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에 관한 정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자상거래에 관한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자상거래의 정의
 
2. 전자상거래의 역사
 
3. 전자상거래의 유형
 
4. 전자상거래의 특징
 
5. 전자상거래의 현황
 
6. 전자상거래의 전망

본문내용

법무성 등 정부주도형의 전자상거래라고 할 수 있다. 우정성에서는 1995년 10월 사이버 비지니스 협의회(Cyber Business Association japan)를 설립하여 우정성 관련 단체인 멀티미디어 실험협의회 및 일본 전자메일협회 등과 제휴하여 전자상거래의 실용화를 위한 각종 연구를 하고 있으며, 대장성과 법무성의 연구그룹에서 전자상거래와 관련한 각종 연구를 진행중이다(Nishimura,1996). 통산성의 경우는 전자상거래 실증실험 프로젝트를 지원하기위해 1995년 추경예산에 100억엔을 계상하고 1996년 2월 설립된 전자상거래진흥협회(ECOM,Electronic Commerce Promotion Council of Japan)를 통하여 전자상거래 추진을 전개하고 있다. 제 1차년도 사업으로 1996년 4월부터 [EC 추진사업-기업s 소비자간의 EC 실증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는데, 이 19개(시범사업 14개, 연구개발 5개)의 프로젝트에는 350개 이상의 기업과 50만이 넘는 소비자가 참여할 예정이어서 세계 최대 규모의 실험이 될 예정이다. 전자상거래 추진사업은 전자상거래 구현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과 요소기술을 이용한 실험 프로젝트로 나눌 수 있으며, 전자상거래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로 보안기술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기술 개발에 대규모의 예산을 할당하였다.
일본의 가상점포는 1994년 10월에 Cyber Publishing Japan 컨소시엄이 생긴 이래 Electronic Commerce Network, Cyber Business Park, Smart Collar Club 등 여러 컨소시엄등의 설립이 활발해졌으며, 가상점포의 수가 593개로 증가하였고,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될 전망이다. 또한 1995년 11월에 CommerceNet Japan을 설립하여 미국과 공동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국제적인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6. 전자상거래의 전망
전문가들은 앞으로의 세계경제를 글로벌화, 디지털화, 지식산업화 로 요약하고 있다. 전세계적인 초고속인터넷의 보급과 더불어 전자상거래가 국가경제를 주도하는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소비자 동향에서도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인해 보다 저렴한 구매방식을 선호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유통과정이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저렴한 온라인 유통시장이 활성화 되고 있으며 TV홈쇼핑, 인터넷 쇼핑몰, 오픈마켓 그리고 다양한 방식의 결제수단 발전에 힘입어 막강한 시장장악력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전자상거래의 규모 발전을 수치적으로 살펴보면 2004년도 우리나라 전자상거래 총규모는 314조 79억원이며 이는 전년도에 비해 33.6% 오른 수치이다. 그리고 국가전체 거래규모 대비 19.1%에 달한다. 이어 2005년 전자상거래 총규모는 358조 4천 5백억이며 전년대비 성장률은 14.1%로 장기적인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경이적인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2006년도 2분기 전자상거래 통계조사 결과에 따르면 2분기 전자상거래 총 규모는 95조 9천6백5십억원 으로 전분기 대비 6.7% 증가했고 전년도 동분기에 비해서도 7.3%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에서 수치적인 발전 추세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자상거래는 한국경제의 새로운 성장동인으로 이미 그 자리를 굳혀가고 있다. 전자상거래를 통해 유통 프로세스 혁신과 비용절감 효과까지 거둘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적된 불합리한 경제구조도 바꿀 수 있다고 평가 되고 있는 것이다.
OECD가 2004년에 발표한 조사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기업과 소비자간 전자상거래의 경우 매년 20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렇게 급격하게 증가하는 전자상거래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기존 오프라인 인프라를 바탕으로 하는 대기업과 전자상거래를 전문으로 하는 신생 기업들 간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이는 또 다른 전자상거래의 새로운 산업 구조를 만들어 낼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좀더 단기적인 시각에서 우리나라의 전자상거래를 전망해 보면 산업자원부에서 발표한 2006년도 4분기 전망 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B2B(기업간) 전자상거래 BSI전망치는 108.8을 B2C(기업 소비자간) 전자상거래는 100.4를 각각 기록했다. BSI는 기업이 전망한 경기 체감지수로 100을 넘을 경우 경기를 좋게 보는 기업이 나쁘게 보는 기업보다 많음을, 100보다 낮을 경우는 그 반대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는 지난해 4분기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추세에서 호전된 것으로 전자상거래의 4분기 경기가 다소 호전될 것이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수치적인 자료로 보나 단기적인 전망으로 볼 때 우리나라의 전자상거래는 아직도 고속성장중 이다. 그리고 그 유형을 조금 살펴보면 인터넷 쇼핑몰이 대세였던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점차 오픈 마켓 쪽으로 대세가 기울어지고 있다. 2003년 이후 매년 부분 성장률 100% 이상을 기록하고 있으며 올 연말에는 거래규모면에서 인터넷 쇼핑몰을 제칠 전망이다. 특히 G마켓은 단기간에 부동의 1위였던 옥션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급성장 했으며 상반기 거래량 1조원을 돌파, 지난해 전체 거래량에 육박할 정도로 고속 성장 중이다.
장기적인 전망에서 볼 때 전자상거래 시장의 발전 추이는 이러하다. 최근 몇 년간 전자상거래 시장이 확장되면서 관련서비스 업체는 곧 공급과잉의 수준에 이르게 될 전망이다. 이제는 유통구조 축소나 기타 비용 절감으로 인한 저렴한 가격으로 승부를 볼 수 있는 시대가 지나간다는 뜻이며 이미 시장의 그러한 움직임들이 포착 되고 있다. 이제는 새로운 컨텐츠 개발과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 전자 상거래 시장의 성공 포인트가 될 것이며 개척한 시장의 경쟁 우위와 상거래 시장의 신규 시장을 전략적으로 빠르게 선점하는 기억이 살아남는 시대가 될 것이다. 기업들은 시장의 변화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주도해야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다. 어느 곳보다 변화의 주기가 ㅖ은 정보기술 시장에는 불변의 1위란 있을 수 없으며 순간의 변화를 읽어내지 못하면 한순간 낙오하게 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3.13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89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