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정의
Ⅱ. 빈도
Ⅲ. 병리 ․ 원인
Ⅳ. 증상
Ⅴ. 진단
Ⅵ. 치료
Ⅶ. 자궁내막증의 재발
Ⅷ. 간호중재
Ⅱ. 빈도
Ⅲ. 병리 ․ 원인
Ⅳ. 증상
Ⅴ. 진단
Ⅵ. 치료
Ⅶ. 자궁내막증의 재발
Ⅷ. 간호중재
본문내용
난소에 생겨 혹을 만든 것.
이 계속 자라면 유합하여 맹낭을 완전히 채우게 되며 난관과 난소는 광인대 의 후면에 유착됨 -> 더 진전된 경우에는 S-결장이 자궁의 후표면에 유착됨 -> 더욱 진전 되면 부족 구조들이 움직일 수 없게 되어 골반은 하나의 유착된 덩어리로 채워짐
④ 유착된 병변은 조밀하고 단단하여 예리한 절개에 의해서만 분리가 가능한데, 절개해보면 진한 갈색액인 오래된 혈액이 빠져나옴
⑤ 난소에 침범된 경우는 적혈색으로 안쪽을 둘러싸고 있는 낭종이 있음
⑥ 낭종의 직경은 대개 1cm 정도로 작은데 포도알 보다 큰 경우는 거의 없음.
⑦ 난관은 한 쪽 또는 양쪽 자궁천골인대 안에 암청색의 약간 주름지고 수많은 출혈부위가 있는 복막 유착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일반적으로 정상. 난관채 끝은 뚫려있음
⑧ 이러한 양상들은 대동소이하게 자궁내막증이 발생한 부위에서 볼 수 있음
2. 원인
- 자궁내막증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이 질환이 처음 소개된 1860년 이후 몇 개의 이론이 제시되고 있음
(1) 월경의 역류나 난관으로의 이동 이론
- 자궁내막증을 설명하는데 가장 흔한 이론이다. 이것은 월경 동안에 자궁내막 조직이 자 궁으로부터 역류되거나 기계적으로 이동되어 난관과 복강으로 옮겨진다는 이론. 난소와 다른 기관의 자궁내막증은 월경역류로 오는 결과임
(2) Coelom Coelom: 난소, 복막, 늑막에서 유래되는 근본 물질로 자궁내막증이 폐나 림프관, 혈관에 발생되는 지를 설명해 줌.
대사이론
- 이는 자궁내막 조직이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장소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는 이론으로 각 기관들이 자궁내막증으로 발전될 수 있는 선천적 물질을 갖는다는 것임
(3) 림프관 확산기전 이론
- 자궁내막 조직이 림프관을 따라 난소, 복막, 장, 방광 및 인접기관에 옮겨간다는 학설
(4) 수술 착상 이론
- 자궁내막 조직이 골반 수술 동안에 상처조직을 통해 착상된다는 학설
(예: 제왕절개에 의한 분만)
(5) 혈액발생 기원 이론
- 자궁내막증이 순환계를 통해 자궁 밖으로 옮겨진다는 학설
- 자궁내막 조직발생적 근원 이 외의 직접적인 병인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최근에 는 유전적 요인, 면역학적 인자 및 내분비학적 호르몬 인자가 직접적인 병인으로서 중요 한 의미를 갖음
<유전적 요인>
- 어머니나 자매에게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의 경우 자궁내막증의 발생빈도가 7배나 증가 하며, 환자의 어머니나 자매의 자궁내막 발생의 상대적 위험도는 7.2배임
- 환자가 일란성 쌍태아인 경우는 75%가 이환되었으며 자궁내막증과 전신성 혼반성 낭창 같은 자가면역성 질환과의 상관관계 있음
<면역학적 요인>
- 면역학적 감시기능은 여성마다 차이가 있는데 만약 면역기능의 결핍 또는 이상이 있을 때는 골반 내로 역류된 자궁내막 세포의 제거 능력이 감소되어 상대적으로 자궁내막증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는 견해임
- 또한 복막 대식세포의 활성도 정도가 증가되어 있으면 정자의 운동성 감소나 정자에 대 한 대식작용의 증가 및 수정 과정이 방해받아 임신능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α-TNF(tumor necrosis factor)와 같은 cytokine 분비의 증가가 관여하거나 자궁내막이 골반복막에 착상되는 것을 도와줄 가능성이 있다는 것임
- 병태생리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자궁내막증은 일종의 자가면역질환으로 볼 수 있다는 점 에서 면역학적 인자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내분비학적 호르몬 요인>
- 내분비학적 호르몬 인자는 자궁내막증의 병인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몇 가지 임상적 관찰 결과에 의해 지지를 받고 있음
자궁내막증이 초경 전과 폐경 후에는 거의 발생하지
이 계속 자라면 유합하여 맹낭을 완전히 채우게 되며 난관과 난소는 광인대 의 후면에 유착됨 -> 더 진전된 경우에는 S-결장이 자궁의 후표면에 유착됨 -> 더욱 진전 되면 부족 구조들이 움직일 수 없게 되어 골반은 하나의 유착된 덩어리로 채워짐
④ 유착된 병변은 조밀하고 단단하여 예리한 절개에 의해서만 분리가 가능한데, 절개해보면 진한 갈색액인 오래된 혈액이 빠져나옴
⑤ 난소에 침범된 경우는 적혈색으로 안쪽을 둘러싸고 있는 낭종이 있음
⑥ 낭종의 직경은 대개 1cm 정도로 작은데 포도알 보다 큰 경우는 거의 없음.
