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소득과 균형국민소득결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민소득과 균형국민소득결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국민소득이론 >
Ⅰ.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의 비교
1. 사용하는 경제변수의 차이
2.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차이

Ⅱ. 국내총생산(GDP)와 국민소득
1. 국내총생산(GDP)의 정의
2. 국내총생산(GDP)의 개념
3. GDP의 종류

Ⅲ. 기타국민소득지표
1. 국민총소득(GNI)
2. 압솝션(Absorption : 국민총지출)
3. 국내순생산(NDP)
4. 국민소득(NI)
5. 개인소득(PI)
6. 가처분소득(DI)
7. 국민총처분 가능소득(GNDI)
8. 국부(國富)
9. 신국민계정 (System of National Accounting)

<균형국민소득 결정이론>
Ⅰ.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의 비교
1. 시대적 배경
2. 학파별 경제를 보는 시각
3. 경제부문별 관점 (고전학파)
4. 경제부문별 관점 (케인즈학파)

Ⅱ. 고전학파의 국민소득결정이론
1. 기본가정
2. 노동시장과 총생산함수
3.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Ⅲ. 케인즈의 균형국민소득 결정이론
1. 케인즈(J.M.Keynes)이론의 등장 배경
2. 균형국민소득의 개념
3. 가정
4. 총수요와 총공급에 의한 균형국민소득결정
5. 주입과 누출에 의한 균형국민소득결정

Ⅳ. 절약의 역설
1. 개요
2. 내용
3. 학파별 견해

Ⅴ. 인플레이션갭과 디플레이션갭
1. 개 요
2. 인플레이션갭과 디플레이션갭에 대한 학파별 견해

본문내용

만 변동가능한 경우를 단기라 한다.
① 위의 노동시장 그래프에서 와 가 만나는 E점이 균형점이고, 여기에서 균형고용량()과
균형임금()이 결정된다.
② 물가가 에서 으로 상승하면 실질임금이 수준으로 하락하여 노동시장에서 초과수요가
발생한다. 노동의 초과수요 때문에 명목임금도 에서 으로 상승하여 실질임금 이 상승하
여전과 동일한 수준이 되므로 고용량은 변하지 않는다.
③ 균형고용량()을 생산함수에 투입하면 균형소득 가 결정되고, 이는 완전고용국민소득 가
된다.
(2) 단기에 있어서 국민소득의 크기는 노동투입량에 의존한다.
나. 장 기
⑴ 노동투입량뿐만 아니라 자본투입량과 기술수준도 변하는 기간을 장기라 한다.
① 자본량증가

