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기본정보 및 현 질병관련 정보 나열
2. 류마티스 질병(원인, 병리,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 시술에 대한 기술
3. 현 간호문제와 관련된 신체검진
4. 임상검사
5. 실습 기간 및 간호 과정과 관련된 약물
6.간호과정 간호진단목록 (우선순위) : 도출 가능한 모든 간호 문제 나열 및 우선순위에 따른 정렬
7.간호계획
8.간호 평가
2. 류마티스 질병(원인, 병리,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 시술에 대한 기술
3. 현 간호문제와 관련된 신체검진
4. 임상검사
5. 실습 기간 및 간호 과정과 관련된 약물
6.간호과정 간호진단목록 (우선순위) : 도출 가능한 모든 간호 문제 나열 및 우선순위에 따른 정렬
7.간호계획
8.간호 평가
본문내용
예방하기 위해 교환할 필요가 있다.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II 153p)
② 위간의 막힘을 방지하기위해 약물주입 전과 후에는 관을 물로 통과시켜야한다. 또한 위관을 막히지 않게 하는 방법은 위관 속으로 췌장효소나 약가사 조제한 용액등을 이용한다.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II 154p)
3) 교육적 지시 (환자와 가족 교육)
① 침상머리 부분을 30˚~40˚ 상승시키는 것은 흡인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기본간호학 II 159p)
②흡인 내용울이 250ml 이상으로 소화가 안된 것으로 확인이 되면 영양 공급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알린다. 흡인된 내용물은 체액과 전해질 불균형이 생기지 않도록 다시 주입한다.
(기본간호학 II 154P)
간호수행
(우선순위)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해 수행한 간호 모두 서술
: 시간, 장소, 횟수, 용량 등 자세히 기술
간호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주관적 반응과 표현 등 결과 진술
① Levin tube 유지중임 (사이즈 18Fr 고정: 60cm 목적 feeding)
②Levin tube 를 유지하면서 흡인의 위험성을 중재함
③ Levin tube 흡인 예방법 및 자세를 설명함.
④ 영약액을 주입할 때 마다 위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약물 주입 전과 후에는 관을 물로 통과시킴.
⑤ gavger feeding 중이여서 Nutritiom support를 위해 TPN 시행함
⑦ 영양액 주입전 영양액의 온도를 체온과 비슷하게 맞춤
간호
평가
경관 영양으로 인한 흡인(aspiration)이 발생하지 않는다. - 달성
5일동안 대상자에게 영양액 주입으로 인한 오심, 구토 역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달성
간호
사정
(일시 기술)
주관적 자료
“밥줘 밥줄시간이잖아 왜 밥 안줘”
“몰라, 몰라”
“여기가 어디야 나 왜 여기있어”
객관적 자료
알츠하이머 치매(Alzheimer\'s Dementia)
같은 말을 반복해서 말씀하시며, 여기가 어디인지 모를때가 있음
관절염 예방을 위한 자기돌봄 행위에 대해 설명할 때 이해하지 못하고 움직이지 않으심.
간병인을 딸로 착각하고 집에 가자고 말함
간호진단
(우선순위)
치매와 관련된 의사소통 장애
간호
계획
간호
목표
(반드시 time limit 제시)
1) 장기목표
2주 안에 대상자는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표현을 통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한달안에 대상자의 치매가 입원전보다 더 좋아진다.
2) 단기목표
5일 동안 대상자는 가족, 간병인 또는 의료진과 매일 하루 5분 이상 대화를 나눈다.
교육후 간병인 또는 대상자의 가족은 치매 예방 교육 방법에 대해 한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
간호중재
설정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간호중재
계획)
1) 진단적 지시 (관찰, 사정해야 할 내용)
① 간병인이 대상자에게 일관성을 유지하는지 사정한다.
② 간이정신 상태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을 사용하여 인지상태를 측정한다.
2) 치료적 지시 (직접 간호활동 등)
① 대상자와 대화시 간단하고 명확한 문장 및 단어를 사용하고 천천히 말한다.
② 대화 시 조명이 적절하고 차분하며 조용한 안정적인 환경을 조성한다.
3) 교육적 지시 (환자와 가족 교육)
① 대상자의 가족, 간병인에게 알츠하이머병 으로 인해 의사소통이 어려울수 있다는 것을 교육한다.
② 대상자의 가족, 간병인에게 알츠하이머병 대상자의 간호중재법을 교육한다.
간호중재 설정의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지시 (관찰, 사정해야 할 내용)
① 알츠하이머 병의 대상자에게 가장 중요한 두가지 활동은 과다한 자극을 방지하고 구조화되고 체계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인데. 가구, 빗 안경과 같은 물건을 항상 제자리에 두며 매일 계획에 따라 간호를 제공하는 일관성을 유지해야한다.
