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센텀시티
1. 부산 해운대로 들어가는 길목, 옛 수영비행장 터.
2. 쇼핑센터는 서울 코엑스몰 면적의 2배
3. IT·한국 영상 메카로
Ⅱ. 엔터테인먼트 쇼핑몰
1. 새로운 신흥업태로의 성장이 기대
2.단순 놀이공원에서 경험을 제공하는 생활공간으로의 진화 예상
3. 격변기를 맞이한 국내 유통
1)유통산업의 지각변동이 시작
2)현재 3차 유통혁명이 진행중
4. 신유통의 5대 유망분야
Ⅲ. 주5일 근무가 미치는 영향
1.엔터테인먼트 산업
1) 7대 트랜드
2) 주5일 근무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미치는 영향
2. 유통 ․ 외식업
1) 주 5일 근무와 유통 ․ 외식업의 변화
Ⅳ. 국내외 엔터테인먼트형 쇼핑몰
1.Mall of America (美, 미네소타)
2.Horton Plaza (美, 샌디에고)
3. Canal city Hakata(日, 후쿠오카)
4. Venus Fort(日, 동경)
5. 코엑스몰 (서울 삼성동)
6. 센트럴 시티(서울 반포)
Ⅴ. 성공요인
1. 퓨전업 업태 포지셔닝
2. 통일된 테마
3. 대형화 및 소매집적
Ⅵ. 사업의 추진방향
1.지역개발과 연계
2.통일된 테마제공
3.요일 마케팅 도입
4.신소비자층을 겨냥한 타깃마케팅 추진
5.복합 엔터테인먼트 사업강화
6.완전한 하나의 도시화
참고문헌
1. 부산 해운대로 들어가는 길목, 옛 수영비행장 터.
2. 쇼핑센터는 서울 코엑스몰 면적의 2배
3. IT·한국 영상 메카로
Ⅱ. 엔터테인먼트 쇼핑몰
1. 새로운 신흥업태로의 성장이 기대
2.단순 놀이공원에서 경험을 제공하는 생활공간으로의 진화 예상
3. 격변기를 맞이한 국내 유통
1)유통산업의 지각변동이 시작
2)현재 3차 유통혁명이 진행중
4. 신유통의 5대 유망분야
Ⅲ. 주5일 근무가 미치는 영향
1.엔터테인먼트 산업
1) 7대 트랜드
2) 주5일 근무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미치는 영향
2. 유통 ․ 외식업
1) 주 5일 근무와 유통 ․ 외식업의 변화
Ⅳ. 국내외 엔터테인먼트형 쇼핑몰
1.Mall of America (美, 미네소타)
2.Horton Plaza (美, 샌디에고)
3. Canal city Hakata(日, 후쿠오카)
4. Venus Fort(日, 동경)
5. 코엑스몰 (서울 삼성동)
6. 센트럴 시티(서울 반포)
Ⅴ. 성공요인
1. 퓨전업 업태 포지셔닝
2. 통일된 테마
3. 대형화 및 소매집적
Ⅵ. 사업의 추진방향
1.지역개발과 연계
2.통일된 테마제공
3.요일 마케팅 도입
4.신소비자층을 겨냥한 타깃마케팅 추진
5.복합 엔터테인먼트 사업강화
6.완전한 하나의 도시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산업의 변혁을 주도하고 있음
-대기업들이 유망 분야인 신유통업태에 진출하고 있고 선직국의 대형 소매업체들도 국내시장에 대한 공략을 강화
유통시장의 경쟁 격화, 매장 대형화, 물류정보화기법 고도화 등이 가속
-소매시장에서 재래시장을 제외한 기업형 유통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
기업형 유통은 할인점, 무점포판매 등의 고성장에 힘입어 1998년 25%에서 2003년 40%로 비중이 높아질 전망
신업태 등장에 대응하여 기존 업체들은 업태 변경(리포지셔닝), 고급화등을 통해 생존을 모색
-동대문시장등 재래시장은 초현대식 쇼핑센터를 지향
재래시장의 특징인 저가의 다양한 상품구색을 살리면서 백화점 수준의 시설을 구비하여 신세대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
-기존 할인점들은 백화점 수준의 시설을 갖추어 양질의 원스톱 쇼핑을 추구(discount department store)
백화점의 전문화와 고급화
최근 대형 백화점들은 경쟁업태인 할인점과의 차별화를 위해 고급 수입명품 입점에 치중하면서 중산층 고객들을 타깃으로 한 DM(Direct Mail)을 발송하는 등 고객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음. 백화점은 앞으로 상품구성과 매출에서 패션잡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늘고 일부는 고급 의류전문매장으로 전환할 전망임.
