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865년 정학순이 쓴 「경회루전도」에 의하면 이 건물은 주역의 원리에 입각한 우주적 질서를 조영원리로 삼아 이루어진 것이라 한다. 즉, 마루의 제일 높은 중앙단은 8개의 기둥으로 된 공간으로 이 공간은 주역의 8괘와 천지만물의 현상과 형태를 상징하여 왕이 앉는 장소인 중궁이 되고, 중간 단은 12개의 기둥으로 된 공간인데, 이는 12개월을 상징한다. 또한 밑단은 24개의 배치된 공간으로 24절기를 상징하고 있다.
4. 경회루 지원에서는 다양한 행위가 이루어졌었다. 1)어떠한 행위가 이루어 졌는가? 2)어떠한 행위가 이루어졌으면 좋겠는가 각자의 견해를 기술하시오.
1)경회루 일대는 일반적으로 연회나 휴식의 공간으로 이용되었다. 사신이 왔을 때, 이 곳에서 연회를 열어 접대하고 여러 신하들과 연회를 즐겼던 것뿐만 아니라 간혹 친시(親試)도 베풀어졌고, 때로는 무예권장을 위한 관사도 열리었으며 출사에 따른 친전연이 베풀어지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경사스러운 회연이 자주 있었다. 그리고 부처님께 기도드리는 기불독경이 베풀어지기도 하였으며 연못가에서 비를 빌던 기우제의 장소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과거 시험이나 활쏘기 등을 열기도 하였다.
2)현재의 경회루는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어 관광지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옛날에 벌어졌던 연회나 다른 행사들을 재현하는 등의 일은 없는 것 같다. 이러한 것들을 어느 특별한 날 개최하여 사람들의 발길을 끌었으면 좋겠다. 또한 음악회나 궁중음악 연주 등의 행사로 일반 시민들의 생활 문화 장소로 자리 잡았으면 좋겠다.
5. 경복궁 아미산원에 대해 아는 대로 기술하시오.
교태전은 왕비의 정침인 중궁전으로 경복궁의 동서남북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교태전 후원에는 경회루 방지를 축조할 때 파낸 흙으로 조성된 아미산이 있다. 아미산이란 중국의 선산을 상징하는 이름이다. 이 아미산은 그 위치로 보아 왕가의 가족이 상주하는 침전 뒤 북쪽에 두어 중국으로부터 서울로 남하하여 궁중으로 들어오는 두신을 퇴치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조성된, 일종의 벽사적 개념을 가진 것이다.
아미산에는 장대석으로 된 4단의 화계가 있으며, 화계의 단에는 괴석, 석구, 석지들이 배치되어 있고 앙부일귀대가 남아있다. 요기에서 괴속은 팔각 또는 사각의 석분에 심어져 있으며 석분에는 화문이 조각되어 있다. 석구는 거북 좌대위에 두 마리의 용이 서린 형상의 것이 있고, 욘화형 수조에는 월궁을 상징하는 두꺼비가 새겨진 것도 있다. 정방형 석지는 높이가 110cm, 한 변이 68cm, 길이가 11.5cm인 것 2개가 있다. 이 석지의 표면에는 함월지라는 글을 새긴 것과 낙하담이라는 글을 새긴 것이 있는데, 함월지란 달이 잠긴 못이란 뜻이며, 낙하담은 노을이 잠긴 못이란 뜻으로 매우 풍류적인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아미산에는 6각형의 벽돌로 아름답게 축조한 굴뚝(보물 제 810호) 4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굴뚝은 고종 2년 경복궁을 중건할 때 만든 것으로 높이는 260cm이며 당초문, 소나무, 대나무, 매화, 모란, 국화, 용, 호랑이, 박쥐, 해태, 구름 등의 정교한 문양을 색깔있는 조형전으로 구위서 굴뚝의 벽면에 박아 장식하였다. 이러한 문양은 왕과 신하 그리고 행복과 장수, 사군자의 선비적 고고함 등을 상징하는 것이다. 굴뚝의 상부는 역시 조형전으로 목조 건물의 형태를 모방한 연가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이것은 굴뚝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하면서 각종 문양의 형태와 구성을 아름답게 하여 궁궐 후원의 장식적 조형물로 취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아미산의 화계에는 옥매, 황매, 홍매, 매화, 모란, 작약, 산철쭉, 앵두 등 화목류가 심어져 있고 단 위의 동산에는 소나무, 참배나무, 느티나무, 살구나무, 산수유 등 다양한 수목이 식재되어 있다.
6. 자경전 굴뚝과 꽃담의 재료와 문양의 의미, 조성 방식을 기술하시오.
자경전 뒤뜰에는 보물 810호로 지정된 십장생 굴뚝이 있는데 이것은 뒷담에 붙여서 만든 굴뚝으로 너비 381cm, 높이 235cm이며 두께는 65cm이다. 이 굴뚝에는 십장생 무늬가 한복판에 새겨져 있으며, 아래와 위쪽에는 벽사상의 각종 문양이 새겨져 있다. 문양을 자세히 살펴보면, 굴뚝벽의 상단 중앙에는 네모난 전돌 한 장에 해치인지 용인지 알 수 없는 문양이 새겨져 있으며 좌우에는 조금 작은 전돌에 학문전을 박았다. 그 아래의 가로 303cm, 세로 88cm의 화벽 벽면에 해, 달, 구름, 물, 바위, 불로초, 소나무, 거북, 학, 사슴과 그 밖에 포도, 연
4. 경회루 지원에서는 다양한 행위가 이루어졌었다. 1)어떠한 행위가 이루어 졌는가? 2)어떠한 행위가 이루어졌으면 좋겠는가 각자의 견해를 기술하시오.
