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삭가공과 힘의 측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삭가공과 힘의 측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0배, 방전가공의 10배의 능률을 갖고 공구의 용해하는 효과가 있고 소 모,변형이 없다.
(2) 전해연삭
전해연마에서 나타난 양극 생성물을 전해작용으로 갈아 없애는 작업으로가 공속도가 빠르고 숫돌의 소모가 적으며 다듬면이 연삭가공보다 우수하고 초경과같은 경질재료, 열변형에 약한 재료등에 사용한다.
(3) 전해연마
전해가공과 같으나 낮은 전류 밀도를 사용하고 치수, 형상정밀도의 향상은기대 하지 못하고 동시에 다량 가공하는데 사용한다.
(4) 초음파 가공
16kc/sec 이상의 음파를 초음파라 하며 전원에서 고주파 발진 장치를 거쳐 초음파 발진자에서 16~29kc/sec를 발생 공구 고정장치를 통해서 진폭을 확대해 공구에 준다.
초음파가공의 장점으로는 다음과 같다.
-구멍가공 용이
-복잡한 형상 가공 용이
-부도체도 가공
-연삭보다 가공 변질층 및 스트레인이 적다.
5. 방전가공
가공액중에서 50~60cycle의 교류전류를 4~7V직류로 변환하여 천공, 조각, 절단, 기타 가공하는 것이다. 고경도 재질에 적합(경질합금, 담금질한 고속도강, 내열강, 스테인레스강, 다이아몬드, 수정등)
2. 연삭
연마공정을 말하는 것으로, 돌(숫돌)이나 기타재료로된 것으로 면을 곱게 다듬는 역할이다. 정밀한 치수를 맞추기 위해선 꼭 들어가야 할 공정이다. 윗쪽에 휠이 회전을 (보통 1800rpm이상)하고 하측 테이블에 가공할 물건을 올려놓고 회전하는 숫돌로 가공물을 갈아내는 것이다. 연삭기로 다듬질을 하면 치수가 정밀하고, 다듬질면이 아름다우며, 담금질강과 같은 매우 단단한 면도 쉽게 다듬을 수가 있다.
연삭가공을 할 때 2개의 면을 비벼댈 때, 어느 쪽이 먼저 평평해지는가 하는 문제는 비벼대는 물질의 굳기가 아니고 녹는점이 낮은 쪽이 먼저 평활해진다. 연마할 때에는 2개의 면 사이에 산화철, 산화크륨, 산화 알류미늄, 탄화규소, 산화망간 등의 분말을 물에 섞어 개재시켜서 연마작업의 능률을 올리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게재물을 연마재라고 한다.
연마재의 종류 중 연삭숫돌은 경도가 큰 지립을 적당한 접착재로 접착 성형한 것으로, 지립에 따라서, 그리고 접착재에 따라서 분류된다. 지립에는 천연산과 인조가 있는데 대부분의 연삭숫돌은 인조지립을 쓰고 있다. 천연지립으로는 경도가 큰 광물은 모두 쓸 수 있으나 많이 쓰이는 것은 다이아몬드, 에메리, 스피넬, 석류석, 규사 등이다. 인조지립은 1875년 경부터 사용되었는데, 여기에는 용융알루미나, 탄화규소, 탄화붕소 이외에도 경도가 큰 탄화물, 질화물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용융알루미나와 탄화규소가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이 밖에도 천연산 연마 재룐로는 점토류, 활석, 미정질의 규산이 쓰이며, 인조품으로는 산화철, 산화크롬, 소성알루미나, 소성돌로마이트, 유리가루 등도 쓰인다.
연삭숫돌은 사용목적이나 대상물에 따라서 지립과 결합제를 골라서 제조하고 있으므로 연삭숫돌의 종류, 성능을 잘 파악하여 적합한 목적에 사용해야 한다. 용융알루미나질 지립, 탄화규소질 지립과 연삭숫돌에 대하여는 공업규격이 제정되어 있고, 표시제도도 시행되고 있다.
≪ 연마의 종류 ≫
1.화학연마
화학연마란 외부의 전류를 사용하지 않고 광택연마를 행하는 방법이다. 전해연마와의 차이는 부동태에 있어서 전기 화학적 부동태와 화학적 부동태와의 차이에 대응하고 있다. 화학연마의 반응기구는 금속의 표면이 화학적 또는 전해에 의해 양극적으로 용해해 평활화 해가는 과정에 있다. 쉽게 말하면 화학연마의 주원료(약품)는 인산이다.
액을 조성하는 방법에는 (1)인산 - 황산 - 질산법 (2)인산 - 질산법 (인산에 질산을 넣으면 광택이 많이 나는 반면에 유해가스가 많이 발생) (3)인산 - 황산법 (인산에 황산을 넣으면 유해가스가 적게 발생하므로 현장에서는 특별한 예가 아니면 이 방법을 선호하고 있다.)
재질면에서는 알루미늄에 불순물이 적은 만큼 광택은 우수하다.
예로 99.99%의 알루미늄에 미량의 마그네슘이 첨가된 재료를 연마하면 95%이상의 반사율을 얻는다는 보고가 있다. 요즈음 시중에 판매되는 화학연마제는 별도로 약품을 첨가하지 않고 원액을 쓰기 때문에 액조성에는 별어려움이 없다. 문제는 처리조건과 작업시 주의점 및 액조성 탱크의 제작 등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화학연마에서는 제품이 약속에 침적하여 처리하므로 침적해서 연마시 표면에 많은 기포가 발생하여 제품에서 잘 떨어지지 않아서 그 부분이 하나의 핏트 부분이 되어 얼룩이 가는 경우가 많고 제품이 고정돼 있으면 처리시 발생한 가스가 위쪽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홀 위로 얼룩이 가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화학연마에서는 제품에 유동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실에서 그 장치를 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샌딩 제품 등은 화확연마 전에 충분한 엣칭을 해줘서 연마액에서 짧은 시간에 원하는 광택을 얻을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다.
화확연마시 특별히 주의해야 할점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속합금의 결정입이 너무 클 때 예를 들면 주조가 적당하지 않을 때 불균일한 금속 조직의 경우 예를 들면 깊은 드로잉의 경우 합금성분의 부분적 불균일(용접부분) 판제품의 일정방향을 갖는 룰상처등이 상당히 깊은 경우는 남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둘째, 기름, 먼지 등이 있으면 핏트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셋째, 액조성 탱크의 제작에서 재질로는 내산도기, 내산벽돌, 내산세멘트 SUS316등 여러가지가 있으나 본인이 권장하는 제일 좋은 재질은 겉에는 SUS나 P.P로 하고 내측에는 납 3mm이상의 두께로 씌워서 만드는 것이 영구적이고 제일 실용적이다.
넷째, 액을 브로아 등을 사용하여 항상 희석시켜 주어야 한다.
요즈음 시중에서 사용하는 화학연마제는 반광택이나 고광택이든 일본 이화공업에서 제조한 S가 안정적이라고 권장하고 싶다. 이 액의 처리조건은 온도는 92~120℃이며 약품은 원액을 사용하고 시같은 20~180초 정도로 사용한다. 이 액의 건욕조건은 처음 건욕시 80℃정도에서 어느 정도의 용존 알루미늄량을 넣어줘야 제품에 타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쉬운 방법은 순도가 좋은 알루미늄을 용량이 1500L일 경우 5~6kg의 알루미늄을 집어넣어 녹아서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3.25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5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