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향과목 탁구수업 제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향과목 탁구수업 제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 탁구...그리고 나 (탁구수업 선택배경)

2.본 론 1 - 탁구 상식
(1)탁구의 기원
(2)탁구의 시설 및 용구
(3)탁구의 기본자세와 라켓 잡는 법
(4)탁구의 경기방식(단식, 복식)

본 론 2 - 탁구 기술
(1)스트로크
(2)쇼트
(3)드라이브
(4)로빙
(5)스매싱
(6)스톱타법
(7)서어브
(8)리스브

본 론 3 - 효과와 특징
(1)탁구의 효과
(2)탁구의 특징

3. 결론 : 레포트 후 느낀 점과 탁구수업에 대한 각오.

본문내용

. 탁구를 통해 체력뿐만 아니라, 순발력과 집중력 또한 키울 수 있었기 때문이다. 탁구채를 잡고, 날아오는 작은 하얀 공을 맞춰 상대방의 코트로 넘기는 일은 당시 유치원생에게 쉬운 일이 아니었다. 하지만, 아버지와 함께 웃고 즐기면서 탁구는 ‘놀이’에서 ‘운동’이 되어갔다. 동생을 이기기 위해 동생보다 빨리 움직여야 했고, 보다 정확해야 했으며, 오래 버틸 수 있어야 했다. 그렇게 동생과의 선의의 경쟁을 하면서 나의 체력은 저절로 좋아졌고, 순발력과 집중력도 좋아졌다.
중, 고등학교를 지나 대학교를 입학해서도 나는 여전히 탁구를 친다. 아버지에게 테니스, 축구, 농구 등 여러 가지 운동을 배웠지만, 탁구만큼 쉽고, 재미있는 운동은 없는 것 같다. 푸른색의 테이블이 좋고, 노랑이든, 하양이든 작고 귀여운 탁구공이 좋았다. 그렇게 탁구를 좋아서 치다가, 탁구 선수의 탁구 시합을 보게 되었다. 최상급의 탁구 실력을 가진 선수들의 시합을 보고나니 할 말이 없었다. 기본기조차 엉망인 나의 탁구실력을 보면서 탁구를 좀더 전문적으로 배워보고 싶었다. 전문적으로 배우기만 한다면, 형편없는 탁구 실력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았다. 그러던 중, 동생을 통해 우리학교에 교양체육으로 ‘탁구’수업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동생이 지난학기에 수강을 해서인지 몰라도 탁구수업을 나에게 강력히 추천했다. 나보다 더 잘 치는 동생의 말에 귀가 솔깃해 졌다. 탁구수업을 들으면 동생을 꺾을 수도 있을 것 같았다. 무엇보다, 탁구를 기본기부터 차근차근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러한 사실들이 나를 설레게 했고, 가슴 부풀게 했다.
탁구수업이 시작되었다. 나는 ‘처음부터’라는 마음가짐으로 다시 시작할 것이다. 어려서부터 나에게 ‘오락’으로서, ‘스포츠’로서, 경쟁을 통한 ‘정신수양’으로서 여러 가지로 도움을 준 탁구를 더 열심히 해야겠다. \'심심풀이‘로 하는 스포츠가 아닌 ’평생스포츠‘로서 말이다. 새로 지어진 ‘연세 스포츠 센터’에서 탁구수업을 듣게 되어 너무 기분이 좋다. 그야말로 ‘탁구 할 맛’이 난다. 넓은 코트에서 새 탁구채로, 새 탁구대에서, 새 공으로 탁구를 치니 내 마음도 다 ‘새것’이 된 것 같다. 늘 기분 좋은 마음으로 좋아하는 탁구를 치게 되어 너무나 기쁘다. 앞으로 탁구 실력이 더 늘 수 있도록 더 노력할 것이다. 실력이라는 것은 항상 노력하는 자에게 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론 1 - 탁구 상식≫
▶탁구의 기원.
