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목차
1 중국의 음식
2 중국의 차
3 중국의 술 (中國酒)
4 중국의 명절
5 중국의 결혼풍습
6 중극의 경극
7 중국의 영화
2 중국의 차
3 중국의 술 (中國酒)
4 중국의 명절
5 중국의 결혼풍습
6 중극의 경극
7 중국의 영화
본문내용
인다. 콰이지(會稽)란 곳이 바로 지금의 싸오씽(紹興) 지방이다.
서예에 관심있는 분들은 왕희지(王羲之)의 <난정첩(蘭亭帖)--오른쪽 사진 참고>를 알 것이다. 서예의 성인 왕시쯔가 문인을 초대하여 곡수유상(曲水流觴)할 때 마신 술이 바로 싸오씽지우이며 이때 휘갈긴 작품이 <난정첩(蘭亭帖)>인 것이다. 술은 묵어야 제맛이지만 특히 싸오씽지우는 묵을수록 진품이다. 청나라 말기만 해도 명나라 때 담근 싸오씽지우가 있었다 한다. 수백년 묵은 이 술은 호박색(琥珀色)을 띤 반고체 상태였는데 각설탕 크기로 조금 떠어내 수백배로 희석시켜 마셔도 그 맛이 기막혔다 하니 믿어야 할지 말지......
자고로 술과 문인은 각별한 관계였다. 중국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양가집 청상과부를 꼬드켜 함께 술집을 차린 한(漢)나라의 대문호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있었는가 하면, 학비를 술로 받은 양웅(揚雄)도 있었다. 손님 앞에서 부르는 권주가(勸酒歌)가 시원찮다 하여 자신의 애첩들을 손님 앞에서 차례로 셋이나 목자른 진대(晉代)의 갑부 석숭(石崇)이 있었는가 하면, 《한서(漢書)》를 안주 삼아 한 대접씩 들이킨 송대 문인 소순흠(蘇舜欽)도 있었다. 술 한말에 시 백편이었다는 이태백(李太白)도 있었고, 알딸딸한 취기(醉氣)에 자신의 울분을 실은 명시 <비파행(琵琶行)>을 지은 백거이(白居易)도 있었다.
중국문화의 주류는 유가사상이었다. 유가는 사회질서의 규범을 중시했으며 중용의 태도를 행위의 모범으로 삼았다. 바로 이점이 주신(酒神) 숭배에서 비롯된 서양의 음주전통이 중국에서는 용납되지 않은 까닭이며 일부 문인들의 과음 행위가 단지 에피소드로 오르내릴 뿐 현실에서는 경계되었던 이유다. [한대 묘벽에 조각된 투호(投壺)--음주 놀이의 하나]
옛 중국에서의 술은 천지신명과 인간, 선조와 자손, 주인과 손님 사이에 단지 예의를 갖추는 하나의 매개물이었을 뿐 이른바 즐기는 음료는 아니었다. 그러므로 \'한 잔에 온화한 표정, 두 잔에 공손한 말씨, 석 잔에 유유히 물러난다\'하는 잠언(箴言)이 유가서적에서 거듭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인생이란 고해(苦海)라 했으니 저 유명한 조조(曹操)같은 인물조차 감상스런 어조로 「인생의 근심 걱정 어떻게 풀거나, 오로지 해결책은 잔 속의 술이로다」 이렇게 읊조렸다. 중국 역사를 통해 수없이 쏟아져 나온 형형색색의 미주(美酒)와 권주가(勸酒歌)는 유가사상도 어찌할 수 없었던 인간적인 한계였나 보다.(끝)
중국의 명절
춘절 _春節 : 구정, 설날
지금이야 이미 시들해졌지만 과거에는 상당히 크게 지냈던 명절이 바로 구정입니다. 과거 농업사회에서는 패러다임 자체가 농사일을 중심으로 돌아갔고, 농부들은 음력을 기준으로 매사를 계획했습니다. 따라서 음력 1월 1일은 새로운 한해의 시작이므로 상당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농업사회에서 농사일은 오로지 경험자가 가장 잘 압니다. 특히 직접 경험자가 가장 잘 압니다. 직접 경험자란 십중팔구 나이가 들었으므로 연장자는 당연히 권위가 있게 됩니다. 연장자의 연장자는 돌아가신 분이겠고 그런 분에게 존경과 감사의 표시를 하는 것도 당연한 일이었어요. 구정 때 차례를 지낸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바로 이런 의미가 있었던 것입니다. [실제로 우리처럼 절을 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향을 피우고 허리를 굽히는 정도입니다]
