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대외정책의 목표와 기본이념
II. 대외정책 결정 및 집행기구
III. 대외정책 변천과정 개괄
IV. 대외 정책의 전개과정
V. 북한 대외 정책의 특징 및 대외관계 현황
II. 대외정책 결정 및 집행기구
III. 대외정책 변천과정 개괄
IV. 대외 정책의 전개과정
V. 북한 대외 정책의 특징 및 대외관계 현황
본문내용
83.10 버마 아웅산 폭파사건으로 인한 외교적 난관극복
- 1984.1 남북한 미국의 3자 회담 제의
- 1984.9 합영법 채택을 통해 서방의 기술과 자본도입의 길을 열어놓음
IV.대외 정책의 전개과정 <북한 정치론, 한국정치연구회,백산서당>
1. 대 사회주의권 정책
-북한과 이념과 체제를 같이하는 사회주의 국가들은 기본적으로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사회주의혁명의 동맹세력이라는 점에서 북한의 대외정책에서의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해 왔다.
-‘자주성과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원칙’에 기초하여 단결<1980년 개정된 노동당 규약>
- 그러나 이들 국가와의 관계가 순탄하게 지속되어 온 것은 아니며, 주로 소련과의 관계여하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
1) 중국과 소련
- 중국과 소련은 지리적, 역사적으로뿐만 아니라 정치, 군사적, 경제적으로도 북한에 가장 중요한 국가들이다.
- 하지만 이들이 이념적, 영토적인 이유로 장기간 대결 상태를 지속함으로 인해서 북한의 입장은 어려울 수 밖에 없었고 이에 북한은 자주노선을 천명, 추진해 왔다.
- 북한의 대 중소 관계 변화
.1950년 이전: 중소 친선관계 유지에 따라 정권 수립과 전후 복구에 있어 대대적인 지원을 받음
.1956.2 스탈린 격하와 평화공존정책을 주 내용으로 하는 후르시초프의 소련 공산당 20차 대회 연설은 혁명의 공고화 단계에서 계급투쟁과 반제국주의 투쟁을 강화하던 중국의 입장과는 대치
.1961.7 조소,조중간 우호 협력 및 상호원조조약 체결
.1962.3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4기 제3차 전원회의 ‘소련의 평화공존정책’비판
.1962.12 4대군사노선 채택, 소련의 수정주의 비판, 소련은 북한에 대한 경제적, 군사적 지원 중단
.1964.10 브레즈네프와 코시킨 집권 후 관계 정상화
.1966.8 자주노선 선언, 중국을 교조주의, 제국주의자와 입으로만 싸우는 자라고 비판
.1967 중국도 홍위병을 통해 김일과가 북한을 비난
.중국과 북한의 소원한 관계는 1970.4 주은래의 북한 방문을 계기로 획기적으로 개선
- 1970년 이후로 중국과 소련에 대한 북한의 정책은 한층 안정되었다. 북한은 자주노선에 입각하여 대중소 정책을 전개하고 있으며 고위급 인사의 빈번한 교류 등을 통해 이들과의 이념적, 실질적인 협조를 계속해 오고 있다.
2)동유럽 국가들
- 북한과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 간의 관계는 북한 소련관계의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 정권 수립
- 1984.1 남북한 미국의 3자 회담 제의
- 1984.9 합영법 채택을 통해 서방의 기술과 자본도입의 길을 열어놓음
IV.대외 정책의 전개과정 <북한 정치론, 한국정치연구회,백산서당>
1. 대 사회주의권 정책
-북한과 이념과 체제를 같이하는 사회주의 국가들은 기본적으로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사회주의혁명의 동맹세력이라는 점에서 북한의 대외정책에서의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해 왔다.
-‘자주성과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원칙’에 기초하여 단결<1980년 개정된 노동당 규약>
- 그러나 이들 국가와의 관계가 순탄하게 지속되어 온 것은 아니며, 주로 소련과의 관계여하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
1) 중국과 소련
- 중국과 소련은 지리적, 역사적으로뿐만 아니라 정치, 군사적, 경제적으로도 북한에 가장 중요한 국가들이다.
- 하지만 이들이 이념적, 영토적인 이유로 장기간 대결 상태를 지속함으로 인해서 북한의 입장은 어려울 수 밖에 없었고 이에 북한은 자주노선을 천명, 추진해 왔다.
- 북한의 대 중소 관계 변화
.1950년 이전: 중소 친선관계 유지에 따라 정권 수립과 전후 복구에 있어 대대적인 지원을 받음
.1956.2 스탈린 격하와 평화공존정책을 주 내용으로 하는 후르시초프의 소련 공산당 20차 대회 연설은 혁명의 공고화 단계에서 계급투쟁과 반제국주의 투쟁을 강화하던 중국의 입장과는 대치
.1961.7 조소,조중간 우호 협력 및 상호원조조약 체결
.1962.3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4기 제3차 전원회의 ‘소련의 평화공존정책’비판
.1962.12 4대군사노선 채택, 소련의 수정주의 비판, 소련은 북한에 대한 경제적, 군사적 지원 중단
.1964.10 브레즈네프와 코시킨 집권 후 관계 정상화
.1966.8 자주노선 선언, 중국을 교조주의, 제국주의자와 입으로만 싸우는 자라고 비판
.1967 중국도 홍위병을 통해 김일과가 북한을 비난
.중국과 북한의 소원한 관계는 1970.4 주은래의 북한 방문을 계기로 획기적으로 개선
- 1970년 이후로 중국과 소련에 대한 북한의 정책은 한층 안정되었다. 북한은 자주노선에 입각하여 대중소 정책을 전개하고 있으며 고위급 인사의 빈번한 교류 등을 통해 이들과의 이념적, 실질적인 협조를 계속해 오고 있다.
2)동유럽 국가들
- 북한과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 간의 관계는 북한 소련관계의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 정권 수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