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간 미군정기 사회복지정책의 실태 및 비교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1. 미군정의 정의
2. 도입배경
3. 발달과정

II. 한국 미군정기의 사회복지정책
1. 사회문제의 실태
2. 사회복지정책의 개요
3. 공공부조정책의 전개
1) 공공부조정책의 제도적 변화
2) 구호정책의 실태
4. 사회복지정책의 성격

III. 일본 미군정기의 사회복지정책
1. 사회문제의 실태
2. 사회복지정책의 개요
3. 공공부조정책의 전개
4. 사회복지정책의 분석
1) 정치적 특성
2) 사회복지정책과 제도의 성격

IV. 결론: 한일 미군정기 사회복지정책의 비교고찰
1. 양국 복지정책의 유사성과 차이점
2. 정책결정요인의 비교 고찰
3. 장기적 영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보호법(47.5.16)' 이외에는 어떠한 복지관계 입법도 추진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한국내 지배세력의 속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정치적 요인들을 종합해 보면, 미국 점령정책의 기본방향의 차이, 행정구조의 차이 그리고 관료 및 지배세력의 역할 차이 등이 부각될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이 사회경제적 요인들과 상호 작용하면서 정책결정을 규정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미군정의 경우 점령정책의 무계획성과 독단성 그리고 관료 및 지배세력의 반민중성이 열악한 사회경제적 요인들과 결합하여 임기응변적 복지시책을 결과하였던 것이다. 결국 양국간 복지정책의 차이는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으로 설명되겠지만, 정치적 요인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좀 더 부각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3. 장기적 영향
마지막으로 미군정기 복지정책의 장기적 영향은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일본의 경우에는 제도적 측면과 이념적 측면에서 미군정의 복지정책이 이후의 발전을 위한 토대를 형성하였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생활보호법, 아동복지법, 신체장해자복지법의 복지 3법이 이 기간 동안 정립되었으며, 그 외에도 실업보험제도, 정신위생법, 사회복지사업법 등의 법제화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념적 측면에서도 (신)생활보호법의 개정과정에서 보듯이 생존권 보장의 원칙, 자립구호의 원칙, 통합적 사회보장제도 지향의 원칙 등과 같은 근대적 복지이념이 정립되었다.
반면 한국의 경우에는 실효성이 약한 몇몇 노동보호 관계법 이외에는 아무런 새로운 법체계가 정비되지 않았음은 이미 전술하였다. 그 결과 제국주의 잔재라고 볼 수 있는 조선구호령이 1961년까지 존속할 수 있었던 기반이 이 기간동안 형성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제도나 정책의 내용에 있어서도 조선구호령과 미군정기의 처무준칙 그리고 1961년에 제정된 생활보호법의 주요 내용을 비교해보면, 급부 대상자의 인구학적 제한(65세 이상 노인, 18세 미만 아동, 불구폐질자, 임산부 등), 급부 내용과 수준의 저열성 등 전근대적인 구빈제도의 속성이 그대로 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미군정기는 한국 복지정책의 이념적, 제도적 근대화에 거의 아무런 공헌도 하지 못한 시기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권태환. 1978. "인구 성장의 추세와 요인". 이해영, 권태환 편. 한국사회-인구와 발전. 제1권. 서울대 인구발전연구소.
김국태 역. 1984. 해방 3년과 미국- 미국무성 비밀 외교문서(1945-48), 돌베개.
김석준. 1996. 미군정시대의 국가와 행정. 이대출판부.
김승철. 1986. "미군정의 구조와 성격". 녹두서평 I. 녹두.
남정운. 1949. "한국 후생사업의 회고와 전망". 대한민국공보부. 시정월보. 5호.
남찬섭. 1993. "미군정기 한국 사회복지정책 고찰". 연세대석사논문.
류진석. 1989. "일제시대의 빈곤정책". 하상락 편. 한국사회복지사론. 서울: 박영사.
사회부. 1949. 경제연감.
송광성. 1993. 미군점령 4년사. 한울.
아산복지재단. 1979. 한국의 사회복지.
역사문제연구소. 1989. 해방 3년사 연구입문. 까치.
오정수. 1987. 북한의 사회체제변동과 사회정책의 전개과정. 서울대석사논문.
이대근. 1987. 한국경제의 구조와 전개. 창작사.
이영환. 1989a. "미군정기 전재민 구호정책의 성격 연구". 서울대석사논문.
______. 1989b. "미군정기의 구호정책". 하상락편. 한국사회복지사론. 박영사.
이혜원. 1997. "일본의 생활보호제도 형성과정". 한국사회복지학. 제33호. pp.314-336.
장인협. 1982. "공적부조 제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박사논문.
정용욱. 1996. "1942-47년 미국의 대한정책과 과도정부 형태 구상". 서울대박사논문.
조선은행조사부. 1948. 조선경제년보.
조선통신사. 1948. 조선연감.
주한미육군정보참모부. 1986. 미군정정보보고서. 일월서각(영인본, 영문판).
최봉대. 1985.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통해 본 이승만 정권의 성립과 그 함의". 한국 현대사 I. 열음사.
최상룡. 1989. 미군정과 한국 민족주의. 나남.
최장집. 1988. "해방에서 6?25까지의 정치사회사 연구현황과 문제점". 역사문제연구소편. 한국근현대 연구입문. 역사비평사.
최장집 편. 1985. 한국현대사 I. 열음사.
하상락 편. 1989. 한국사회복지사론. 박영사.
Cumings, Bruce. 김주환역. 1986. 한국전쟁의 기원 상,하. 청사.
Meade, E. Grant. 1951.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New York: King's Crown Press. Columbia University.
Hye Kyung, L. 1982. "Development of Social Work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 Comparative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 of California. Berkely.
Rimlinger, Gaston V. 한국사회복지학연구회 역. 1991. 사회복지의 사상과 역사.
伊部英男. 1979. "社會福祉行政の基本的視點". 社會福祉硏究. No. 24.
石田 雄. 1984. "日本における福祉觀念の特質-比較政治文化の視點から",(東京大學社會科學硏究所 編, 福祉國家4-日本の法と福祉, 東京大出版部).
一番ケ瀨康子. 1973. "日本の社會事業の步み:占領期の社會事業Ⅱ". 月刊福祉. No. 19.
岡田好治. 1947. 生活保護百聞百答 弟1輯. 東京: 日本社會事業協會.
葛西嘉資·中村優一. 1986. "前後社會福祉制度體系の原點をさぐる". 月刊福祉. 1月.
小山進次郞. 1951. 改訂增補生活保護法の解釋と運用. 東京: 中央社會福祉協議會.
中村優一. 1986. "占領期社會事業の原流", 社會事業硏究所年報. No. 22.
日本 大藏省財政史室編. 1976. 昭和財政史: 終戰-講和3. 東京: 東洋經濟新報社.
  • 가격2,9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7.02.27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67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