⑦ 난관은 한 쪽 또는 양쪽 자궁천골인대 안에 암청색의 약간 주름지고 수많은 출혈부위가 있는 복막 유착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일반적으로 정상. 난관채 끝은 뚫려있음
⑧ 이러한 양상들은 대동소이하게 자궁내막증이 발생한 부위에서 볼 수 있음
2. 원인
- 자궁내막증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이 질환이 처음 소개된 1860년 이후 몇 개의 이론이 제시되고 있음
(1) 월경의 역류나 난관으로의 이동 이론
- 자궁내막증을 설명하는데 가장 흔한 이론이다. 이것은 월경 동안에 자궁내막 조직이 자 궁으로부터 역류되거나 기계적으로 이동되어 난관과 복강으로 옮겨진다는 이론. 난소와 다른 기관의 자궁내막증은 월경역류로 오는 결과임
(2) Coelom Coelom: 난소, 복막, 늑막에서 유래되는 근본 물질로 자궁내막증이 폐나 림프관, 혈관에 발생되는 지를 설명해 줌.
대사이론
- 이는 자궁내막 조직이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장소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는 이론으로 각 기관들이 자궁내막증으로 발전될 수 있는 선천적 물질을 갖는다는 것임
(3) 림프관 확산기전 이론
- 자궁내막 조직이 림프관을 따라 난소, 복막, 장, 방광 및 인접기관에 옮겨간다는 학설
(4) 수술 착상 이론
- 자궁내막 조직이 골반 수술 동안에 상처조직을 통해 착상된다는 학설
(예: 제왕절개에 의한 분만)
(5) 혈액발생 기원 이론
- 자궁내막증이 순환계를 통해 자궁 밖으로 옮겨진다는 학설
- 자궁내막 조직발생적 근원 이 외의 직접적인 병인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최근에 는 유전적 요인, 면역학적 인자 및 내분비학적 호르몬 인자가 직접적인 병인으로서 중요 한 의미를 갖음
<유전적 요인>
- 어머니나 자매에게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의 경우 자궁내막증의 발생빈도가 7배나 증가 하며, 환자의 어머니나 자매의 자궁내막 발생의 상대적 위험도는 7.2배임
- 환자가 일란성 쌍태아인 경우는 75%가 이환되었으며 자궁내막증과 전신성 혼반성 낭창 같은 자가면역성 질환과의 상관관계 있음
<면역학적 요인>
- 면역학적 감시기능은 여성마다 차이가 있는데 만약 면역기능의 결핍 또는 이상이 있을 때는 골반 내로 역류된 자궁내막 세포의 제거 능력이 감소되어 상대적으로 자궁내막증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는 견해임
- 또한 복막 대식세포의 활성도 정도가 증가되어 있으면 정자의 운동성 감소나 정자에 대 한 대식작용의 증가 및 수정 과정이 방해받아 임신능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α-TNF(tumor necrosis factor)와 같은 cytokine 분비의 증가가 관여하거나 자궁내막이 골반복막에 착상되는 것을 도와줄 가능성이 있다는 것임
- 병태생리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자궁내막증은 일종의 자가면역질환으로 볼 수 있다는 점 에서 면역학적 인자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내분비학적 호르몬 요인>
- 내분비학적 호르몬 인자는 자궁내막증의 병인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몇 가지 임상적 관찰 결과에 의해 지지를 받고 있음
자궁내막증이 초경 전과 폐경 후에는 거의 발생하지
추천자료
[논문] 산욕기 산모간호
[학습지도안/수업지도안] 언어와 문화
제왕절개(C/S)사례보고서- 모성간호학실습
임신에따른생리적변화- 모성간호학
산후출혈(Postbirth Hemorrhage)
진단명과 수술명
Benign Disease of the Female Reproductive Tract: Symptoms and Signs
산부인과 의학용어정리
임신시 임부의 생리적인 변화
제왕절개(Cesarean Delivery)환자의 수술 전. 후간호
성의 신비
의학용어(간호실무용어) - 생식기계
복강경 난소 절제술 (Laparoscopic ovarian cystectomy) 케이스 스터디
여성생식기, 여성생식기구조, 월경주기,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수정과임신, 분만, 유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