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작물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예작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채소원예의 이해

2. 채소의 기원과 분류

3.채소의 재배현황과 과제

4. 채소종자의 발아생리

5. 영양기관의 생장과 발육

6. 생식기관의 생장과 발육

7. 채소생육과 환경조절

8. 채소재배와 작물관리

9. 수확 후 생리와 저장

10. 채소의 육종과 채종

11. 가지과 채소 - 고추, 토마토, 가지, 감자 등.

12. 박과 채소

13. 배추과 채소

14. 백합과 채소

15. 국화과 채소

16. 미나리과 채소

17. 그 밖의 채소

본문내용

phala Alef.
줄기 --------> 콜라비. var. gongylodes L.
양배추 - 원산지는 유럽 서남부해안, 지중해 연안.
당질, 칼슘, 리신이 많이 들어있다.
비타민 U - 항궤양성물질.
염색체 - 2n=18.
분구현상 - 엽구가 한 포기에 2개 이상 생기는 것.
열구현상 - 엽구가 비대한 다음 생장이 계속되어 결구외엽이 갈라지는 현상.
케일 - 야생종에 가까운 불결구형 양배추.
3)무
염색체 - 2n=18.
타가수정. 호냉성.
종자춘화형 - 저온에 감응하여 화아분화. 고온장일, 강광에서 추대.
시설봄무는 저온감응에 의한 추대를 방지해 주기 위해 육묘이식재배를 한다.
4)순무
무보다 배추에 더 가깝다.
자가불화합성이고 꽃의 모양과 개화특성은 배추와 동일하다.
14. 백합과 채소
파속식물과 아스파라거스.
파속식물 - 기본염색체 x=8.
유황을 함유하는 유기화합물 함유.
호냉성 - 월동가능.
일정기간 저온 후 고온장일에서 인경이 비대.
내서성이 약하다. - 한여름에 휴면.
영양번식 - 마늘, 쪽파, 염교.
종자번식 - 양파, 파, 달래.
분구 - 파속식물의 공통된 생리장해.
1)마늘
당질이 많고 주로 프룩토산이다.
무기질로는 인의 함량이 높다.
알리인 - 독특한 냄새와 자극적인 맛을 내는 유황함유물질.
조직파괴로 인해 분비되는 알리나아제에 의해 알리신으로 변한다.
--> 강력한 살균작용, 항암작용.
염색체 - 2n=16.
종자가 잘 맺히지 않으므로 주아 또는 인편을 이용한 영양번식을 한다.
호냉성 월동채소로 일정기간 저온을 경과해야 인편 분화 - 온난장일조건에서 인편 비대.
중심구(통마늘) - 인편이 여러 개로 분화되지 않은 것.
종구가 지나치게 작을 때, 봄에 파종했을 때, 저온처리기간이 짧고 약할 때.
불결구엽상화 - 인편이 분화되지 않고 파처럼 보통엽만 계속해서 분화된 마늘.
2차생장(벌마늘) -엽액에 착생된 측아가 인편으로 비대하지 못하고 생장활동을 계속하는 것
2)양파
함유된 탄수화물은 프룩토산이지만, 포도당과 과당이 많아 단 맛이 난다.
케세르틴 - 안토시아닌계 색소성분.
지방의 산패를 막고, 고혈압예방, 항암작용.
장일 강광조건이 구형성 촉진.
추대 - 대묘를 정식했을 때 발생.
열구 - 구를 감싸는 보호엽이 갈라 터진다.
변형구 - 비대기에 구내분구가 일어나 2차생장하여 생긴다.
3)파
호냉성이지만 내한성 및 내서성도 강하다.
녹식물춘화형.
화경이 형성되어도 새로운 측아가 생장하기 때문에 추대가 품질과 수량저하에 결정적으로 작용하지는 않는다.
4)부추
다년생 숙근성 초본.
염색체 - 2n=4x=32의 4배체식물.
종자는 90%이상이 우발적 무수정생식으로 형성된다.
호냉성채소로 내한성은 물론 내서성도 강하다.
약광에 적응력이 강하고, 강광에는 품질 저하.
고온장일에 추대, 저온단일에 휴면.
5)아스파라거스
아스파라긴 다량함유.
연백시킨 것 보다 녹색이 영양가치가 더 높다.
