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목차
Ⅰ.정신분석 상담의 이론적 개념
** prologue **
Ⅱ. 서 론
∴아동내담자 정보
∴ 내담자 사례
∴ 일반적 관찰
Ⅲ. 본 론
∴ 상담 진행 과정
1. 상담 첫 날 (검사 Ⅰ)
∴ 문장 완성 검사 (SCT)
∴ SCT 평점 기록지 및 해석
2. 상담 둘째 날 (검사 Ⅱ)
∴ 집-나무-사람 (H-T-P)
∴ 집-나무-사람 (H-T-P) 해석
3. 상담 셋째 날
4. 상담 넷째 날 (검사 Ⅲ )
∴ 동작성 가족화 (K-F-D)
∴아동용 주제 통각 검사 (CAT)
6. 상담 디섯 째 날
7. 상담 마지막 날 (6번째날)
Ⅲ.결론
** epilogue **
∴ 참고문헌
** prologue **
Ⅱ. 서 론
∴아동내담자 정보
∴ 내담자 사례
∴ 일반적 관찰
Ⅲ. 본 론
∴ 상담 진행 과정
1. 상담 첫 날 (검사 Ⅰ)
∴ 문장 완성 검사 (SCT)
∴ SCT 평점 기록지 및 해석
2. 상담 둘째 날 (검사 Ⅱ)
∴ 집-나무-사람 (H-T-P)
∴ 집-나무-사람 (H-T-P) 해석
3. 상담 셋째 날
4. 상담 넷째 날 (검사 Ⅲ )
∴ 동작성 가족화 (K-F-D)
∴아동용 주제 통각 검사 (CAT)
6. 상담 디섯 째 날
7. 상담 마지막 날 (6번째날)
Ⅲ.결론
** epilogue **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년 ( 3 )반 ( 3 )번 성 명: ( 이민규 )
1. 내가 가장 행복했던 때는 학교에서 소풍 갔을 때이다.
2. 내가 좀더 어렸다면 아빠가 업어주었을 것이다.
3. 나는 친구가 있었다면 좋을 것이다.
4. 다른 사람들은 나를 보면 안녕하세요 아줌마 아저씨 한다.
5. 우리 엄마는 돌아가셨어도 나는 엄마를 잊지 않을 것이다.
6. 나는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공상을 잘한다.
7. 나에게 가장 좋았던 일은 하윤이와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것이다.(하윤: 연하의 동성 친구)
8. 내가 제일 걱정하는 것은 할머니가 돌아가시는 일이다.
9. 대부분의 아이들은 좋은 친구들이다.
10. 내가 좀더 나이가 많다면 반장이 될 것이다.
11. 내가 가장 좋아하는 사람은 할머니와 할아버지와 아빠이다.
12. 내가 가장 싫어하는 사람은 박지혜다.(같은 반에 민규를 때리는 아이)
13. 우리 아빠는 좋은 아빠이다.
14. 내가 가장 무서워 하는 것은 강아지다.
15. 재가 가장 좋아하는 놀이는 꼭꼭숨어라 이다.
16. 내가 선생님이라면 애들 교육을 잘 할 것이다.
17. 내가 가장 가지고 싶은 것은 장난감 짱구시계이다.
18. 여자 애들은 나쁜 아이다.
19. 나의 좋은 점은 친구들이 나랑 같이 놀기 좋아하는 것이다.
20. 나는 때때로 사이가 좋다.
21. 내가 꾼 꿈 중에서 가장 좋은 꿈은 친구들과 같이 노는 것이다.
22. 나의 나쁜 점은 없다.
23. 나를 가장 슬프게 하는 것은 악마(→박지해).
24. 남자애들은 나쁘다. (이유: 지혜를 때리기 때문에)
25. 선생님들은 좋은 분이다.
26. 나를 가장 화나게 하는 것은 없다.
27. 나는 공부를 잘한다.
28. 내가 꾼 꿈 중에 제일 무서운 꿈은 없다.
29. 우리 엄마 아빠는 좋으신 분.
30. 나는 커서 장난감 기술자가 되고 싶다.
31. 내가 만일 먼 외딴 곳에 혼자 살게 된다면, 안좋다.
32. 내가 만일 먼 외딴 곳에서 혼자 살게 된다면, 할머니와 제일 같이 살고 싶다.
33. 내가 만일 동물로 변할 수 있다면 로봇이(가) 되고 싶다.
(불쌍한 사람을 도와줄 수 있다. 로봇은 변신이 가능하므로 동물도 될 수 있다.)
