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사무가 바리공주(바리데기)를 분석한 글입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사무가 바리공주(바리데기)를 분석한 글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본론

Ⅱ. 서론
1. 서사무가
2. ‘바리공주’ 파고들기
1)줄기리 및 내용요약
2)내용분석
3)지역별 특징
4)서사구조
5)다른 작품과의 관계
3. 오구굿에서 <바리공주>의 역할
4.구비문학으로서의 ‘바리공주’
5. 교육적 측면에서의 ‘바리공주’

Ⅲ. 결론

본문내용

문학의 측면을 중시한 개념이라면, 후자는 민속의 측면을 중 시한 용어라 할 수 있다.
'구비(口碑)'는 '대대로 전해오는 말'이라는 뜻으로 '구전(口傳)'과 뜻이 통한다. 곧 '구비문 학'은 '구전문학'과 유사한 용어인데, 현재 전자가 학술용어로 정착돼 있다. 어의(語義)에 집착할 경우 말로 된 문학 가운데도 '대대로 전승돼 온 것'만이 구비문학이 되는 셈이지만, 일시적·현재적으로 창조·향유되는 것들까지도 한데 포괄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할 수 있다.
특정의 '말'이 구비문학이 될 수 있으려면 '문학'으로서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곧 '미적 으로 형상화'되어 흥미와 감동을 줄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과연 '말로 된 문학'이 온전한 문학성을 갖출 수 있는가 하는 논란이 한때 없지 않았으나, 이는 이미 해소된 지 오래다. 구비문학이 가져다주는 재미와 감동은, 그 편폭이 기록문학보다 더 넓다고 해도 과언이 아 니다(기록문학이 대중적으로 보편화되지 않았던 전통사회에 있어서 특히 그러하다). 특히 구비문학은 과거의 글을 모르던 민중들의 삶의 애환과 염원이 녹아난 것들이 많이 있는데 이러한 부분에서도 ‘바리공주’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5. 교육적 측면에서의 ‘바리공주’
중고등학교의 국어 교과서에는 무가가 실려있지 않다. 문학 교과서에는 실려있는 것도 있다고 하지만 발제자는 실려있지 않은 교과서밖에 보지 못했다.
구비문학의 경우 설화나 탈춤, 꼭두각시 놀음 정도가 실려있다고 알고 있다. 무가나 민요의 경우는 문학이라고 보기 난감한 부분도 있겠지만, 분명히 무가도 구비문학의 한 장르이다. 더구나 굿이나 민요 등은 점점 사라지는 추세이므로 사라져가는 전통문화를 복원시킨다는 점에서도 무가, 민요, 민담, 인형극 등을 가르치는 것은 가치가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굿의 특성상, 시청각자료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글로 쓰여진 대본만 보아서는 이해가 잘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만약 교과서에 싣게 된다면, 국어교과서에 실린 <흥보가>처럼 일부분을 발췌해서 싣고, 상대적으로 구성이 잘 되어 있는 중부지역본을 싣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이런 방법적인 문제도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 문화 속에 담긴 얼을 찾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서사무가의 대표적인 작품인 바리공주를 살펴보았다. 이번에 ‘바리공주’에 대해서 조사하면서 무가에 대한 연구나 각 작품별 연구가 아직까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현재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고, 학자들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에게도 관심을 얻고 있는 이야기이므로 앞으로 더 다양하고 좋은 성과물이 많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글로 쓰여진 것이 아닌 입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구비문학을 연구하는 것은 글을 몰랐던 과거의 하층민들의 삶에 대한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앞으로 ‘바리데기’와 같은 구비문학들의 연구가 더욱 깊게 이루어져 과거 민중들에 대한 깊은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3.15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