특히 유통시장 개방 이후 외국 대형 유통업체들이 국내에 본격 진출함에 따라 유통업계의 구조조정 및 M&A를 통한 통합화대형화가 가속
-자본력과 노하우에서 앞서 잇는 외자계 기업들은 국내 유통업체 인수, 단계적 매장수 증대, 토착화 등을 통해 시장에 침투
-국내 대형 유통업체들도 인수, 매장 혁신 등으로 맞대응
최근 유통업 인수 현황
업태
업체
내역
시기
할인점
월마트
킴스클럽 화정점 350억원에 매수
2000년 12월
까르푸
한화마트 부평점 인수 협상 결렬
2000년 하반기
E-Mart
뉴코아 응암점 240억원에 인수
2001년 1월
롯데 마그넷
해태 백화점 인수 검토 후 중단
2000년 하반기
백화점
롯데 백화점
부산 세원백화점 인수
2000년 8월
편의점
세븐일레븐
로손 인수
1999년 12월
2)현재 3차 유통혁명이 진행중
유통업은 크게 3차례 혁명기를 거치면서 진화, 발전하였으며 세계와 한국의 격차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
-국내 유통의 1,2차 혁명은 선진국 보다 50년 이상 늦게 시작 되었으나 이번의 3차 혁명은 시차가 10년 이내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유통 분야도 글로벌화가 확산된 데 기인
국내외 유통혁명이 시작된 시기
세계
한국
격차
1차 혁명
(백화점 주도)
1838년
(봉마르쉐, 파리)
1929년
(화신 백화점)
91년
2차혁명
(할인점 주도)
1948년
(코르벳, 뉴욕)
1993년
(E-Mart)
45년
3차 혁명
(온라인+엔터테인먼트)
1994년
(미국 인터넷 쇼핑몰)
1992년
(Mall of America)
1997년
(한국 인터넷 쇼핑몰)
20000년
(코엑스몰)
3~8년
가. 1차 혁명
세계최초의 백화점은 1838년 파리에 개점한 봉마르쉐
-저마진 대량판매 방식으로 업태 정착에 성공
Bon Marche\' 는 불어로 값싸다는 의미
-미국에서는 1880년대 고급스러운 시설과 분위기에 초점을 둔 A.T.Stewart와 Lord &Taylor 가 출현
-백화점이 상품을 표시된 가격으로 파는 정찰제를 처음 도입
한국은 1929년에 문을 연 화신백화점이 백화점의 시초
-소득증대, 산업화, 인구의 도시유입 등이 초기 백화점 출현의 배경
-60년대 이후 신세계(1963), 현대(1976), 롯데(1979)등이 진출
90년대 중반이후 신업태 등장에 따른 경쟁구도 변화와 경기침체,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백화점의 성장세가 크게 둔화
-99년 이후 소비심리 회복과 업계의 전문화, 고급화 전략으로 성장률이 다시 회복되었으며 과점화, 수도권과 지방간 격차가 심화
나. 2차 혁명
선진국의 할인점들이 장기간에 걸쳐 성장한 반면 국내는 단기에 폭발적으로 성장
-미국의 할인점은 1948년 등장 1960년대 성장기를 거쳐 80년대 성숙기에 돌입
60년대 후반부터는 의류, 내구 소비재 위주에서 식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구색을 갖춘 종합할인점으로 변모
90년대 초에 자국시장 성숙을 타개하기 위해 해외시장 개척을 시작
-1993년 국내 시장에 선을 보인 할인업체는 1995년에서 2000년 사이에 매출이 15배 이상 성장
국내 유통시장은 ‘백화점 중심’에서 90년대 후반 ‘백화점 대 할인점간 경쟁’으로 전환
-IMF 이후 소비자들의 합리적 구매행태 확산, 유통시장 개방에 따른 외자계 대형 할인점의 진출로 할인점 업태가 전국적으로 확산
-백화점과 재래시장 등의 점유율이 계속 감소
2003년이 되면 할인점 매출이 백화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
다. 3차혁명
90년대 중반 이후 인터넷 쇼핑몰 등 새로운 업태가 태풍의 눈으로 등장
-뉴미디어의 확산, 소비자의 저가격 및 펴의성 추구,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등이 홈쇼핑 등 신업태가 성장한 요인
- T-커머스, M-커머스의 등장으로 유통채널간 경쟁이 본격화
