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탐험레저스포츠
(1) 산악자전거
(2) 인공암벽
(3) 빙벽타기
2. 항공레저스포츠
(1) 행글라이딩
(2) 패러글라이딩
(3) 열기구
3. 실내레저스포츠
(1) 검도
(2) 라켓볼
(3) 스쿼시
4. 해양레저스포츠
(1) 윈드서핑
(2) 래프팅
(3) 요트
5. 지상레저스포츠
(1) 스키
(2) 인라인스케이트
(3) 서바이벌
(1) 산악자전거
(2) 인공암벽
(3) 빙벽타기
2. 항공레저스포츠
(1) 행글라이딩
(2) 패러글라이딩
(3) 열기구
3. 실내레저스포츠
(1) 검도
(2) 라켓볼
(3) 스쿼시
4. 해양레저스포츠
(1) 윈드서핑
(2) 래프팅
(3) 요트
5. 지상레저스포츠
(1) 스키
(2) 인라인스케이트
(3) 서바이벌
본문내용
그 방법과 기술을 터득하였다. 곧이어 사단법인 대한항공협회(KAA) 산하에 한국활공협회가 창설되면서 국제행글라이딩위원회의 기술적인 지원을 받아 발전하여 현재는 대학 동아리와 동호인 모임을 중심으로 생활체육의 중요한 종목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2)특성:행글라이딩경기는 세계선수권대회와 같이 여러 종목을 함께 겨루는 경기, 지역의 지리적인 조건을 고려한 크로스컨트리경기 등이 있다. 또한 해안의 지리를 이용하여 정해진 구간을 얼마나 빠른 속도로 날 수 있는가를 겨루는 에어레이스, 2인승 비행경기, 곡예비행경기 등이 있다.
경기수준은 초보자도 즐길 수 있는 축제분위기의 대회부터 세계 톱 파일럿들이 참가하는 세계적인 대회까지 그 종류 또한 다양하다.
동호회활동: 동국대동아리http://www.windsound.wo.to/ 자유비행대클럽flyingclub.co.kr
행글라이딩 까페cafe.daum.net/hanggliding 등등
패러글라이딩
1) 유래
패러글라이더는 비행체가 가장 가볍고, 가장 간편하며, 가장 쉽게 하늘을 날수 있는, 가장 늦게 탄생된 항공기이다. 따라서 그 탄생의 배경은 이보다 앞선 모든 항공기술에 근거한다고 할 수 있겠으나, 보다 가까운 출발점으로는 낙하산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의 의사대로 자유로이 하늘을 날 수 있는 매력을 가진 패러글라이딩은 1960년대 중반 무렵, 미국 나사(NASA)연구소 에서 패러글리이딩의 원형인 패러포일이 발명된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패러포일은 초기에는 스카이다이빙용으로 이용되었는데, 1978년에 프랑스의 한 산꼭대기에서 처음 이륙한 것에서 패러글라이딩이 유래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1985년부터 보급되기 시작하였고, 그후 행글라이더를 능가하는 붐을 일으키고 있다. 또한, 기체가 가볍고 조작이 매우 용이하다는 점에서 여성들에게도 무리가 없는 항공레저스포츠로 각광을 받고 있다.
2) 특성
패러글라이더는 패러슈트(낙하산)와 행글라이더의 특성을 결합함으로써 낙하산의 안전성과 분해, 조립, 운반의 용이성, 그리고 행글라이더의 활공성과 스피드를 고루 갖춘 이상적인 날개형태로 인력활공기라 할 수 있다. 패러글라이더는 무엇보다도 장비 전체의 무게가 4~8kg 정도에 불과해 배낭에 넣고 다닐 수 있을 정도로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1시간 정도의 이론교육과 2시간 정도의 기초 비행훈련을 마치고, 4~6회 정도의 지상교육을 받으면 초보자도 첫 비행이 가능하다.
패러글라이딩을 배울 수 있는 단체는 스쿨과 클럽이 있다. 스쿨은 유료교육을 실시하는 단체로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교육비는 조건에 따라 20만원~30만원 정도이며, 클럽은 동호인 단체로 스쿨보다는 비용부담이 적지만,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못할 수도 있어 공인된 강사의 여부와 교육장비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내 패러글라이딩 동호인은 1만 5,000여 명이며, 250개 이상의 클럽에서 활동하고 있다.
패러글라이딩 장비 중 기체는 교육용, 초급자용, 중급자용, 고급자용이 있다. 기본교육을 이수한 사람은 초급자용을 구입하게 되는데, 가격은 150만원 내외이다. 그러나 운동신경이 발달한 사람이거나 본인이 노력 여하에 따라서 6개월 만에 중급자용을 탈 수 있기 때문에 구입시기를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동호회활동:스카이동호회http://www.skyfly.co.kr 스카이맨http://skyman.hompy.com/
처용패러클럽http://www.cheoyongpara.com/ 등등
열기구
1) 유래
열기구는 1783년 11월 프랑스이 몽골피에 형제에 의하여 최초로 개발되었으며, 피라드레 드 로제에 의하여 비행에 성공하였다. 그는 파리 근교에서 약 25분간 비행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종이로 만든 구피(hard envelope)에 밀짚과 나뭇가지를 불에 태워 비행하였다고 한다. 1783년 물리학자인 보일?샤를의 법칙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샤를 교수에 의하여 수소가스기구가 개발되어 장거리 비행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조작이 용이한 가스기구는 1,2차 세계대전을 통하여 비행선 등으로 발전하였다.
