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행문] 진주성 답사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행문] 진주성 답사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며

II. 진주성, 그리고 논개.

III. 맺으며

본문내용

년(995)에 진주로 비로소 바뀌었다. 진주성은 옛기록에는 촉석성으로 불렸던 것으로 석축으로 된 성의 둘레가 약 1,321m (4,359척), 높이는 약 5m (15척)이며, 성안에 우물과 샘이 각각 3개가 있으며, 군창이 있다고 한다. 이보다 앞서서 동국여지승람에 실린 하륜(1347~1416)의 성문기에 보면 성이 옛터만 남아 언제 쌓은 것인지 알 수 없는데, 왜구의 침입이 빈번하여 고려 우왕 3년(1377) 가을에 성을 수리하였다고 했다. 이때 성의 둘레는 800보이고 성벽의 높이는 약 8m를 넘고, 의정문(서쪽), 지제문(북쪽), 예화문(남쪽)이 있었으며, 성밖은 서쪽에는 청천이, 남쪽에는 긴 강(남강)이 흘렀으며, 북쪽에는 못이 있는데 성과 못사이에는 참호를 팠다고 했다. 이처럼 고려말에 왜구방어의 보루로 고쳐 쌓은 이성은 조선 선조 25년 (1592)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호남으로 진출하려는 왜적을 막는 관문이 되었다. 인진왜란 3대첩의 하나로 제 1 차 진주성 싸움을 드는 것은 적은 군사로 10배에 가까운 왜적을 물리쳤을 뿐 아니라, 이성을 지킴으로써 호남을 지킬 수 있었던 때문이다. 제 2 차 진주성 싸움에서 중과부적인 줄 알면서도 7만여명의 군관민 전원이 전사하는 비운을 당한 것도, 그들 모두가 한 목숨 내던져 이 성을 지킴으로 왜군의 호남진출을 막고자 했었던 까닭이다. 1979년부터 정화사업을 펼쳐 진주성은 지금의 모습으로 단장되었다.
굳이, 위 내용을 읽지 아니하더러도 필자를 비롯한 우리들은 진주성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왜군의 호남진출을 막고자 고군분투한 진주성민들을 어찌 잊을 수가

키워드

진주성,   답사기,   기행문,   논개,   진주,   ,   장군,   촉석루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3.28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12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