1)경회루 일대는 일반적으로 연회나 휴식의 공간으로 이용되었다. 사신이 왔을 때, 이 곳에서 연회를 열어 접대하고 여러 신하들과 연회를 즐겼던 것뿐만 아니라 간혹 친시(親試)도 베풀어졌고, 때로는 무예권장을 위한 관사도 열리었으며 출사에 따른 친전연이 베풀어지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경사스러운 회연이 자주 있었다. 그리고 부처님께 기도드리는 기불독경이 베풀어지기도 하였으며 연못가에서 비를 빌던 기우제의 장소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과거 시험이나 활쏘기 등을 열기도 하였다.
2)현재의 경회루는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어 관광지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옛날에 벌어졌던 연회나 다른 행사들을 재현하는 등의 일은 없는 것 같다. 이러한 것들을 어느 특별한 날 개최하여 사람들의 발길을 끌었으면 좋겠다. 또한 음악회나 궁중음악 연주 등의 행사로 일반 시민들의 생활 문화 장소로 자리 잡았으면 좋겠다.
5. 경복궁 아미산원에 대해 아는 대로 기술하시오.
교태전은 왕비의 정침인 중궁전으로 경복궁의 동서남북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교태전 후원에는 경회루 방지를 축조할 때 파낸 흙으로 조성된 아미산이 있다. 아미산이란 중국의 선산을 상징하는 이름이다. 이 아미산은 그 위치로 보아 왕가의 가족이 상주하는 침전 뒤 북쪽에 두어 중국으로부터 서울로 남하하여 궁중으로 들어오는 두신을 퇴치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조성된, 일종의 벽사적 개념을 가진 것이다.
아미산에는 장대석으로 된 4단의 화계가 있으며, 화계의 단에는 괴석, 석구, 석지들이 배치되어 있고 앙부일귀대가 남아있다. 요기에서 괴속은 팔각 또는 사각의 석분에 심어져 있으며 석분에는 화문이 조각되어 있다. 석구는 거북 좌대위에 두 마리의 용이 서린 형상의 것이 있고, 욘화형 수조에는 월궁을 상징하는 두꺼비가 새겨진 것도 있다. 정방형 석지는 높이가 110cm, 한 변이 68cm, 길이가 11.5cm인 것 2개가 있다. 이 석지의 표면에는 함월지라는 글을 새긴 것과 낙하담이라는 글을 새긴 것이 있는데, 함월지란 달이 잠긴 못이란 뜻이며, 낙하담은 노을이 잠긴 못이란 뜻으로 매우 풍류적인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아미산에는 6각형의 벽돌로 아름답게 축조한 굴뚝(보물 제 810호) 4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굴뚝은 고종 2년 경복궁을 중건할 때 만든 것으로 높이는 260cm이며 당초문, 소나무, 대나무, 매화, 모란, 국화, 용, 호랑이, 박쥐, 해태, 구름 등의 정교한 문양을 색깔있는 조형전으로 구위서 굴뚝의 벽면에 박아 장식하였다. 이러한 문양은 왕과 신하 그리고 행복과 장수, 사군자의 선비적 고고함 등을 상징하는 것이다. 굴뚝의 상부는 역시 조형전으로 목조 건물의 형태를 모방한 연가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이것은 굴뚝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하면서 각종 문양의 형태와 구성을 아름답게 하여 궁궐 후원의 장식적 조형물로 취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아미산의 화계에는 옥매, 황매, 홍매, 매화, 모란, 작약, 산철쭉, 앵두 등 화목류가 심어져 있고 단 위의 동산에는 소나무, 참배나무, 느티나무, 살구나무, 산수유 등 다양한 수목이 식재되어 있다.
6. 자경전 굴뚝과 꽃담의 재료와 문양의 의미, 조성 방식을 기술하시오.
자경전 뒤뜰에는 보물 810호로 지정된 십장생 굴뚝이 있는데 이것은 뒷담에 붙여서 만든 굴뚝으로 너비 381cm, 높이 235cm이며 두께는 65cm이다. 이 굴뚝에는 십장생 무늬가 한복판에 새겨져 있으며, 아래와 위쪽에는 벽사상의 각종 문양이 새겨져 있다. 문양을 자세히 살펴보면, 굴뚝벽의 상단 중앙에는 네모난 전돌 한 장에 해치인지 용인지 알 수 없는 문양이 새겨져 있으며 좌우에는 조금 작은 전돌에 학문전을 박았다. 그 아래의 가로 303cm, 세로 88cm의 화벽 벽면에 해, 달, 구름, 물, 바위, 불로초, 소나무, 거북, 학, 사슴과 그 밖에 포도, 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