이후 열기구는 1950년대 후반 미국 정부의 개발계획에 의하여 천으로 된 구피(soft envelope)와 액체 프로판가스 버너로 작동되는 현대식 열기구로 탄생되었다.
지금은 스카이다이빙과 함께 올림픽종목으로 거론될 만큼 인기있는 항공스포츠 중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국내에서의 현대식 스포츠형 열기구는 1960년대 이선종이 영국에서 열기구 비행교육을 받고 국내에 소개되었다. 이후 광고용으로 사용되다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계기로 널리 보급되었다. 현재 약 20여 대의 열기구가 운용 중에 있으며, 동호인들은 1백여 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2) 특성
열기구의 탑승인원은 소형이 3명, 대형은 6명이다. 다른 항공스포츠와는 달리 여러 사람의 협동과 단결력이 필요하며, 특별한 조정장치 없이 나침반과 지도, 그리고 바람을 이용항 목표지점을 향해야 하므로 조종사의 판단력에 의한 결단력이 필요하다. 또한, 기구 안에는 조종사와 조수가 함께 타며, 자동차로 따라 오는 지상의 요원들과 무선기로 통신을 해가며 비행하게 되므로 동료 간의 단결력도 필요하다.
열기구는 바람이 부는 대로만 비행을 할 수 있어 방향조절이 안 된다는 단점이 있으나, 연료만 있으면 얼마든지 장시간 비행을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열기구의 종류로는 풍선 내부의 뜨거워진 공기의 부력을 이용하여 하늘을 떠오르는 열기구(hot air balloon), 공기보다 가벼운 헬륨가스의 부력을 이용하는 비행원리인 가스기구(gas balloon), 열기구에 커다란 애드벌룬을 집어넣은 복합형 기구(rosier balloon), 동물자동차깡통공룡 등 갖가지 특이한 모양을 한 특별형 기구(special shape balloon) 등이 있다.
열기구의 구조는 크게 구피(가스 주머니), 바스켓, 버너 등 3부분으로 되어 있다.
구피는 열기구의 풍선부분을 가리키며, 바스켓은 탑승시 안전의자 역할을 하며 착륙시에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고안되어 있는 시설이다. 버너는 액체 프로판가스를 가화시켜 강력한 불
2)특성:행글라이딩경기는 세계선수권대회와 같이 여러 종목을 함께 겨루는 경기, 지역의 지리적인 조건을 고려한 크로스컨트리경기 등이 있다. 또한 해안의 지리를 이용하여 정해진 구간을 얼마나 빠른 속도로 날 수 있는가를 겨루는 에어레이스, 2인승 비행경기, 곡예비행경기 등이 있다.
경기수준은 초보자도 즐길 수 있는 축제분위기의 대회부터 세계 톱 파일럿들이 참가하는 세계적인 대회까지 그 종류 또한 다양하다.
동호회활동: 동국대동아리http://www.windsound.wo.to/ 자유비행대클럽flyingclub.co.kr
행글라이딩 까페cafe.daum.net/hanggliding 등등
패러글라이딩
1) 유래
패러글라이더는 비행체가 가장 가볍고, 가장 간편하며, 가장 쉽게 하늘을 날수 있는, 가장 늦게 탄생된 항공기이다. 따라서 그 탄생의 배경은 이보다 앞선 모든 항공기술에 근거한다고 할 수 있겠으나, 보다 가까운 출발점으로는 낙하산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의 의사대로 자유로이 하늘을 날 수 있는 매력을 가진 패러글라이딩은 1960년대 중반 무렵, 미국 나사(NASA)연구소 에서 패러글리이딩의 원형인 패러포일이 발명된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패러포일은 초기에는 스카이다이빙용으로 이용되었는데, 1978년에 프랑스의 한 산꼭대기에서 처음 이륙한 것에서 패러글라이딩이 유래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1985년부터 보급되기 시작하였고, 그후 행글라이더를 능가하는 붐을 일으키고 있다. 또한, 기체가 가볍고 조작이 매우 용이하다는 점에서 여성들에게도 무리가 없는 항공레저스포츠로 각광을 받고 있다.
2) 특성
패러글라이더는 패러슈트(낙하산)와 행글라이더의 특성을 결합함으로써 낙하산의 안전성과 분해, 조립, 운반의 용이성, 그리고 행글라이더의 활공성과 스피드를 고루 갖춘 이상적인 날개형태로 인력활공기라 할 수 있다. 패러글라이더는 무엇보다도 장비 전체의 무게가 4~8kg 정도에 불과해 배낭에 넣고 다닐 수 있을 정도로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1시간 정도의 이론교육과 2시간 정도의 기초 비행훈련을 마치고, 4~6회 정도의 지상교육을 받으면 초보자도 첫 비행이 가능하다.