T-커머스는 TV 등 뉴미디어를 활용한 쇼핑을 의미하는데, 스마트 TV 보급이 본격화디면 핵심 유통채널로 자리잡을 전망(TV드라마를 시청하다가 좋은 상품이 있으면 리모컨으로 주문)
M-커머스는 이동 중에 상품주문, 대금결제 등을 가능하게 함
유통에 엔터테인먼트 개념이 부가된 엔터테인먼트 쇼핑몰, 체험 전문점 등이 각광을 받고 있음
-숙박, 쇼핑, 오락이 결합된 엔터테인먼트 쇼핑몰은 단순한 쇼핑 차원을 넘어서 여가 및 문화생활까지 변화시킴
-브랜드력과 체험마케팅에 기반을 둔 체험 전문점이 고성장
체험마케팅 : 주로 시각에 의존했던 전통적 방식에서 탈피하여 4가지 감가(미각, 촉각, 후각, 청각) 및 잠재의식에도 영향을 주어 구매의욕을 자극하는 마케팅 방법
4. 신유통의 5대 유망분야
감성과 온라인이 주도하는 신유통혁명
기본컨셉
주요사례
엔터테인먼트쇼핑몰
전통적인 소매기능과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동일공간에서 실현
체험과 재미로 집객력을 극대화하는 미래형 업태
코엑스몰
Mall of America
체험전문점
소비자는 직접적인 체험을 선호하고 브랜드를 보다 중시
감성적인 소비성향 강화
스타벅스
바디
-대기업들이 유망 분야인 신유통업태에 진출하고 있고 선직국의 대형 소매업체들도 국내시장에 대한 공략을 강화
유통시장의 경쟁 격화, 매장 대형화, 물류정보화기법 고도화 등이 가속
-소매시장에서 재래시장을 제외한 기업형 유통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
기업형 유통은 할인점, 무점포판매 등의 고성장에 힘입어 1998년 25%에서 2003년 40%로 비중이 높아질 전망
신업태 등장에 대응하여 기존 업체들은 업태 변경(리포지셔닝), 고급화등을 통해 생존을 모색
-동대문시장등 재래시장은 초현대식 쇼핑센터를 지향
재래시장의 특징인 저가의 다양한 상품구색을 살리면서 백화점 수준의 시설을 구비하여 신세대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
-기존 할인점들은 백화점 수준의 시설을 갖추어 양질의 원스톱 쇼핑을 추구(discount department store)
백화점의 전문화와 고급화
최근 대형 백화점들은 경쟁업태인 할인점과의 차별화를 위해 고급 수입명품 입점에 치중하면서 중산층 고객들을 타깃으로 한 DM(Direct Mail)을 발송하는 등 고객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음. 백화점은 앞으로 상품구성과 매출에서 패션잡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늘고 일부는 고급 의류전문매장으로 전환할 전망임.
특히 유통시장 개방 이후 외국 대형 유통업체들이 국내에 본격 진출함에 따라 유통업계의 구조조정 및 M&A를 통한 통합화대형화가 가속
-자본력과 노하우에서 앞서 잇는 외자계 기업들은 국내 유통업체 인수, 단계적 매장수 증대, 토착화 등을 통해 시장에 침투
-국내 대형 유통업체들도 인수, 매장 혁신 등으로 맞대응
최근 유통업 인수 현황
업태
업체
내역
시기
할인점
월마트
킴스클럽 화정점 350억원에 매수
2000년 12월
까르푸
한화마트 부평점 인수 협상 결렬
2000년 하반기
E-Mart
뉴코아 응암점 240억원에 인수
2001년 1월
롯데 마그넷
해태 백화점 인수 검토 후 중단
2000년 하반기
백화점
롯데 백화점
부산 세원백화점 인수
2000년 8월
편의점
세븐일레븐
로손 인수
1999년 12월
2)현재 3차 유통혁명이 진행중
유통업은 크게 3차례 혁명기를 거치면서 진화, 발전하였으며 세계와 한국의 격차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
-국내 유통의 1,2차 혁명은 선진국 보다 50년 이상 늦게 시작 되었으나 이번의 3차 혁명은 시차가 10년 이내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유통 분야도 글로벌화가 확산된 데 기인
국내외 유통혁명이 시작된 시기