한해를 마감하고 새로 시작한다는 의미에서 중국어로는 \'꾸어니엔(過年)\'이라고도 합니다. 우리말로는 \'설 쇤다\' 정도의 의미가 됩니다. 그런데 구정을 중국어로는 보통 \'춘절(春節)\'이라고 하지요. 이건 1911년 신해혁명(辛亥革命)후 건립된 중화민국정부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양력을 채용하면서 양력 1월 1일을 신년(新年) 또는 원단(元旦)으로 명명하고, 전통 명절인 음력 정월 초하루는 \'춘절(春節)\'로 불렀기 때문입니다. 현재 중국이나 대만이나 모두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 나라는 올해 단 사흘로 구정휴가가 끝나 아쉬움이 드는군요. 중국 경우도 공식적으로는 사흘 휴가이긴 합니다만 그러나 농촌에서는 음력 대보름까지 대략 15일 가량을 쉽니다.
중화문화권에서는 매년 음력 12월에 접어들면 일종의 워밍업처럼 춘절(春節) 분위기가 무르익기 시작합니다. 전통 습속에 따르면, 음력 섣달 초팔일(12월 8일)에는 랍팔죽(臘八粥)을 먹습니다. 랍팔죽은 쌀/좁쌀/찹쌀/수수/붉은콩/대추/호도/땅콩 등을 함께 끓여 만든 음식입니다. 재료에서 보았듯 온갖 곡식이 다 들어있습니다. \'오곡이 풍성하길\' 기원하는 그런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요즘으로 말하면 온갖 재물이 풍성하길 바라는 마음 정도가 될까요?
이런 랍팔죽은 요즘처럼 바쁜 세상에 해먹는 집이 별로 없을 것같습니다. 바쁜 현대 중국인들을 위해 이미 캔으로 시판되는 것도 있습니다. 젊은이들은 편의점에서 하나 사서 그 자리에서 따먹으면 됩니다.
한편 음력 12월 23일은 부엌 귀신에게 엿을 바치며 비는 날이기도 합니다. 엿을 먹인다고 하면 우리는 우롱한다는 뜻으로 쓰는데 맞는 말이지요. 전설에 의하면 부엌 귀신이 엿을 먹고는 하늘에 보고할 때 집주인을 위하여 좋은 말을 해준다는 것입니다. 옥황상제가 어느 세월에 세상 사람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다 감시하겠어요. 그집의 부엌 귀신이 보고한 말에 근거하여 복을 내리거나 벌을 준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세상 사람들은 부엌 귀신에게 좋은 소리 좀 해달라고 엿을 먹입니다.
이어서 춘절(春節)의 전날 밤, 즉 음력 12월 30일을 제석(除夕)이라 부릅니다. 가족이 다 모여 풍성한 저녁 식사를 하는데 이걸 가리켜 년야반(年夜飯 : 제야에 먹는 음식)이라고 합니다. 년야반(年夜飯)을 먹은 후 서로 환담을 나누거나 T.V 및 오락등을 즐기면서 밤을 지새는데 이걸 일컬어을 수세(守歲)라고 합니다.
새해로 넘어가는 찰나 저녁 12시가 되면, 이건 천지를 뒤흔드는 소리가 사면팔방에서 터집니다. 폭죽을 터뜨리는 것이예요. 낡은 것을 다 날려 버리는 일종의 상징적인 행사입니다. 여기엔 물론 전설이 있습니다. 옛날 괴수(怪獸)가 있었는데 매년 연말만 되면 나타나 사람과 가축을 해쳤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놈은 오직 밝은 불빛과 요란한소리 만을 무서워했으므로 그놈을
서예에 관심있는 분들은 왕희지(王羲之)의 <난정첩(蘭亭帖)--오른쪽 사진 참고>를 알 것이다. 서예의 성인 왕시쯔가 문인을 초대하여 곡수유상(曲水流觴)할 때 마신 술이 바로 싸오씽지우이며 이때 휘갈긴 작품이 <난정첩(蘭亭帖)>인 것이다. 술은 묵어야 제맛이지만 특히 싸오씽지우는 묵을수록 진품이다. 청나라 말기만 해도 명나라 때 담근 싸오씽지우가 있었다 한다. 수백년 묵은 이 술은 호박색(琥珀色)을 띤 반고체 상태였는데 각설탕 크기로 조금 떠어내 수백배로 희석시켜 마셔도 그 맛이 기막혔다 하니 믿어야 할지 말지......