패러글라이딩을 배울 수 있는 단체는 스쿨과 클럽이 있다. 스쿨은 유료교육을 실시하는 단체로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교육비는 조건에 따라 20만원~30만원 정도이며, 클럽은 동호인 단체로 스쿨보다는 비용부담이 적지만,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못할 수도 있어 공인된 강사의 여부와 교육장비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내 패러글라이딩 동호인은 1만 5,000여 명이며, 250개 이상의 클럽에서 활동하고 있다.
패러글라이딩 장비 중 기체는 교육용, 초급자용, 중급자용, 고급자용이 있다. 기본교육을 이수한 사람은 초급자용을 구입하게 되는데, 가격은 150만원 내외이다. 그러나 운동신경이 발달한 사람이거나 본인이 노력 여하에 따라서 6개월 만에 중급자용을 탈 수 있기 때문에 구입시기를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동호회활동:스카이동호회http://www.skyfly.co.kr 스카이맨http://skyman.hompy.com/
처용패러클럽http://www.cheoyongpara.com/ 등등
열기구
1) 유래
열기구는 1783년 11월 프랑스이 몽골피에 형제에 의하여 최초로 개발되었으며, 피라드레 드 로제에 의하여 비행에 성공하였다. 그는 파리 근교에서 약 25분간 비행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종이로 만든 구피(hard envelope)에 밀짚과 나뭇가지를 불에 태워 비행하였다고 한다. 1783년 물리학자인 보일?샤를의 법칙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샤를 교수에 의하여 수소가스기구가 개발되어 장거리 비행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조작이 용이한 가스기구는 1,2차 세계대전을 통하여 비행선 등으로 발전하였다.
이후 열기구는 1950년대 후반 미국 정부의 개발계획에 의하여 천으로 된 구피(soft envelope)와 액체 프로판가스 버너로 작동되는 현대식 열기구로 탄생되었다.
지금은 스카이다이빙과 함께 올림픽종목으로 거론될 만큼 인기있는 항공스포츠 중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국내에서의 현대식 스포츠형 열기구는 1960년대 이선종이 영국에서 열기구 비행교육을 받고 국내에 소개되었다. 이후 광고용으로 사용되다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계기로 널리 보급되었다. 현재 약 20여 대의 열기구가 운용 중에 있으며, 동호인들은 1백여 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2) 특성
열기구의 탑승인원은 소형이 3명, 대형은 6명이다. 다른 항공스포츠와는 달리 여러 사람의 협동과 단결력이 필요하며, 특별한 조정장치 없이 나침반과 지도, 그리고 바람을 이용항 목표지점을 향해야 하므로 조종사의 판단력에 의한 결단력이 필요하다. 또한, 기구 안에는 조종사와 조수가 함께 타며, 자동차로 따라 오는 지상의 요원들과 무선기로 통신을 해가며 비행하게 되므로 동료 간의 단결력도 필요하다.
열기구는 바람이 부는 대로만 비행을 할 수 있어 방향조절이 안 된다는 단점이 있으나, 연료만 있으면 얼마든지 장시간 비행을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열기구의 종류로는 풍선 내부의 뜨거워진 공기의 부력을 이용하여 하늘을 떠오르는 열기구(hot air balloon), 공기보다 가벼운 헬륨가스의 부력을 이용하는 비행원리인 가스기구(gas balloon), 열기구에 커다란 애드벌룬을 집어넣은 복합형 기구(rosier balloon), 동물자동차깡통공룡 등 갖가지 특이한 모양을 한 특별형 기구(special shape balloon) 등이 있다.
열기구의 구조는 크게 구피(가스 주머니), 바스켓, 버너 등 3부분으로 되어 있다.
구피는 열기구의 풍선부분을 가리키며, 바스켓은 탑승시 안전의자 역할을 하며 착륙시에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고안되어 있는 시설이다. 버너는 액체 프로판가스를 가화시켜 강력한 불
추천자료
21세기 관광레저산업에 대한 전망과 활성화 전략
레저의정의와영향
레저산업의 분류와 성장 배경
소형선박, 레저보트의 오늘과 미래
IT 확산이 레저산업에 미친 영향
[마케팅]레저산업의 마케팅전략 분석_클럽메드사례를 중심으로
우리사회 여가와 레저문화
[경마산업]레저시장의 고객성향 조사을 통한 마사회의 마케팅 전략
주5일제 근무시대의 레저 마케팅
2008년 수상레저시장조사
Dumazedier이론 중심의 레저의 기능
주5일 시대의 레저마케팅 전략 및 대책 조사분석
현대사회에서 레저와 레크레이션이 필요한 이유
컨벤션, 영상, 해양레저특구 도시, 매력있는 세계일류 도시 ‘해운대’ - 지역소개, 지역조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