(성인간호학 하권 505P)
② MMSE는 11개의 질문으로 5개의 인지영역을 측정하는데 최대 30점이며 23점 이하는 인지장애를 시사한다. MMSE는 5~10분정도가 소요되며 주기적으로 반복사용이 단순하여 실용적이다.
(성인간호학 하권 502P)
2) 치료적 지시 (직접 간호활동 등)
① 의사소통 문제가 있거나 잘 듣지 않는 대상자와 대화 할 때 관심을 집중하며. 간호사는 천천히 분명한 어조로 말하고, 문장은 짧게한다.
(성인간호학 하권 506P)
② 환경의 혼란스러움과 소음을 가능한 없애준다. 벽의 그림이나 장식이 자신을 해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방에 걸어두지 않는다. 방은 눈부신 불빛이나 무섭게 할 수 있는 그림자가 없도록 조명이나 불빛을 적절하게 조성한다.
(성인간호학 하권 505P)
3) 교육적 지시 (환자와 가족 교육)
① 치매의 원인이 되는 할츠하이머 병의 대상자의 경우 의사소통이 힘들며, 점진적인 기억상실과 혼돈이 발생하고 친구와 가족을 알아보기 힘들어하므로 적절한 가족간호로 대상자의 사회적 접촉과 여가활동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스트레스를 감소키기기 위해 교육한다.
(성인간호학 501P, 507P)
② 인지적 자극을 위해 다양한 사람과 접촉하게 하여 환경적 자극 제공을 제공한다. 현실의 변화가 필요하면 점진적으로 바꾼다.
기억력 촉진을 위해 기억의 문제는 환자나 가족과 상의하며, 환자가 마지막으로 표현한 생각을 적절하게 반복하게 함으로서 기억력을 자극한다.
(성인간호학 상권 503P)
간호수행
(우선순위)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해 수행한 간호 모두 서술
: 시간, 장소, 횟수, 용량 등 자세히 기술
간호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주관적 반응과 표현 등 결과 진술
① 환자의 방안을 차분하고 안정적인 환경으로 조성해줌.
② 간병인에게 알츠하이머병으로 의사소통이 어려움을 알려주고 간호중재법을 교육해줌
③ 간단하고 명확한 문장 및 단어를 사용하여 환자의 기억력 자극 및 의사소통을 증진함.
④ 치매 예방을 위해 환자와 매일 5분씩 대화를 이어나감
⑤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 duty 마다 v/s을 측정하고 간호를 제공함
간호
평가
5일 동안 대상자는 가족, 간병인 또는 의료진과 매일 하루 5분 이상 대화를 나눈다. - 달성
교육후 간병인 또는 대상자의 가족은 치매 예방 교육 방법에 대해 한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 -달성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II 153p)
② 위간의 막힘을 방지하기위해 약물주입 전과 후에는 관을 물로 통과시켜야한다. 또한 위관을 막히지 않게 하는 방법은 위관 속으로 췌장효소나 약가사 조제한 용액등을 이용한다.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II 154p)
3) 교육적 지시 (환자와 가족 교육)
① 침상머리 부분을 30˚~40˚ 상승시키는 것은 흡인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기본간호학 II 159p)
②흡인 내용울이 250ml 이상으로 소화가 안된 것으로 확인이 되면 영양 공급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알린다. 흡인된 내용물은 체액과 전해질 불균형이 생기지 않도록 다시 주입한다.
(기본간호학 II 154P)
간호수행
(우선순위)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해 수행한 간호 모두 서술
: 시간, 장소, 횟수, 용량 등 자세히 기술
간호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주관적 반응과 표현 등 결과 진술
① Levin tube 유지중임 (사이즈 18Fr 고정: 60cm 목적 feeding)
②Levin tube 를 유지하면서 흡인의 위험성을 중재함
③ Levin tube 흡인 예방법 및 자세를 설명함.
④ 영약액을 주입할 때 마다 위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약물 주입 전과 후에는 관을 물로 통과시킴.
⑤ gavger feeding 중이여서 Nutritiom support를 위해 TPN 시행함
⑦ 영양액 주입전 영양액의 온도를 체온과 비슷하게 맞춤
간호
평가
경관 영양으로 인한 흡인(aspiration)이 발생하지 않는다. - 달성
5일동안 대상자에게 영양액 주입으로 인한 오심, 구토 역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달성
간호
사정
(일시 기술)
주관적 자료
“밥줘 밥줄시간이잖아 왜 밥 안줘”
“몰라, 몰라”
“여기가 어디야 나 왜 여기있어”
객관적 자료
알츠하이머 치매(Alzheimer\'s Dementia)
같은 말을 반복해서 말씀하시며, 여기가 어디인지 모를때가 있음
관절염 예방을 위한 자기돌봄 행위에 대해 설명할 때 이해하지 못하고 움직이지 않으심.