자고로 술과 문인은 각별한 관계였다. 중국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양가집 청상과부를 꼬드켜 함께 술집을 차린 한(漢)나라의 대문호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있었는가 하면, 학비를 술로 받은 양웅(揚雄)도 있었다. 손님 앞에서 부르는 권주가(勸酒歌)가 시원찮다 하여 자신의 애첩들을 손님 앞에서 차례로 셋이나 목자른 진대(晉代)의 갑부 석숭(石崇)이 있었는가 하면, 《한서(漢書)》를 안주 삼아 한 대접씩 들이킨 송대 문인 소순흠(蘇舜欽)도 있었다. 술 한말에 시 백편이었다는 이태백(李太白)도 있었고, 알딸딸한 취기(醉氣)에 자신의 울분을 실은 명시 <비파행(琵琶行)>을 지은 백거이(白居易)도 있었다.
중국문화의 주류는 유가사상이었다. 유가는 사회질서의 규범을 중시했으며 중용의 태도를 행위의 모범으로 삼았다. 바로 이점이 주신(酒神) 숭배에서 비롯된 서양의 음주전통이 중국에서는 용납되지 않은 까닭이며 일부 문인들의 과음 행위가 단지 에피소드로 오르내릴 뿐 현실에서는 경계되었던 이유다. [한대 묘벽에 조각된 투호(投壺)--음주 놀이의 하나]
옛 중국에서의 술은 천지신명과 인간, 선조와 자손, 주인과 손님 사이에 단지 예의를 갖추는 하나의 매개물이었을 뿐 이른바 즐기는 음료는 아니었다. 그러므로 \'한 잔에 온화한 표정, 두 잔에 공손한 말씨, 석 잔에 유유히 물러난다\'하는 잠언(箴言)이 유가서적에서 거듭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인생이란 고해(苦海)라 했으니 저 유명한 조조(曹操)같은 인물조차 감상스런 어조로 「인생의 근심 걱정 어떻게 풀거나, 오로지 해결책은 잔 속의 술이로다」 이렇게 읊조렸다. 중국 역사를 통해 수없이 쏟아져 나온 형형색색의 미주(美酒)와 권주가(勸酒歌)는 유가사상도 어찌할 수 없었던 인간적인 한계였나 보다.(끝)
중국의 명절
춘절 _春節 : 구정, 설날
지금이야 이미 시들해졌지만 과거에는 상당히 크게 지냈던 명절이 바로 구정입니다. 과거 농업사회에서는 패러다임 자체가 농사일을 중심으로 돌아갔고, 농부들은 음력을 기준으로 매사를 계획했습니다. 따라서 음력 1월 1일은 새로운 한해의 시작이므로 상당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농업사회에서 농사일은 오로지 경험자가 가장 잘 압니다. 특히 직접 경험자가 가장 잘 압니다. 직접 경험자란 십중팔구 나이가 들었으므로 연장자는 당연히 권위가 있게 됩니다. 연장자의 연장자는 돌아가신 분이겠고 그런 분에게 존경과 감사의 표시를 하는 것도 당연한 일이었어요. 구정 때 차례를 지낸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바로 이런 의미가 있었던 것입니다. [실제로 우리처럼 절을 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향을 피우고 허리를 굽히는 정도입니다]
한해를 마감하고 새로 시작한다는 의미에서 중국어로는 \'꾸어니엔(過年)\'이라고도 합니다. 우리말로는 \'설 쇤다\' 정도의 의미가 됩니다. 그런데 구정을 중국어로는 보통 \'춘절(春節)\'이라고 하지요. 이건 1911년 신해혁명(辛亥革命)후 건립된 중화민국정부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양력을 채용하면서 양력 1월 1일을 신년(新年) 또는 원단(元旦)으로 명명하고, 전통 명절인 음력 정월 초하루는 \'춘절(春節)\'로 불렀기 때문입니다. 현재 중국이나 대만이나 모두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 나라는 올해 단 사흘로 구정휴가가 끝나 아쉬움이 드는군요. 중국 경우도 공식적으로는 사흘 휴가이긴 합니다만 그러나 농촌에서는 음력 대보름까지 대략 15일 가량을 쉽니다.
