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고버섯농장을 다녀와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표고버섯농장을 다녀와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표고버섯농장소개

♣ 표고버섯을 학문적으로 이해하기

♣ 표고버섯의 특징

♣ 표고버섯의 종류

♣ 표고버섯 재배

♣ 표고버섯 재배방법

♣ 표고톱밥재배기술
1) 머 리 말
2) 표고톱밥재배에 적합한 품종
3) 종균의 준비
4) 톱밥배지의 재료
5) 톱밥배지 조제
6) 배지의 살균
7) 배지의 냉각
8) 종균접종
9) 배양
10) 버섯발생
11) 수 확
12) 맺음말

본문내용

부분과 주발버섯, 안장버섯등이 속해 있는 자낭균류의 일부분이 이에 들어가며, 조균류와 불완전균류와는 관계가 없다.
그리고 버섯은 영양섭취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기도 한다.
부생균
짚이나 풀 등이 발효한 퇴비에서 발생하는 종류로서 양송이에서 볼 수 있다.
목재부후군
표고버섯, 목이버섯, 팽나무버섯, 느타리버섯, 잎새버섯 등과 같이 스스로 가지고 있는 효소의 작용으로 목재를 부패시켜 필요한 영양분을 섭취하는 것이다. 이것은 원목을 그대로 써서 재배하지만 본래는 썩은 나무에 많이 발생한다. 이들 종류는 소화되지 않는 다당류인 셀룰로오스, 리그닌 등을 스스로의 효소에 의하여 대사에 이용할 수 있는 성분으로 분해하는 것이다.
균근류
송이, 초버섯, 그물버섯, 파리버섯 등과 같이 공생식물이 되는 수목의 잔뿌리와 함께 산다. 균근이라는 균과 뿌리를 연결하는 특수기관을 만들어 영양분을 흡수하여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활물기생균이라고도 하는데, 보통 공생관계를 지고 있다.
기생균
살아 있는 동식물체에 일방적으로 영양분을 흡수하여 생활하는 종류이다. 뽕나무버섯은 수목에 기생하고, 동충하초라는 버섯은 곤충이나 거미 등에 기생하는 것이다.
국내종
국내의 표고버섯은 품위의 선별에 따라 나누기도 한다. 표고버섯의 품위는 주로 갓의 형태에 따라 화고(화동고), 동고, 향고, 향신으로 구분한다.
갓의 펴짐정도가 거의 없고 육질이 두꺼우며, 갓의 모양이 거북등처럼 갈라져 있어 그 사이에 하얀 부분이 많은 것을 화고라고 부른다. 우리가 잘 아는 동고는 갓의 펴짐정도가 50% 이하인 것을 말하며, 반구형으로 갓의 끝부분이 충분히 말려 있어야 하며, 육질이 두껍고 갓의 표면에 다소 균열이 있으면서 주슴살은 별로 없다.
향고는 갓의 펴짐정도가 50-60%로 겉모양이 반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동고와 향신의 중간정도인 것을 말한다. 그럼 향신은 갓의 펴짐정도가 80% 이상인 것으로 육질이 얇다.
♣ 표고버섯 재배
식용버섯은 그 특유의 향과 맛으로 선조들로부터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오늘날 세계적인 국민보건식품으로 많은 양의 버섯이 소비되고 있다. 한국, 일본의 표고버섯과 중국, 동남아시아의 풀 버섯 그리고 유럽, 미국의 양송이는 3대 재배버섯이라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표고버섯 재배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원목으로는 1급목(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종)인 상수리나무, 졸참나무와 2급목(재배 가능한 수종)인 밤나무, 떡갈나무가 있다.
표고버섯의 인공 재배시에는 20-25년생의 나무가 적당하나 어린 나무나 지나치게 늙은 나무는 좋지 않다. 늦가을 낙엽이 시작될 때 나무를 잘라 다음해 봄까지 자연건조 시킨다. 이것을 일정한 길이(약 1m)로 잘라, 여기에 구멍을 뚫고 성숙한 종균을 밀어 넣는다. 이것을 재워두었다가 기온이 따뜻하여지면 적당한 습기가 있는 수풀 속에 세워둔다. 종균을 접종하고 2년째에 많은 버섯이 생기고 4-5년 계속된다.
버섯은 재배하는 장소에 따라 목재재배균류, 유기질재배균류, 임지재배균류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목재재배균류는 원목에 종균을 접종해 재배하는 방법으로 표고, 느타리, 팽나무버섯, 비늘버섯, 목이버섯 등이 속해 있다. 재배하기가 쉽고 경제적 이용 면으로 유리한 버섯들 이다.
건표고는 포장시에 수분이 13%를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보관시는 습도가 50% 이하인 저온창고, 저온창고가 없을 때는 그늘진 곳 등 가급적 저온을 유지할 수 있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보관에 적당한 온도는 0-5℃이다.
♣ 표고버섯 재배방법
1. 참나무 벌채하기
산에서 벌채되어 농장에 옮겨온 나무토막을 표고목이라한다.
2. 종균접종하기
옮겨온 표고목에 천공기로 구멍을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2.23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61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