다년생이며, 염색체는 2n=20.
지하경으로부터 매년 발생하는 다육질의 굵은 줄기를 식용으로 이용한다.
자웅이주 - 숫그루가 수량성이 높고 품질도 좋다.
식용으로 할 수 있는 품종 - A. officinalis 뿐이다.
번식 - 분주와 종자로 하는데, 주로 종자번식을 한다.
온대성 작물로서 고온에서는 품질이 떨어진다.
3년째부터 수확. - 한번 심으면 10~20년 동안 재배.
15. 국화과 채소
전체 식물계의 10%이상 차지.
유액이 들어있어 쓴 맛을 낸다.
특유의 냄새로 인해 해충의 피해가 적다.
우엉 - 뿌리이용. 아티초크 - 꽃을 이용.
1)상추
쓴 맛은 테르펜계통의 2차산물인 세스퀴테르펜락톤.
주로 도시 근교에서 시설재배로 생산된다.
염색체 - 2n=18.
로제트형 - 단축경에서 잎이 총생한다. 자가수정.
종자 - 수과로 분류. 광발아성. 고온에 감응하여 화아분화, 장일조건에서 추대.
호냉성 - 내서성이 약하다. 약광에서도 잘 견딘다.
2)쑥갓 - “고려국”이라고도 부른다.
유럽에서는 관상용 화훼로 재배되고, 동양에서는 채소로 이용.
종자는 수과. - 고온에서는 발아가 잘 되지 않는다.
3)머위
엽병을 채소로 이용. 초봄의 어린 꽃을 먹기도 한다. 폴리페놀화합물이 있어 쓴 맛이 강하다. 염색체 - 2n=3x=87로 3배체이다. 자웅이주이며 영양번식을 한다.
16. 미나리과 채소
당근 - 뿌리 이용.
미나리, 셀러리, 파슬리, 고수, 파스닙, 파드득나무 - 잎과 엽병 이용.
딜, 회향 - 잎과 종자 이용.
1)당근
펙틴질이 많아 질감이 단단하다.
황색색소 - 카로틴 --> 비타민 A 의 전구물질.
적색색소 - 리코핀 --> 항산화제.
우리나라에서는 근색이 붉은 5촌당근(중근종)을 많이 재배한다.
2)미나리
해독작용이 탁월하다.
페르시카린 - 간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오폐수의 정화능력이 뛰어나다.
수성채소는 대부분 호온성이지만, 미나리는 호냉성이다.
17. 그 밖의 채소
1)딸기 - 장미과
엘러진산 - 화학적 요인에 의해 유기되는 암을 방지하는데 효과적.
주로 시설재배를 한다.
재배종은 2n=8x=56의 8배체이다.
과실은 화탁이 비대 발육하여 형성된 위과이다.
화아분화 촉진법 - 고랭지육묘, 야냉단일처리, 차광, 묘냉장, 단근, 적엽, 시비와 관수조절.
휴면타파 - 중간형은 12월 중순, 난지형은 10월 말.
보교조생딸기는 11월 중순에 가장 깊은 휴면에 들어간다.
휴면이 불완전하게 타파되면 식물체가 왜화된다.
-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조처리(장일처리), 지베렐린을 처리해 준다.
우리나라에서 이용되는 품종은 중간형인 보교조생, 정보재생, 레드펄 등이 있다.
2)시금치 - 명아주과
시금치에 함유된 수산은 칼슘과 결합하여 수산칼슘을 만들기 때문에 신장결석을 유발요인.
염색체 2n=12.
호냉성 - 저온과 단일조건에서 잎이 두꺼워지고 맛도 좋아진다.
저온단일에서는 자성화 하고, 고온장일에서는 웅성화 하는 경향이 있다.
산성에 약하다. - pH6.0 이하에서는 경제적인 재배 곤란.
노균병은 가장 피해가 큰 병이다.
3)꿀풀과 - 방아풀, 박하, 들깨, 세이지, 로즈마리, 타임 등.
특성 - 향유(정유)발산.
이용 - 향료채소, 아로마테라피, 관광원예, 실내식물.
  • 가격2,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7.02.18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3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