-검사의 실시-
둥근 테이블과 의자가 있고 사람이 드나드는 일이 적은 한 휴게시설에서 검사가 이루어졌다. 민규는 새로운 환경에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이 상황을 즐거워하는 편이었으며, 평소 친하게 지내는 이웃집 동생의 동행으로 더욱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검사 과정 중에는 협조적인 편이었으나 후반으로 갈수록 다소 지루해 하였으며, 마지막 즈음에는 귀찮은지 대충 대답해 버리는 경향이 있어 조금만 참았을 때 어떤 좋은 일이 있는지 알려줌으로써 주의를 환기하였다. 스스로 글씨를 쓸 수 있으나 아직 서투르기 때문에 검사지의 문항을 읽어주고, 빈 종이에 답을 쓸 수 있도록 하였다. 가끔 어떻게 쓰는 글자인지 묻기도 하였다.
-진행과정-
이미 시작 전에 만나서 함께 이동하며 약간의 친분은 있는 상황이었다. 간단하게 지금 할 활동을 설명하고, 방법을 알려주었다. 민규는 철자를 간간히 물어보았으며, 잘못 쓴 것은 깨끗이 다시 지우고서 여러 번 고쳐 써야 다음으로 넘어갔다.
상담자: 민규야, 지금부터 이 종이에 있는 것을 선생님이 불러 줄건데, 이건 아직 앞부분 내용만 있는 완성이 안된 글이야. 민규가 듣고, 뒤에 어떤 내용을 쓸건지 생각해 보고, 한 번 여기 종이에 써 볼래?
민 규: 음~네!
상담자: 그래, 그럼 1번부터 한 번 볼까? (민규가 가로로 놓인 A4용지에 1번이라고 적음) 내가 가장 행복했던 때는?
민 규: 어...(다 쓰고 주어진 문장부터 완성해서 읽음) 내가 행복했을 때는 학교에서 소풍 갔을 때.
상담자: 그럼 2번~ 내가 좀더 어렸다면...
민 규: 아빠가 업어주었다(한 자씩 쓰며 읽음).
상담자: 나는 친구가...
민 규: 있었다면 좋을 것이다.
상담자: 다른 사람들은 나를 보면...
민 규: 어.....어....
상담자: 다른 사람들이 민규를 보면 어떨 거 같아?
민 규: 안녕하세요. 아저씨 아줌마...
상담자: 5번 할께. 우리 엄마는...
민 규: (잠시 생각하더니) ‘셨‘자 어떻게 써요?(가르쳐 줌), 돌아가셨지만 나는 엄마를 잊지 않을거다(실제로는 돌아가지 않으셨음. 민규가 어렸을 때 집을 떠나셨다고 함).
상담자: 그래. 6번은 뭐냐면 나는...공상을 한다. 그러니까 민규는 어떤 공상을 하는지 쓰면 돼.
민 규: (한참 생각 후 쓴다. 철자 쓰는 법을 도와줌) 나는 장난감을 가지고 논다. 7번은요?
상담자: 나에게 가장 좋았던 일은?
민 규: 하윤(이웃의 친한 동생)이랑 같이 놀았을 때.
상담자: 그래, 하윤이랑 놀 때 좋았구나. 8번~은~ 뭘~까요?
민 규: 에헷(재미있어 함)
상담자: 8번은, 내가 제일 걱정하는 것은?
민 규: (서슴없이 씀) 어....할머니가...돌아가지...안았을 때....(할머니가 돌아가시지 않을까 걱정된다)
상담자: 9번, 대부분의 아이들은...
민 규: 좋은 친구들이다.
상담자: 10번, 내가 좀 더 나이가 많다면?
민 규: 반장이 될 거다. 11번도 쓸까요?
상담자: 그래 미리 써 두고 싶으면 해도 돼. 11번 부를께. 내가 가장 좋아하는 사람은?
민 규: 할머니와 할아버지와 아빠.
상담자: 내가 가장 싫어하는 사람은?
민 규: 어...박지혜요...
상담자: 왜 그 친구가 싫은데?
민 규: 풍선을 갖고 있었는데요, 나한테 물어보지도 않고 바꿨어요.
상담자: 그래서 기분이 어땠니?
민 규: 속상했어요.
상담자: 그랬구나...
민 규: 할머니한테 말했는데 안 혼내 줬어요. 선생님한테 얘기해서 선생님이 혼내줘서좋았어요.
상담자: 그래, 그래서 기분이 좋아졌구나...그럼 다음엔 몇 번이더라?
