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 애역 虛寒 초곡채부 과목 토석 습열 초과 목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초강목 애역 虛寒 초곡채부 과목 토석 습열 초과 목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애역

虛寒

초곡채부

과목

토석

습열

초과

목석

본문내용

逆,同乾薑等分,硏炒色變,煎服。)
오두는 음독해역에 건강과 같은 분량을 함께 갈아 볶아서 색이 변하면 달여 복용한다.
縮砂
축사
(同薑皮衝酒服。)
축사는 생강피와 함께 술로 충복한다.
麻黃
마황
(燒煙嗅之立止。)
마황은 태운 연기를 맡으면 곧 애역이 멎는다.
細辛
세신
(卒客逆,口不能言,同桂安口中。)
세신은 갑작스런 침입과 거스름으로 입으로 말하지 못함을 치료하니 계지와 함께면 입이 편안하다.
旋覆花
선복화
(心噫不息,同代石服。)
선복화는 심하가 답답하고 트림으로 숨쉬지 못하면 대자석과 함께 복용한다.
高良薑 醬 蘇子 荏子 紫 女 肉豆
고량강 구장 소자 임자 자완 여완 육두구
刀豆
(病後逆,連殼燒服。)
도두는 병난 뒤에 애역에 껍질을 남기고 태워 복용한다.
薑汁
생강즙
(久患咳噫,連至四五十聲,以汁和蜜煎服,三次立效。亦擦背。)
생강즙은 오래 이환된 기침과 트림으로 40~50번까지 소리남에 즙과 꿀을 달여 복용하면 3차례면 곧 나으니 또한 등을 문지른다.
蘭香葉
난향엽
(咳噫,以二兩同生薑四兩,入麵 四兩,椒、鹽作燒餠,熟食。)
난향엽은 기침과 트림에 80g과 생강 160g으로써 면 160g, 천초, 소금을 넣고 태워 떡을 만들어서 겉을 싸서 불에 구워 익혀 먹는다.
〔果木〕
과일나무
橘皮
귤피
(逆,二兩,去白煎服,或加丁香。)
귤피는 애역에 80g을 백질을 제거하고 달여 복용하거나 혹은 정향을 가미한다.

여지
(噫,七個燒末,湯下,立止。)
여지는 딸꾹질에 7개를 태워 가루내어 탕에 연하하면 곧 멎는다.
胡椒
후추
(傷寒咳逆,日夜不止,寒氣攻胃也,入麝煎酒服。)
후추는 상한병 해역이 낮과 밤에 그치지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3.10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83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