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벼의 일생은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장기로 구분]
[볍씨의 구조]
[볍씨의 발아]
[모의 생장]
[벼잎의 생장]
[벼줄기의 생장]
[벼 새끼치기]
[벼뿌리의 생장]
[벼이삭의 분화 및 발달]
[벼꽃의 형성]
[출수와 개화]
[수분과 수정 및 볍씨 형성]
[벼의 물질생산]
[저장물질의 축적과 이삭여뭄]
[벼의 수량 구성요소]
[볍씨의 구조]
[볍씨의 발아]
[모의 생장]
[벼잎의 생장]
[벼줄기의 생장]
[벼 새끼치기]
[벼뿌리의 생장]
[벼이삭의 분화 및 발달]
[벼꽃의 형성]
[출수와 개화]
[수분과 수정 및 볍씨 형성]
[벼의 물질생산]
[저장물질의 축적과 이삭여뭄]
[벼의 수량 구성요소]
본문내용
지표로 이용된다.
잎면적지수는 이삭패기(출수)직전에 최대값을 보인다.
4. 벼는 생리적 활동중심잎에서 광합성산물을 배분한다.
광합성이 제일 왕성한 잎을 생리적 활동중심이라 하며, 영양생장기 동안은 위에서부터 3엽과 4엽이며 여기서 생성된 광합성산물은 대부분 위쪽으로 이전된다. 다 자란 벼에서는(생식생장기) 끝잎과 2엽의 광합성이 제일 많고 광합성산물은 주로 이삭으로 이동되며, 3엽과 그 아래쪽의 광합성산물은 대부분 뿌리로 전류한다. 이삭이 여무는 것은 위쪽 잎에 달렸으며, 뿌리의 활력은 아래쪽 잎에 의해 유지된다.
[벼줄기의 생장]
1. 벼줄기는 마디와 마디사이로 이루어지고, 각 마디사이에서 잎, 새끼친 줄기, 뿌리(관근)가 발생한다.
벼줄기의 마디수는 14-18개이며, 이삭으로부터 4-5마디사이가 길게 신장하여 벼키(간장)를 결정하며, 이삭목마디사이(1마디사이)가 가장 길며 약 30cm정도 된다. 벼의 밑에서 10마디사이까지는 거의 자라지 않아 모두 합하여 2cm정도이며 불신장마디 부위라 한다.
2. 벼줄기에는 통기계가 잘 발달하였다.
담수한 논에서 자라는 벼는 기공을 통해 들어온 산소가 잎새와 잎집의 통기강을 거쳐 마디사이의 통기강 및 수강을 타고 내려와 마디의 통기조직을 통과한 후 뿌리의 통기강으로 들어감으로써 신선한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각 마디사이의 통기강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잘 발달하였다.
3. 벼줄기의 생장은 이삭생길때 시작하여 이삭팬 직후까지 계속된다.
이삭목마디사이(1마다사이)는 신장속도가 빨라 하루에 10cm정도씩 자라면서 끝잎의 입집에 싸여 있는 이삭을 밖으로 밀어내는 데 이를 출수라 하며, 이삭목마디사이는 이삭팬 후 1-2일간 더 자라므로 이때 벼의 키가 결정된다.
4. 벼줄기 밑둥이 튼튼할 수록 쓰러짐 견딜성이 강하다.
하위 마디사이가 굵은 벼는 이삭목마디사이가 굵은 경향이 있다. 벼의 쓰러짐견딜성(내도복성)은 줄기의 세기와 벼를 지지하는 힘, 그리고 벼를 쓰러뜨리는 힘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난다.
[벼 새끼치기]
1. 벼 새끼치기는 주간이나 새끼친줄기의 잎겨드랑이(엽액) 곁눈이 발달하여 가지벌기한 것이다.
벼 새끼치기(분얼)는주로 영양생장기에 불신장마디 부위의 각 마디사이에서 1개씩 나온다. 이론상 모 1개로부터 40개 이상의 새끼친 줄기가 생길 수 있으나 실제 포장에서 1포기당 참새끼줄기(유효분얼경)는 약 20개 정도이다.
2. 벼 새끼치기는 동신생장의 규칙성을 따른다.
주간의 n번째 잎이 나올 때에는 반드시 그보다 3잎 아래인 (n-3)잎의 잎겨드랑이에서 새끼친줄기가 나오고 동시에 (n-3)마디사이에서는 뿌리(관근)가 발생한다. 이것을 동신생장이라 한다.
3. 벼 참줄기(유효경)비율은 60-80%이다.
[벼뿌리의 생장]
1. 벼뿌리는 씨뿌리, 중배축뿌리, 관근으로 구분한다.
씨뿌리는 볍씨가 발아하여 배의 어린 뿌리(유초)가 근초를 뚫고 나온 것으로 1개뿐이며, 땅속 15cm정도까지 자라 식물체를 지탱하며 양분과수분을 흡수한다.
중배축뿌리는 밭못자리나 건답직파에서 3.0cm 이상 깊게 파종되었을때 발
잎면적지수는 이삭패기(출수)직전에 최대값을 보인다.
4. 벼는 생리적 활동중심잎에서 광합성산물을 배분한다.