민 규: 어...십...삼번이요.
상담자: 그래, 십 삼번이구나. 뭐냐면, 우리 아빠는?
민 규: 아빠는...좋은 아빠다.
상담자: 14번. 내가 가장 무서워 하는 것은?
민 규: 없어요.
상담자: 음...선생님은 바퀴벌레가 무섭던데...
민 규: 아, 하나 있는데...강아지요.
상담자: 강아지? 어떻게 그렇게 생각하게 되었니?
민 규: 있잖아요. 강아지가 내가 뛰면
1. 내가 가장 행복했던 때는 학교에서 소풍 갔을 때이다.
2. 내가 좀더 어렸다면 아빠가 업어주었을 것이다.
3. 나는 친구가 있었다면 좋을 것이다.
4. 다른 사람들은 나를 보면 안녕하세요 아줌마 아저씨 한다.
5. 우리 엄마는 돌아가셨어도 나는 엄마를 잊지 않을 것이다.
6. 나는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공상을 잘한다.
7. 나에게 가장 좋았던 일은 하윤이와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것이다.(하윤: 연하의 동성 친구)
8. 내가 제일 걱정하는 것은 할머니가 돌아가시는 일이다.
9. 대부분의 아이들은 좋은 친구들이다.
10. 내가 좀더 나이가 많다면 반장이 될 것이다.
11. 내가 가장 좋아하는 사람은 할머니와 할아버지와 아빠이다.
12. 내가 가장 싫어하는 사람은 박지혜다.(같은 반에 민규를 때리는 아이)
13. 우리 아빠는 좋은 아빠이다.
14. 내가 가장 무서워 하는 것은 강아지다.
15. 재가 가장 좋아하는 놀이는 꼭꼭숨어라 이다.
16. 내가 선생님이라면 애들 교육을 잘 할 것이다.
17. 내가 가장 가지고 싶은 것은 장난감 짱구시계이다.
18. 여자 애들은 나쁜 아이다.
19. 나의 좋은 점은 친구들이 나랑 같이 놀기 좋아하는 것이다.
20. 나는 때때로 사이가 좋다.
21. 내가 꾼 꿈 중에서 가장 좋은 꿈은 친구들과 같이 노는 것이다.
22. 나의 나쁜 점은 없다.
23. 나를 가장 슬프게 하는 것은 악마(→박지해).
24. 남자애들은 나쁘다. (이유: 지혜를 때리기 때문에)
25. 선생님들은 좋은 분이다.
26. 나를 가장 화나게 하는 것은 없다.
27. 나는 공부를 잘한다.
28. 내가 꾼 꿈 중에 제일 무서운 꿈은 없다.
29. 우리 엄마 아빠는 좋으신 분.
30. 나는 커서 장난감 기술자가 되고 싶다.
31. 내가 만일 먼 외딴 곳에 혼자 살게 된다면, 안좋다.
32. 내가 만일 먼 외딴 곳에서 혼자 살게 된다면, 할머니와 제일 같이 살고 싶다.
33. 내가 만일 동물로 변할 수 있다면 로봇이(가) 되고 싶다.
(불쌍한 사람을 도와줄 수 있다. 로봇은 변신이 가능하므로 동물도 될 수 있다.)
-검사의 실시-
둥근 테이블과 의자가 있고 사람이 드나드는 일이 적은 한 휴게시설에서 검사가 이루어졌다. 민규는 새로운 환경에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이 상황을 즐거워하는 편이었으며, 평소 친하게 지내는 이웃집 동생의 동행으로 더욱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검사 과정 중에는 협조적인 편이었으나 후반으로 갈수록 다소 지루해 하였으며, 마지막 즈음에는 귀찮은지 대충 대답해 버리는 경향이 있어 조금만 참았을 때 어떤 좋은 일이 있는지 알려줌으로써 주의를 환기하였다. 스스로 글씨를 쓸 수 있으나 아직 서투르기 때문에 검사지의 문항을 읽어주고, 빈 종이에 답을 쓸 수 있도록 하였다. 가끔 어떻게 쓰는 글자인지 묻기도 하였다.
-진행과정-
이미 시작 전에 만나서 함께 이동하며 약간의 친분은 있는 상황이었다. 간단하게 지금 할 활동을 설명하고, 방법을 알려주었다. 민규는 철자를 간간히 물어보았으며, 잘못 쓴 것은 깨끗이 다시 지우고서 여러 번 고쳐 써야 다음으로 넘어갔다.
