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신경계
1. 중추신경계
1) 대뇌
2) 소뇌
3) 뇌간
4) 간뇌
5) 변연계
6) 망상계
7) 척수
2. 의식의 5단계
1. 중추신경계
1) 대뇌
2) 소뇌
3) 뇌간
4) 간뇌
5) 변연계
6) 망상계
7) 척수
2. 의식의 5단계
본문내용
정보를 선별하고 해석하기 위해 뇌의 적절한 부분에 연결
- 망상계 활동은 의식이 깨어나는 활동을 자극 활동이 줄어들 때 수면상태로 들어감
7) 척수
- 척수는 뇌간과 연결되며 대후두공에서 시작되어 척추관을 통해 2번 요추까지
- 척수의 횡단면 : 회백질 섬유, 백질섬유
① 회백질 : H자 모양으로 앞끝을 전각, 뒤끝을 후각이라고 함
전근과 후근의 신경섬유들이 연결되며, 후각은 감각충동 정보를 구심성으로 전 달하고, 전각은 운동성(원심성) 정보를 전달
② 척수백질(감각과 운동신경들의 유수축삭들)을 구성하는 신경섬유, 즉 전도로의 상행로와 하행로 포함
- 상행로 : 감각신령로로 다양한 감각들을 전달
③ 추체계, 추체외계
- 추체계 : 한 개의 근육 및 소수의 근육을 수축시키기 → 정밀한 운동에 관계
- 추제외계 : 여러 가지 근육을 수축 → 큰운동 주관
2. 의식의 5단계
① 명료함(Alert) : 완전히 의식이 깨어 있는 정상적 상태. 대상자는 검진자의 자극에 대해 눈을 뜨고 반응하고 이해한다.
② 기면상태(Lethargy) : 운동력이 떨어지고 주위 자극에 대해 덜 예민하다.
③ 혼미(Stupor, confusion) : 정신적 육체적 활동이 극히 제한된 상태로 통증이나 강한 자극에는 반응을 보이다가 곧 위축되며 다시 무반응의 상태 로 돌아간다.
④ 반혼수(Semicoma) : 통증을 주었을 때만 근 반응이 나타나는 상태
⑤ 혼수(Coma) : 완전히 의식을 상실한 상태, 수의 운동은 전혀 없고 기본적인 반사만이 남아 있으며 때로는 반사도 없으며 실금하거나 근 신전반사가 항진되어 바빈스키 반사도 보인다.
- 망상계 활동은 의식이 깨어나는 활동을 자극 활동이 줄어들 때 수면상태로 들어감
7) 척수
- 척수는 뇌간과 연결되며 대후두공에서 시작되어 척추관을 통해 2번 요추까지
- 척수의 횡단면 : 회백질 섬유, 백질섬유
① 회백질 : H자 모양으로 앞끝을 전각, 뒤끝을 후각이라고 함
전근과 후근의 신경섬유들이 연결되며, 후각은 감각충동 정보를 구심성으로 전 달하고, 전각은 운동성(원심성) 정보를 전달
② 척수백질(감각과 운동신경들의 유수축삭들)을 구성하는 신경섬유, 즉 전도로의 상행로와 하행로 포함
- 상행로 : 감각신령로로 다양한 감각들을 전달
③ 추체계, 추체외계
- 추체계 : 한 개의 근육 및 소수의 근육을 수축시키기 → 정밀한 운동에 관계
- 추제외계 : 여러 가지 근육을 수축 → 큰운동 주관
2. 의식의 5단계
① 명료함(Alert) : 완전히 의식이 깨어 있는 정상적 상태. 대상자는 검진자의 자극에 대해 눈을 뜨고 반응하고 이해한다.
② 기면상태(Lethargy) : 운동력이 떨어지고 주위 자극에 대해 덜 예민하다.
③ 혼미(Stupor, confusion) : 정신적 육체적 활동이 극히 제한된 상태로 통증이나 강한 자극에는 반응을 보이다가 곧 위축되며 다시 무반응의 상태 로 돌아간다.
④ 반혼수(Semicoma) : 통증을 주었을 때만 근 반응이 나타나는 상태
⑤ 혼수(Coma) : 완전히 의식을 상실한 상태, 수의 운동은 전혀 없고 기본적인 반사만이 남아 있으며 때로는 반사도 없으며 실금하거나 근 신전반사가 항진되어 바빈스키 반사도 보인다.
추천자료
- 자발성 뇌내출혈, 고혈압성 뇌출혈
- 근육의 구조와 기능
- 뇌종양 레포트
- 성인신경계사전학습내용
- 신경계(Nervous System)
- [성인간호학]신경계 장애 대상자 간호
- 2013년 1학기 인체생리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 성인간호학 Ⅵ. 신경계 종양과 간호
- 뇌의 구조와 기능, 신경전달물질, 뇌검사
- [성인간호학][안면경련][facial spasm]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 뇌출혈 ICH(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2015년 1학기 인체생리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ER cas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