중화문화권에서는 매년 음력 12월에 접어들면 일종의 워밍업처럼 춘절(春節) 분위기가 무르익기 시작합니다. 전통 습속에 따르면, 음력 섣달 초팔일(12월 8일)에는 랍팔죽(臘八粥)을 먹습니다. 랍팔죽은 쌀/좁쌀/찹쌀/수수/붉은콩/대추/호도/땅콩 등을 함께 끓여 만든 음식입니다. 재료에서 보았듯 온갖 곡식이 다 들어있습니다. \'오곡이 풍성하길\' 기원하는 그런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요즘으로 말하면 온갖 재물이 풍성하길 바라는 마음 정도가 될까요?
이런 랍팔죽은 요즘처럼 바쁜 세상에 해먹는 집이 별로 없을 것같습니다. 바쁜 현대 중국인들을 위해 이미 캔으로 시판되는 것도 있습니다. 젊은이들은 편의점에서 하나 사서 그 자리에서 따먹으면 됩니다.
한편 음력 12월 23일은 부엌 귀신에게 엿을 바치며 비는 날이기도 합니다. 엿을 먹인다고 하면 우리는 우롱한다는 뜻으로 쓰는데 맞는 말이지요. 전설에 의하면 부엌 귀신이 엿을 먹고는 하늘에 보고할 때 집주인을 위하여 좋은 말을 해준다는 것입니다. 옥황상제가 어느 세월에 세상 사람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다 감시하겠어요. 그집의 부엌 귀신이 보고한 말에 근거하여 복을 내리거나 벌을 준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세상 사람들은 부엌 귀신에게 좋은 소리 좀 해달라고 엿을 먹입니다.
이어서 춘절(春節)의 전날 밤, 즉 음력 12월 30일을 제석(除夕)이라 부릅니다. 가족이 다 모여 풍성한 저녁 식사를 하는데 이걸 가리켜 년야반(年夜飯 : 제야에 먹는 음식)이라고 합니다. 년야반(年夜飯)을 먹은 후 서로 환담을 나누거나 T.V 및 오락등을 즐기면서 밤을 지새는데 이걸 일컬어을 수세(守歲)라고 합니다.
새해로 넘어가는 찰나 저녁 12시가 되면, 이건 천지를 뒤흔드는 소리가 사면팔방에서 터집니다. 폭죽을 터뜨리는 것이예요. 낡은 것을 다 날려 버리는 일종의 상징적인 행사입니다. 여기엔 물론 전설이 있습니다. 옛날 괴수(怪獸)가 있었는데 매년 연말만 되면 나타나 사람과 가축을 해쳤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놈은 오직 밝은 불빛과 요란한소리 만을 무서워했으므로 그놈을
추천자료
[중국문화] 중국의 음식문화
[중국문화의 이해]중국의 여행문화에 대하여
[중국문화의 이해]중국의 결혼문화에 대하여
[중국문화의 이해]중국의 결혼문화 조사
중국문화의 교류(중국의 미술)
(중국문화 자유주제 레포트) 주성치를 통해 살펴본 중국문화
[중국 문화의 시스템론적 해석] 중국문화의 시스템론적 해석
한국사회의성문화,성행위문화,청소년성문화,대학생성문화,중국의성문화,성문화실태
중국문화의 시스템론적 해석 중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
중국문화의 시스템론적 -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 [독후감, 서평]
[중국문화] 중국의 문화와 예절
중국문화_관광중국어
중국 문화.중국 남방과 북방의차이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