
http://cdma.netian.com/tech/other/satellite2.html
http://hl5bpf.busanedu.net/sat.htm
http://raonism.net/ITdb/mobilenet/sc1.html
http://raonism.net/ITdb/mobilenet/sc5.html
http://home.ewha.ac.kr/~ewhaelec/easyie/lesson13/sat_3.htm
http://raonism.net/ITdb/mobilenet/sc2.html
http://www.m0130.com/service/tech/tech.jsp
http://qna.cetizen.com/?MODE=faq&faq_cat=3&faq_no=2&rp=2
http://cafe.naver.com/dvb.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5
http://raonism.net/ITdb/mobilenet/sc4.html
http://cdma.netian.com/tech/cdma/multipleaccess.html
http://myhome.hanafos.com/~hwalkim/600/satellite-assignment.htm
추천자료
[사회과학] 유료 방송시장의 현황과 Sky life(한국디지털위성방송)의 마케팅 전략
뉴미디어의 대표주자 ‘케이블TV'와 ‘위성방송’
[마케팅] Sky life(한국디지털위성방송)의 마케팅 전략
[방송통신융합][방송통신융합서비스][방송환경]방송통신융합의 의미, 방송통신융합의 모델, ...
[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도입, 목적, 정책과 DMB(디지털멀...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의의,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
[정보통신][정보통신의 정의][정보통신의 특징][정보통신의 4대 요소][정보통신의 역사][정보...
[데이터통신][패킷교환]데이터통신(데이터커뮤니케이션)의 정의, 데이터통신(데이터커뮤니케...
[지상파 DMB] 지상파 DMB의 기술, 위성 DMB와의 비교
[지리정보시스템][GIS][지리정보][지리][지하매설물]지리정보시스템(GIS)의 지하매설물 관리,...
[뉴스통신][뉴스통신사][뉴스][통신][통신사][세계화]뉴스통신(뉴스통신사)의 세계화, 뉴스통...
무선이동통신 분류, 무선이동통신 성장과정, 무선이동통신 가입자현황, 무선이동통신 통신사1...
[뉴스통신사][뉴스통신][뉴스][통신][언론환경][서비스환경]뉴스통신사(뉴스통신)의 언론환경...
무선이통통신의 역사, 무선이통통신의 특징, 무선이통통신의 현황, 무선이동통신 통신사1(SK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