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대체에너지의 개념과 필요성
Ⅱ본론
1.태양력
(1)태양력의 특징
(2)태양력의 장.단점
(3)우리나라 태양력에너지의 사용 현황
2.풍력
(1)풍력의 특징
(2)풍력의 장.단점
(3)우리나라 풍력에너지의 사용 현황
3.지열
(1)지열의 특징
(2)지열의 장.단점
(3)우리나라 지열의 사용 현황
4.수력,조력
(1)수력,조력의 특징
(2)수력,조력의 장.단점
(3)우리나라 수력,조력의 사용 현황
5.바이오메스
(1)바이오메스의 특징
(2)바이오메스의 장.단점
(3)우리나라 바이오메스의 사용 현황
6.수소
(1)수소의 트징
(2)수소의 장.단점
(3)우리나라 수소에너지의 사용 현황
Ⅲ결론
1.대체에너지의 개념과 필요성
Ⅱ본론
1.태양력
(1)태양력의 특징
(2)태양력의 장.단점
(3)우리나라 태양력에너지의 사용 현황
2.풍력
(1)풍력의 특징
(2)풍력의 장.단점
(3)우리나라 풍력에너지의 사용 현황
3.지열
(1)지열의 특징
(2)지열의 장.단점
(3)우리나라 지열의 사용 현황
4.수력,조력
(1)수력,조력의 특징
(2)수력,조력의 장.단점
(3)우리나라 수력,조력의 사용 현황
5.바이오메스
(1)바이오메스의 특징
(2)바이오메스의 장.단점
(3)우리나라 바이오메스의 사용 현황
6.수소
(1)수소의 트징
(2)수소의 장.단점
(3)우리나라 수소에너지의 사용 현황
Ⅲ결론
본문내용
력 1,335 m2/GWh, 석탄 3,642 m2/GWh, 태양열 3,561 m2/GWh 그리고 태양광 발전 3,237 m2/GWh로서 풍력 발전이 가장 작은 면적을 필요로 한다.
풍력 발전은 공해 물질 저감 효과도 매우 커서 200 kW급 풍력 발전기 1대가 1년간 운전하여 400,000 kWh의 전력을 생산한다면 약 120-200 톤의 석탄을 대체하게 되며, 줄어드는 공해 물질의 배출량은 연간 SO2는 2-3.2 톤, NOx는 1.2-2.4 톤, CO2는 300-500 톤, 슬래그(slag)와 분진(ash)은 16-28 톤에 달하며, 부유 물질은 연간 약 160 - 280 kg 정도 배출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풍력 발전 시스템의 발전 단가는 설치 지역의 풍력 자원에 따라 달라지나 현재 운전되고 있는 미국의 대규모 풍력 단지들은 약 750 $/kW의 시스템 설치비와 약 5 ¢/kWh 내외의 발전 단가를 나타내 기존 발전 방식과 경쟁 가능한 수준이다. 또한 계속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이 병행되면 풍력 발전은 15년 안에 3.9 ¢/kWh의 단가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 풍력의 장.단점
-장점
* 풍력자원이 풍부하고 재생가능한 에너지원으로서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 공해물질 배출이 없어서 청정성, 환경친화적 특성을 지닌다.
* 풍력단지의 관광자원화가 가능하다.
* 비용면에 있어서도 현재 외국의 경우 발전단가가 4~5¢/㎾h로 핵발전의 발전단가와 같은 수준에 와 있으며, 핵발전의 폐기물 비용을 감안한다면 보다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에너지라고 할 수 있다.
-단점
* 깨끗하고 고갈된 염려가 없지만, 에너지 밀도가 낮아 바람이 안 불면 발전을 할 수가 없으므로 특별한 지점에만 설치가 가능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삼면이 바다로 되어 있어 풍력발전에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 바람이 불때만 발전을 할 수가 있으므로 지속적 발전이 곤란하여 저장장치의 설치가 필요하다. 현재 기존의 발전시설이나 태양광발전 등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소음발생문제는 최근에는 풍력발전기가 대형화되면서 소음문제를 해결했다.