상담자: 민규야, 지금부터 이 종이에 있는 것을 선생님이 불러 줄건데, 이건 아직 앞부분 내용만 있는 완성이 안된 글이야. 민규가 듣고, 뒤에 어떤 내용을 쓸건지 생각해 보고, 한 번 여기 종이에 써 볼래?
민 규: 음~네!
상담자: 그래, 그럼 1번부터 한 번 볼까? (민규가 가로로 놓인 A4용지에 1번이라고 적음) 내가 가장 행복했던 때는?
민 규: 어...(다 쓰고 주어진 문장부터 완성해서 읽음) 내가 행복했을 때는 학교에서 소풍 갔을 때.
상담자: 그럼 2번~ 내가 좀더 어렸다면...
민 규: 아빠가 업어주었다(한 자씩 쓰며 읽음).
상담자: 나는 친구가...
민 규: 있었다면 좋을 것이다.
상담자: 다른 사람들은 나를 보면...
민 규: 어.....어....
상담자: 다른 사람들이 민규를 보면 어떨 거 같아?
민 규: 안녕하세요. 아저씨 아줌마...
상담자: 5번 할께. 우리 엄마는...
민 규: (잠시 생각하더니) ‘셨‘자 어떻게 써요?(가르쳐 줌), 돌아가셨지만 나는 엄마를 잊지 않을거다(실제로는 돌아가지 않으셨음. 민규가 어렸을 때 집을 떠나셨다고 함).
상담자: 그래. 6번은 뭐냐면 나는...공상을 한다. 그러니까 민규는 어떤 공상을 하는지 쓰면 돼.
민 규: (한참 생각 후 쓴다. 철자 쓰는 법을 도와줌) 나는 장난감을 가지고 논다. 7번은요?
상담자: 나에게 가장 좋았던 일은?
민 규: 하윤(이웃의 친한 동생)이랑 같이 놀았을 때.
상담자: 그래, 하윤이랑 놀 때 좋았구나. 8번~은~ 뭘~까요?
민 규: 에헷(재미있어 함)
상담자: 8번은, 내가 제일 걱정하는 것은?
민 규: (서슴없이 씀) 어....할머니가...돌아가지...안았을 때....(할머니가 돌아가시지 않을까 걱정된다)
상담자: 9번, 대부분의 아이들은...
민 규: 좋은 친구들이다.
상담자: 10번, 내가 좀 더 나이가 많다면?
민 규: 반장이 될 거다. 11번도 쓸까요?
상담자: 그래 미리 써 두고 싶으면 해도 돼. 11번 부를께. 내가 가장 좋아하는 사람은?
민 규: 할머니와 할아버지와 아빠.
상담자: 내가 가장 싫어하는 사람은?
민 규: 어...박지혜요...
상담자: 왜 그 친구가 싫은데?
민 규: 풍선을 갖고 있었는데요, 나한테 물어보지도 않고 바꿨어요.
상담자: 그래서 기분이 어땠니?
민 규: 속상했어요.
상담자: 그랬구나...
민 규: 할머니한테 말했는데 안 혼내 줬어요. 선생님한테 얘기해서 선생님이 혼내줘서좋았어요.
상담자: 그래, 그래서 기분이 좋아졌구나...그럼 다음엔 몇 번이더라?
민 규: 어...십...삼번이요.
상담자: 그래, 십 삼번이구나. 뭐냐면, 우리 아빠는?
민 규: 아빠는...좋은 아빠다.
상담자: 14번. 내가 가장 무서워 하는 것은?
민 규: 없어요.
상담자: 음...선생님은 바퀴벌레가 무섭던데...
민 규: 아, 하나 있는데...강아지요.
상담자: 강아지? 어떻게 그렇게 생각하게 되었니?
민 규: 있잖아요. 강아지가 내가 뛰면
추천자료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상담이론과실제(정신분석적 측면의 상담)
[각 학파의 성격과 상담이론 관계 비교] 정신분석이론, 현상학이론, 행동주의이론, 인지주의...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정신분석적 인간이해와 심리적 문제에 대한 이해 및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아동상담이론중 정신분석이론(또는 아동기감정양식)에 대해서와 그 이론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2014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인지상담이론 비교)
2015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인지상담이론 비교)
2015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인지상담이론 비교)
가족상담및치료4공통) 정신분석이론의 전제와 주요 개념을 설명한 뒤, 이 이론이 가족상담 및...
상담이론과 상담과정(특성요인상담, 지시적 상담, 정신분석이론의 상담, 인간중심상담, 행동...
2018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 인간중심, 게슈탈트 상담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