탁구는 그 역사나 기원이 정확하지 않은데 중세 이탈리아의 루식 필라리스(Rusic Pilaris)라는 유희에서 변한 것이라 하기도 하고 15-16세기경 프랑스 궁전에서 행해진 라파움(Lapaum)이란 놀이가 변하여 탁구가 되었다고도 한다, 그 명칭도 일정하지 않아서 고시마, 프림프림, 와프와프등 여러 가지로 불리어 졌다. 그러나 남아프리카, 인도 등 영국 식민지에서 살던 영국인들이 테니스에서 힌트를 얻어 더위를 피하여 실내에서 놀 수 있는 유희로서 방바닥에 네트를 치고 실내에서 하는 경기로 만들었다는 것이 통설이다. 지금의 셀룰로이드 공은 1898년 영국의 제임스 깁(James gibb)이 고안하여 사용된 후부터이며 이 공을 칠 때 핑퐁하는 소리가 난다고 하여 핑퐁(Ping-pong)이라고 하였으며 가죽을 펴서 붙인 라켓을 사용하도록 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탁구의 발생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후 명칭이 테이블 테니스(Table Tennis)라고 고쳐지고 전 유럽에 보급되면서 1902년 처음으로 영국에 탁구협회가 생기고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탁구가 국제경기로 발전한 것은 1926년에 독일의 크레만 박사(Dr. Craman)가 제창하여 베를린에서 독일, 영국, 오스트리아, 체코, 스웨덴 등의 각국대표들이 모여 국제 탁구연맹(International Table-Tennis Federation)이 발족한 때부터이다. 1927년 1월 영국 런던에서 제 1회 유럽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어 7개국 선수들이 참가하였고 이것이 후에 세계 선수권대회로 승인을 받았으나 1930년 미국이 참가할 때까지는 실질적으로 유럽선수권대회였다. 세계의 탁구를 대별하면 둘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영국, 미국,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이태리 등의 서구식 탁구이고 또 하나는 한국, 일본, 중공을 중심으로 한 동양식 탁구이다. 전자는 셰이크 핸드 그립(Shake Hand Grip)을 하여 수비위주의 경기를 하며 후자는 팬 홀더 그립(Pen Holder Grip)을 하여 공격위주의 경기를 한다. 현재는 대체적으로 후자의 동양식 탁구가 세계를 제패하고 있다.
▶탁구의 시설 및 용구
(1) 경기장
- 최소 14m×7m의 경기장
- 천장 높이 4m이상
- 경기장 조도 400럭스
(2) 탁구대
- 76㎝ 높이의 수평면
- 2㎝ 너비의 사이드라인과 엔드라인
- 0.3㎝ 너비의 센터라인
(3) 지주와 네트
- 15.25㎝의 높이, 윗 부분은 1.5㎝ 흰 천
- 지주봉 간의 거리는 183㎝
- 2.2㎝의 직경, 사이드 라인에서 직각으로 15.25㎝ 돌출 설치
(4) 탁구공의 재원
구기 중에서 가장 작다 : 지름 3.72~3.82㎝
가장 가볍다 : 2.4~2.5g
가장 회전이 많다 : 100회/1초
가장 빠르다 : 상대코트 도달 시간 0.2초
천연 수지인 셀룰로이드로 만든다.
공을 돌려보았을 때 회전이 일정한 구체이어야 한다.
공의 색깔은 흰색과 오렌지색이 있다.
※ 공의 운동 성질과 과학적 특성
● 바운드
- 공의 특성 중 가장 중요한 성질로 공이 튀기는 정도.
- 30.5㎝ 높이에서 떨어뜨려 23.5~25.5㎝범위로 튀어야 한다.
● 마찰력
두 표면의 접촉면상에서 운동을 방해하는 힘.
● 회전
상대가 친 공이 자기 코트에 들어와서 바운드 후 일어나는 변화와, 라켓에 그
공이 닿았을 때 반사각의 변화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한 기초 지식이다.
- 전진 회전
라켓을 밑에서 위로 움직여 공의 뒷면을 마찰시켜 올려칠 때 공에서 생기는 회전(드라이브)
전진 회전의 반사 각도와 라켓 각도
- 후진 회전
ㄱ. 라켓을 위에서 밑으로 움직여서 공의 밑 부분을 잘라 치듯 타구하면 생기는 회전 (컷트,

키워드

탁구,   기술,   자세,   경기방식,   효과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02.28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69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