* 대규모 발전시설을 갖출 경우, 기존의 발전방식과 경쟁력을 가지고 있지만, 대량 보급을 위한 관련 기기의 가격경쟁력 확보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확보가 관건이다.
* 1998년 2월경 2억 4천만원을 들여 순수 국산기술로 풍력발전기를 제작, 국토 최남단 마라도의 풍력발전시대를 이끌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마라도 풍력발전 시범사업이 추진되었으나 1999년 12월 마라도 풍력사업은 중요한 기기 결함과, 운용 및 보수 유지기술 미숙으로 인하여 사실상 실패로 끝나, 실용화를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3) 우리나라 풍력에너지 사용 현황
우리나라의 풍력발전기 개발추이가. 1973년 오일쇼크로 1974년부터 국가정책사업으로 연구개발을 착수하였으나 1975년 오일쇼크 파동이 끝난 후 정책사업에서 배제되었다.
나. 산업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소에서 제주도 대안에너지 연구단지를 조성하여 (월령) 각종 대안에너지(태양광발전, 태양열, 풍력발전 등) 현장시험 운영 중이다.
(100kW 1대, 80kW 1대, 20kW 2대, 태양전지 3kW 등)
제주도청에서 주관한 제주도 풍력단지화 계획에 따라 1997년도에 도입한 덴마크의 VESTAS회사제 600kW 2대를 도입하여 1998년 3월 1일부터 운영 중에 있고 1999년 연차증설 계획에 따라 660kW 2대를 설치 운영 중이며 2000년에까지 154억 원을 투입하여 남제주군 대정읍, 북제주군 조천읍, 구좌읍 등 3개 풍력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 경북도청에서도 울릉도 북면 현포리에 설치할 600kW 1대를 1998년 12월 28일 입찰하여 1999년 4월 8일 착공하여(관보 제14067호 \'98. 11. 27) 10월 중 개통 예정이다.
. 충남도청에서도 2000년도에 서해안 벨드에 대단위 풍력발전단지를 계획하고 있다.
. 남해군에서도 1999년부터 풍력발전단지로 지정된 곳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여 도서주민의 식수공급을 위하여 노도에 60kW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해수담수기를 설치예정이다.
남해는 바람이 많고 일조량이 풍부하여 풍력과 태양력 등 청정에너지를 보급할 수 있는 적지로 알려져 있다. 이 같은 사실은 군내 전문가는 물론, 독일 Nord Teck 풍력발전제작회사에서도 남해를 방문해 내린 결론이다.
남해군은 600kw급 풍력발전기 1기를 설치하고 계속해서 보급을 확대할 예정으로 1999년 8월 현재 남해군 일대 풍력자원조사를 하고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해수담수화시설과 연계한 풍력발전기 설치사업으로 생활용수가 부족한 섬의 물문제도 해결할 계획이다.
3. 지열
(1) 지열의 특징
지열은 지구 내부에서 표면을 거쳐 외부로 나오게 되는 열을 말한다. 지구는 중심부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져 지구 중심부의 온도는 4000℃에 달한다. 이러한 지열은 열전도에 의해서나 가스, 온수 및 화산분출 등에 의해 유출되는데, 그 양은 지역적으로 크게 다르지만 지구의 전표면에서 방출된다.
엄밀히 말해 지열 에너지는 재생이 불가능한 에너지원이지만 지구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이므로 굴착하는 깊이에 따라 잠재력은 거의 무한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열 에너지는 저온 열수를 직접 이용하는 온천 등의 관광 자원 또는 프랑스나 헝가리에서 전형적인 예를 찾을 수 있는 것처럼 난방 열원 등으로서는 많이 개발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에너지원으로서는 그다지 개발된 자원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지열 에너지 이용에 가장 많이 채택되고 있는 것은 지열을 직접 이용하는 방식이나 앞으로는 지열 발전의 비중이 직접 이용 방식보다 커질 전망이다. 지열발전은 지하에 있는 고온층으로부터 증기 또는 열수(熱水)의 형태로 열을 받아들여 발전하는 방식이다.