생산함수

균형국민
기술진보
상방이동
소득증가
⑵ 장기에 있어서 국민소득의 크기는 생산요소의 투입량과 기술진보에 의존한다.② 인구증가

노동공급증가

균형국민
여가감소
소득증가
다. 종 합
균형국민소득은 공급측 요인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1) 단기균형국민소득 : 노동량에 의해 결정
(2) 장기균형국민소득 : 노동량, 자본량, 기술진보에 의해 결정
Ⅲ. 케인즈의 균형국민소득 결정이론
1. 케인즈(J.M.Keynes)이론의 등장 배경
(1) 1930년대의 대공황을 겪으면서 실업문제가 장기화되자 완전고용을 전제로 하는 고전학파이론으로서는 효과적인 실업대책을 제시할 수 없게 되었다.
(2) 고전학파의 이론을 비판하고 대공황을 타개하기 위해 1936년 케인즈는 그의 저서 고용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을 발표하였다.
2. 균형국민소득의 개념
(1) 한 나라 경제에서 총수요와 총공급이 일치하거나, 주입과 누출이 일치하는 수준의 국민소득을 말한다.
(2) 케인즈는 세이의 법칙(총공급이 총수요를 결정한다)을 비판하면서 총수요의 크기가 오히려 균형소득을 결정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유효수요의 이론”이라 한다.
3. 가 정
(1) 불황의 경제를 가정하였다. 불황하에서는 실업이 존재하고 잉여생산능력이 존재한다.
(2) 불황(공황)하에서 잉여생산능력이 있으므로 수요만 있으면 공급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였다.
(4) 소비는 소득의 증가함수이다.
4. 총수요와 총공급에 의한 균형국민소득결정
가. 총수요 (AD : Aggregate Demand)
한 나라 전체의 총수요는 가계의 소비수요(C), 기업의 투자수요(I), 정부의지출수요(G)와 순수출(X-M)로 이루어진다.
⑴ 소비수요소비수요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성되어진다. C =
+ c
한계소비성향(MPC) 기초소비. 기초소비 소득이 없더라도 생존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소비를 말하며, 이후 소득이 발생함에 따라 한계소비성향 만큼 소비가 증가한다.
⑵ 투자수요
(가) 국민소득과 무관한 독립투자만 존재한다.
(나) 투자수요는 사전적으로 계획된 투자를 의미한다.
⑶ 정부지출수요 : 국민소득수준과 무관하게 정부지출이 이루어진다.
⑷ 순수출수요
(가) 수출(X)은 우리나라 국민소득 수준과 무관하다.
(나) 수입(M)은 우리나라 국민소득이 증가하면 늘어난다.
⑸ 케인즈 단순모형(2부문 경제 : 가계가 기업으로만 구성된 경제)에서 총수요는 소비수요(C)와 투자수요(I)의 합이다.
나. 총공급(AS : Aggregate Supply)
케인즈는 경제가 불황일 때 수요가 있어야 공급이 이루어진다고 하였기 때문에 총공급곡선은 원점을 통과하는 45°선이 된다고 하였다. 이는 케인즈의 수요중시개념을 잘 보여주며, 균형국민소득 결정에 있어 총공급측면보다는 총수요측면의 국민소득이 크게 작용한다는 의미이다.
다.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⑴ 총수요와 총공급이 만나는 곳에서 균형국민소득이 결정된다.
총수요>총공급
국민소득 증가
총수요<총공급
국민소득 감소
총수요=총공급
균형국민소득이 결정됨
⑵ 균형국민소득의 결정과정
(가) 에서처럼 총수요가 총공급보다 크면 국민소득 증가
(나) 에서처럼 총수요가 총공급보다 작으면 국민소득 감소
총수요와 총공급에 의한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① :총수요>총공급일 때
초과수요→생산증가→국민고득증가→로 수렴
② :총수요<총공급일 때
초과공급→생산감소→국민소득감소→로 수렴
(다) 에서처럼 총수요와 총공급이 일치하면 균형국민소득이 결정된다.
(3) 특 징
(가) 총수요인 유효수요가 균형국민소득의 크기를 결정한다. 즉 유효수요가 증가하면 균형국민소득이 증가하고 유효수요가 감소하면 균형국민소득이 감소한다.
(나) 균형국민소득과 완전고용국민소득이 불일치하며 균형국민소득은 완전고용국민소득에 미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주입과 누출에 의한 균형국민소득결정
가. 개 요
주입
누출
개념
국민소득순환과정에서 국민소득을 증가시키는 항목
국민소득순환과정에서 국민소득을 감소시키는 항목
종류
투자(I), 정부지출(G), 수출(X)
저축(S), 조세(T), 수입(M)
그림
국민소득수준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국민소득이 증가하면 늘어난다.
나.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⑴ 주입과 누출
가계와 기업만 존재하는 케인즈 단순모형에서 주입되는 것은 기업의 투자(I)이고 누출되는 것은 가계의 저축이다. 따라서, 투자와 저축이 일치하는 (I=S)수준에서 균형국민소득이 결정된다.
⑵ 주입과 누출에 의한 균형국민소득 결정원리
⑶ 균형국민소득결정 과정
(가) 에서처럼 국민소득의 유입(I)예)출(S)보다 크면 국민소득이 증가한다.
(나) 에서처럼 국민소득의 유입(I)예)출보다 작으면 국민소득이 감소한다.
(다) 에서처럼 국민소득의 유입(I)과 유출(S)보다 일치하면 균형국민소득이 결정된다.
(4) 사후적 투자와 저축
(가) 사후적으로 실제 이루어진 투자(사후적 투자)가 사전에 의도한 투자(사전적 투자)보다 많으면주입과 누출에 의한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① :투자(I)>저축(S)
생산증가→국민소득증가→로 수렴
② :투자(I)<저축(S)
생산감소→국민소득감소→로 수렴
재고로 쌓이기 때문에 사후적 투자는 사전적 투자와 재고의 합으로 구성된다. 즉, 사후적 투자 = 사전적 투자+재고이다.
(나) 저축한 것 만큼 실제 투자(사후적 투자)가 이루어지므로 사후적 투자와 저축은 항상 일치한다.
(다) 재고의 증가나 감소를 통하여 사후적으로 투자와 저축은 항상 일치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2.17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1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