광합성이 제일 왕성한 잎을 생리적 활동중심이라 하며, 영양생장기 동안은 위에서부터 3엽과 4엽이며 여기서 생성된 광합성산물은 대부분 위쪽으로 이전된다. 다 자란 벼에서는(생식생장기) 끝잎과 2엽의 광합성이 제일 많고 광합성산물은 주로 이삭으로 이동되며, 3엽과 그 아래쪽의 광합성산물은 대부분 뿌리로 전류한다. 이삭이 여무는 것은 위쪽 잎에 달렸으며, 뿌리의 활력은 아래쪽 잎에 의해 유지된다.
[벼줄기의 생장]
1. 벼줄기는 마디와 마디사이로 이루어지고, 각 마디사이에서 잎, 새끼친 줄기, 뿌리(관근)가 발생한다.
벼줄기의 마디수는 14-18개이며, 이삭으로부터 4-5마디사이가 길게 신장하여 벼키(간장)를 결정하며, 이삭목마디사이(1마디사이)가 가장 길며 약 30cm정도 된다. 벼의 밑에서 10마디사이까지는 거의 자라지 않아 모두 합하여 2cm정도이며 불신장마디 부위라 한다.
2. 벼줄기에는 통기계가 잘 발달하였다.
담수한 논에서 자라는 벼는 기공을 통해 들어온 산소가 잎새와 잎집의 통기강을 거쳐 마디사이의 통기강 및 수강을 타고 내려와 마디의 통기조직을 통과한 후 뿌리의 통기강으로 들어감으로써 신선한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각 마디사이의 통기강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잘 발달하였다.
3. 벼줄기의 생장은 이삭생길때 시작하여 이삭팬 직후까지 계속된다.
이삭목마디사이(1마다사이)는 신장속도가 빨라 하루에 10cm정도씩 자라면서 끝잎의 입집에 싸여 있는 이삭을 밖으로 밀어내는 데 이를 출수라 하며, 이삭목마디사이는 이삭팬 후 1-2일간 더 자라므로 이때 벼의 키가 결정된다.
4. 벼줄기 밑둥이 튼튼할 수록 쓰러짐 견딜성이 강하다.
하위 마디사이가 굵은 벼는 이삭목마디사이가 굵은 경향이 있다. 벼의 쓰러짐견딜성(내도복성)은 줄기의 세기와 벼를 지지하는 힘, 그리고 벼를 쓰러뜨리는 힘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난다.
[벼 새끼치기]
1. 벼 새끼치기는 주간이나 새끼친줄기의 잎겨드랑이(엽액) 곁눈이 발달하여 가지벌기한 것이다.
벼 새끼치기(분얼)는주로 영양생장기에 불신장마디 부위의 각 마디사이에서 1개씩 나온다. 이론상 모 1개로부터 40개 이상의 새끼친 줄기가 생길 수 있으나 실제 포장에서 1포기당 참새끼줄기(유효분얼경)는 약 20개 정도이다.
2. 벼 새끼치기는 동신생장의 규칙성을 따른다.
주간의 n번째 잎이 나올 때에는 반드시 그보다 3잎 아래인 (n-3)잎의 잎겨드랑이에서 새끼친줄기가 나오고 동시에 (n-3)마디사이에서는 뿌리(관근)가 발생한다. 이것을 동신생장이라 한다.
3. 벼 참줄기(유효경)비율은 60-80%이다.
[벼뿌리의 생장]
1. 벼뿌리는 씨뿌리, 중배축뿌리, 관근으로 구분한다.
씨뿌리는 볍씨가 발아하여 배의 어린 뿌리(유초)가 근초를 뚫고 나온 것으로 1개뿐이며, 땅속 15cm정도까지 자라 식물체를 지탱하며 양분과수분을 흡수한다.
중배축뿌리는 밭못자리나 건답직파에서 3.0cm 이상 깊게 파종되었을때 발
키워드
추천자료
[시민사회]시민사회 심층 분석(시민사회란 무엇인가, 시민성 개념,구성요소, 탈물질주의 가치...
[조직문화]조직문화 심층 분석(조직문화의 접근방법,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조직문화의 유형,...
[ISDN][B-ISDN]ISDN(종합정보통신망)의 의의, 구성요소, 특징과 ISDN(종합정보통신망)의 종류...
[사회적일자리창출][일자리창출]사회적 일자리의 특성, 사회적 일자리창출의 구성요소, 사회...
[하이퍼미디어][하이퍼미디어 교육적 지원][하이퍼미디어 전망]하이퍼미디어의 구성요소, 하...
[비즈니스리엔지니어링]비즈니스리엔지니어링의 개념, 비즈니스리엔지니어링의 필요성, 비즈...
TV토론(TV후보토론)의 시작, TV토론(TV후보토론)의 구성요소와 특성, TV토론(TV후보토론)의 ...
BM특허(비즈니스모델특허)의 정의와 현황, BM특허(비즈니스모델특허)의 구성요소와 심사기준,...
E-Learning(이러닝)의 개념과 유형, E-Learning(이러닝)의 특성과 구성요소, E-Learning(이러...
[노동자 정치세력화][정치세력화]노동자 정치세력화의 의미, 노동자 정치세력화의 구성요소, ...
광케이블(광섬유케이블)의 정의, 광케이블(광섬유케이블)의 구성요소, 광케이블(광섬유케이블...
학교장 직무와 역할, 학교장의 리더십 조사 (학교장리더십) - 리더십의 구성요소, 유형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1- 사회복지마케팅 필요성 ...
사회복지실천에서 면접의 개념과 목적 및 특성,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종류, 사회복지실천면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