지구는 하나의 거대한 보일러이며 이것을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는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지만, 현재 발전에 이용되는 것은 지열로 발생한 증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빗물이 단층 등을 통해서 지하로 흘러 들어갈
풍력 발전은 공해 물질 저감 효과도 매우 커서 200 kW급 풍력 발전기 1대가 1년간 운전하여 400,000 kWh의 전력을 생산한다면 약 120-200 톤의 석탄을 대체하게 되며, 줄어드는 공해 물질의 배출량은 연간 SO2는 2-3.2 톤, NOx는 1.2-2.4 톤, CO2는 300-500 톤, 슬래그(slag)와 분진(ash)은 16-28 톤에 달하며, 부유 물질은 연간 약 160 - 280 kg 정도 배출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풍력 발전 시스템의 발전 단가는 설치 지역의 풍력 자원에 따라 달라지나 현재 운전되고 있는 미국의 대규모 풍력 단지들은 약 750 $/kW의 시스템 설치비와 약 5 ¢/kWh 내외의 발전 단가를 나타내 기존 발전 방식과 경쟁 가능한 수준이다. 또한 계속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이 병행되면 풍력 발전은 15년 안에 3.9 ¢/kWh의 단가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 풍력의 장.단점
-장점
* 풍력자원이 풍부하고 재생가능한 에너지원으로서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 공해물질 배출이 없어서 청정성, 환경친화적 특성을 지닌다.
* 풍력단지의 관광자원화가 가능하다.
* 비용면에 있어서도 현재 외국의 경우 발전단가가 4~5¢/㎾h로 핵발전의 발전단가와 같은 수준에 와 있으며, 핵발전의 폐기물 비용을 감안한다면 보다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에너지라고 할 수 있다.
-단점
* 깨끗하고 고갈된 염려가 없지만, 에너지 밀도가 낮아 바람이 안 불면 발전을 할 수가 없으므로 특별한 지점에만 설치가 가능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삼면이 바다로 되어 있어 풍력발전에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 바람이 불때만 발전을 할 수가 있으므로 지속적 발전이 곤란하여 저장장치의 설치가 필요하다. 현재 기존의 발전시설이나 태양광발전 등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소음발생문제는 최근에는 풍력발전기가 대형화되면서 소음문제를 해결했다.
* 대규모 발전시설을 갖출 경우, 기존의 발전방식과 경쟁력을 가지고 있지만, 대량 보급을 위한 관련 기기의 가격경쟁력 확보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확보가 관건이다.
* 1998년 2월경 2억 4천만원을 들여 순수 국산기술로 풍력발전기를 제작, 국토 최남단 마라도의 풍력발전시대를 이끌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마라도 풍력발전 시범사업이 추진되었으나 1999년 12월 마라도 풍력사업은 중요한 기기 결함과, 운용 및 보수 유지기술 미숙으로 인하여 사실상 실패로 끝나, 실용화를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3) 우리나라 풍력에너지 사용 현황
우리나라의 풍력발전기 개발추이가. 1973년 오일쇼크로 1974년부터 국가정책사업으로 연구개발을 착수하였으나 1975년 오일쇼크 파동이 끝난 후 정책사업에서 배제되었다.
나. 산업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소에서 제주도 대안에너지 연구단지를 조성하여 (월령) 각종 대안에너지(태양광발전, 태양열, 풍력발전 등) 현장시험 운영 중이다.