세계
한국
격차
1차 혁명
(백화점 주도)
1838년
(봉마르쉐, 파리)
1929년
(화신 백화점)
91년
2차혁명
(할인점 주도)
1948년
(코르벳, 뉴욕)
1993년
(E-Mart)
45년
3차 혁명
(온라인+엔터테인먼트)
1994년
(미국 인터넷 쇼핑몰)
1992년
(Mall of America)
1997년
(한국 인터넷 쇼핑몰)
20000년
(코엑스몰)
3~8년
가. 1차 혁명
세계최초의 백화점은 1838년 파리에 개점한 봉마르쉐
-저마진 대량판매 방식으로 업태 정착에 성공
Bon Marche\' 는 불어로 값싸다는 의미
-미국에서는 1880년대 고급스러운 시설과 분위기에 초점을 둔 A.T.Stewart와 Lord &Taylor 가 출현
-백화점이 상품을 표시된 가격으로 파는 정찰제를 처음 도입
한국은 1929년에 문을 연 화신백화점이 백화점의 시초
-소득증대, 산업화, 인구의 도시유입 등이 초기 백화점 출현의 배경
-60년대 이후 신세계(1963), 현대(1976), 롯데(1979)등이 진출
90년대 중반이후 신업태 등장에 따른 경쟁구도 변화와 경기침체,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백화점의 성장세가 크게 둔화
-99년 이후 소비심리 회복과 업계의 전문화, 고급화 전략으로 성장률이 다시 회복되었으며 과점화, 수도권과 지방간 격차가 심화
나. 2차 혁명
선진국의 할인점들이 장기간에 걸쳐 성장한 반면 국내는 단기에 폭발적으로 성장
-미국의 할인점은 1948년 등장 1960년대 성장기를 거쳐 80년대 성숙기에 돌입
60년대 후반부터는 의류, 내구 소비재 위주에서 식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구색을 갖춘 종합할인점으로 변모
90년대 초에 자국시장 성숙을 타개하기 위해 해외시장 개척을 시작
-1993년 국내 시장에 선을 보인 할인업체는 1995년에서 2000년 사이에 매출이 15배 이상 성장
국내 유통시장은 ‘백화점 중심’에서 90년대 후반 ‘백화점 대 할인점간 경쟁’으로 전환
-IMF 이후 소비자들의 합리적 구매행태 확산, 유통시장 개방에 따른 외자계 대형 할인점의 진출로 할인점 업태가 전국적으로 확산
-백화점과 재래시장 등의 점유율이 계속 감소
2003년이 되면 할인점 매출이 백화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
다. 3차혁명
90년대 중반 이후 인터넷 쇼핑몰 등 새로운 업태가 태풍의 눈으로 등장
-뉴미디어의 확산, 소비자의 저가격 및 펴의성 추구,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등이 홈쇼핑 등 신업태가 성장한 요인
- T-커머스, M-커머스의 등장으로 유통채널간 경쟁이 본격화
T-커머스는 TV 등 뉴미디어를 활용한 쇼핑을 의미하는데, 스마트 TV 보급이 본격화디면 핵심 유통채널로 자리잡을 전망(TV드라마를 시청하다가 좋은 상품이 있으면 리모컨으로 주문)
M-커머스는 이동 중에 상품주문, 대금결제 등을 가능하게 함
유통에 엔터테인먼트 개념이 부가된 엔터테인먼트 쇼핑몰, 체험 전문점 등이 각광을 받고 있음
-숙박, 쇼핑, 오락이 결합된 엔터테인먼트 쇼핑몰은 단순한 쇼핑 차원을 넘어서 여가 및 문화생활까지 변화시킴
-브랜드력과 체험마케팅에 기반을 둔 체험 전문점이 고성장
체험마케팅 : 주로 시각에 의존했던 전통적 방식에서 탈피하여 4가지 감가(미각, 촉각, 후각, 청각) 및 잠재의식에도 영향을 주어 구매의욕을 자극하는 마케팅 방법
4. 신유통의 5대 유망분야
감성과 온라인이 주도하는 신유통혁명
기본컨셉
주요사례
엔터테인먼트쇼핑몰
전통적인 소매기능과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동일공간에서 실현
체험과 재미로 집객력을 극대화하는 미래형 업태
코엑스몰
Mall of America
체험전문점
소비자는 직접적인 체험을 선호하고 브랜드를 보다 중시
감성적인 소비성향 강화
스타벅스
바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