간병인을 딸로 착각하고 집에 가자고 말함
간호진단
(우선순위)
치매와 관련된 의사소통 장애
간호
계획
간호
목표
(반드시 time limit 제시)
1) 장기목표
2주 안에 대상자는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표현을 통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한달안에 대상자의 치매가 입원전보다 더 좋아진다.
2) 단기목표
5일 동안 대상자는 가족, 간병인 또는 의료진과 매일 하루 5분 이상 대화를 나눈다.
교육후 간병인 또는 대상자의 가족은 치매 예방 교육 방법에 대해 한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
간호중재
설정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간호중재
계획)
1) 진단적 지시 (관찰, 사정해야 할 내용)
① 간병인이 대상자에게 일관성을 유지하는지 사정한다.
② 간이정신 상태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을 사용하여 인지상태를 측정한다.
2) 치료적 지시 (직접 간호활동 등)
① 대상자와 대화시 간단하고 명확한 문장 및 단어를 사용하고 천천히 말한다.
② 대화 시 조명이 적절하고 차분하며 조용한 안정적인 환경을 조성한다.
3) 교육적 지시 (환자와 가족 교육)
① 대상자의 가족, 간병인에게 알츠하이머병 으로 인해 의사소통이 어려울수 있다는 것을 교육한다.
② 대상자의 가족, 간병인에게 알츠하이머병 대상자의 간호중재법을 교육한다.
간호중재 설정의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지시 (관찰, 사정해야 할 내용)
① 알츠하이머 병의 대상자에게 가장 중요한 두가지 활동은 과다한 자극을 방지하고 구조화되고 체계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인데. 가구, 빗 안경과 같은 물건을 항상 제자리에 두며 매일 계획에 따라 간호를 제공하는 일관성을 유지해야한다.
(성인간호학 하권 505P)
② MMSE는 11개의 질문으로 5개의 인지영역을 측정하는데 최대 30점이며 23점 이하는 인지장애를 시사한다. MMSE는 5~10분정도가 소요되며 주기적으로 반복사용이 단순하여 실용적이다.
(성인간호학 하권 502P)
2) 치료적 지시 (직접 간호활동 등)
① 의사소통 문제가 있거나 잘 듣지 않는 대상자와 대화 할 때 관심을 집중하며. 간호사는 천천히 분명한 어조로 말하고, 문장은 짧게한다.
(성인간호학 하권 506P)
② 환경의 혼란스러움과 소음을 가능한 없애준다. 벽의 그림이나 장식이 자신을 해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방에 걸어두지 않는다. 방은 눈부신 불빛이나 무섭게 할 수 있는 그림자가 없도록 조명이나 불빛을 적절하게 조성한다.
(성인간호학 하권 505P)
3) 교육적 지시 (환자와 가족 교육)
① 치매의 원인이 되는 할츠하이머 병의 대상자의 경우 의사소통이 힘들며, 점진적인 기억상실과 혼돈이 발생하고 친구와 가족을 알아보기 힘들어하므로 적절한 가족간호로 대상자의 사회적 접촉과 여가활동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스트레스를 감소키기기 위해 교육한다.
(성인간호학 501P, 507P)
② 인지적 자극을 위해 다양한 사람과 접촉하게 하여 환경적 자극 제공을 제공한다. 현실의 변화가 필요하면 점진적으로 바꾼다.
기억력 촉진을 위해 기억의 문제는 환자나 가족과 상의하며, 환자가 마지막으로 표현한 생각을 적절하게 반복하게 함으로서 기억력을 자극한다.
(성인간호학 상권 503P)
간호수행
(우선순위)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해 수행한 간호 모두 서술
: 시간, 장소, 횟수, 용량 등 자세히 기술
간호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주관적 반응과 표현 등 결과 진술
① 환자의 방안을 차분하고 안정적인 환경으로 조성해줌.
② 간병인에게 알츠하이머병으로 의사소통이 어려움을 알려주고 간호중재법을 교육해줌
③ 간단하고 명확한 문장 및 단어를 사용하여 환자의 기억력 자극 및 의사소통을 증진함.
④ 치매 예방을 위해 환자와 매일 5분씩 대화를 이어나감
⑤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 duty 마다 v/s을 측정하고 간호를 제공함
간호
평가
5일 동안 대상자는 가족, 간병인 또는 의료진과 매일 하루 5분 이상 대화를 나눈다. - 달성
교육후 간병인 또는 대상자의 가족은 치매 예방 교육 방법에 대해 한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 -달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