(100kW 1대, 80kW 1대, 20kW 2대, 태양전지 3kW 등)
제주도청에서 주관한 제주도 풍력단지화 계획에 따라 1997년도에 도입한 덴마크의 VESTAS회사제 600kW 2대를 도입하여 1998년 3월 1일부터 운영 중에 있고 1999년 연차증설 계획에 따라 660kW 2대를 설치 운영 중이며 2000년에까지 154억 원을 투입하여 남제주군 대정읍, 북제주군 조천읍, 구좌읍 등 3개 풍력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 경북도청에서도 울릉도 북면 현포리에 설치할 600kW 1대를 1998년 12월 28일 입찰하여 1999년 4월 8일 착공하여(관보 제14067호 \'98. 11. 27) 10월 중 개통 예정이다.
. 충남도청에서도 2000년도에 서해안 벨드에 대단위 풍력발전단지를 계획하고 있다.
. 남해군에서도 1999년부터 풍력발전단지로 지정된 곳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여 도서주민의 식수공급을 위하여 노도에 60kW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해수담수기를 설치예정이다.
남해는 바람이 많고 일조량이 풍부하여 풍력과 태양력 등 청정에너지를 보급할 수 있는 적지로 알려져 있다. 이 같은 사실은 군내 전문가는 물론, 독일 Nord Teck 풍력발전제작회사에서도 남해를 방문해 내린 결론이다.
남해군은 600kw급 풍력발전기 1기를 설치하고 계속해서 보급을 확대할 예정으로 1999년 8월 현재 남해군 일대 풍력자원조사를 하고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해수담수화시설과 연계한 풍력발전기 설치사업으로 생활용수가 부족한 섬의 물문제도 해결할 계획이다.
3. 지열
(1) 지열의 특징
지열은 지구 내부에서 표면을 거쳐 외부로 나오게 되는 열을 말한다. 지구는 중심부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져 지구 중심부의 온도는 4000℃에 달한다. 이러한 지열은 열전도에 의해서나 가스, 온수 및 화산분출 등에 의해 유출되는데, 그 양은 지역적으로 크게 다르지만 지구의 전표면에서 방출된다.
엄밀히 말해 지열 에너지는 재생이 불가능한 에너지원이지만 지구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이므로 굴착하는 깊이에 따라 잠재력은 거의 무한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열 에너지는 저온 열수를 직접 이용하는 온천 등의 관광 자원 또는 프랑스나 헝가리에서 전형적인 예를 찾을 수 있는 것처럼 난방 열원 등으로서는 많이 개발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에너지원으로서는 그다지 개발된 자원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지열 에너지 이용에 가장 많이 채택되고 있는 것은 지열을 직접 이용하는 방식이나 앞으로는 지열 발전의 비중이 직접 이용 방식보다 커질 전망이다. 지열발전은 지하에 있는 고온층으로부터 증기 또는 열수(熱水)의 형태로 열을 받아들여 발전하는 방식이다.
지구는 하나의 거대한 보일러이며 이것을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는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지만, 현재 발전에 이용되는 것은 지열로 발생한 증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빗물이 단층 등을 통해서 지하로 흘러 들어갈
키워드
추천자료
독일의 환경문제에 대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환경문제에 대하여
수자원에 관한 환경문제-지방자치단체간의 분쟁사례
김수종의 '0.6도'를 통해 본 환경문제
[현대정부]현대정부와 환경문제
낙동강유역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문제에 대한 새로운 대안
[에너지] 우리나라의 미래 에너지 수급 대책에 대하여(대체에너지, 에너지소비현황, 우리나라...
강대국과 환경문제
대체에너지의 필요성, 신생에너지(태양, 지열, 풍력), 한계와 전망, 미래
독일의 환경문제와 해결방안
한국에너지,에너지수요,태양에너지,태양에너지의정의,태양어네지의원리,수소에너지,수소에너...
[대체에너지] 대체에너지 이용에 관한 연구.ppt
도시행정 환경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