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게는 20대조, 상대에게는 19대조이면 2촌×20대=40촌에서 1촌을 빼면 39촌이 된다. 이 경우 상대는 아저씨뻘이 되는 것이다.
민법의 촌수 계산에 관한 규정
①방계 혈족은 자기로부터 동원(同源)의 직계 존속에 이르는 세수와 그 동원의 직계 존속으로부터 그 직계 비속에 이르는 세수를 통산하여 그 촌수를 정한다 ②인척은 배우자의 혈족에 대하여는 배우자의 그 혈족에 대한 촌수에 따르고, 혈족의 배우자에 대하여는 그 혈족에 대한 촌수를 따른다. ③양자와 양부모 및 그 혈족·인척 간의 촌수는 입양한 때부터 혼인 중의 출생자의 경우와 동일한 것으로 본다. ④양자의 배우자·직계비속과 그 배우자는 양자의 친계를 기준으로 하여 촌수를 정한다
(2) 친척 문화와 친척 윤리
◇ 수업 목표 ◇
2. 전통 사회에서의 친척 문화와 친척 윤리를 이해하고, 그 현대적 의의 와 가치를 설명할 수 있다.
2-1 친척 문화의 상징인 가문과 족보의 의의와 내용을 말할 수 있다.
2-2 전통 사회에서 친척 윤리의 내용을 열거할 수 있다.
2-3 전통적인 친척 문화가 현대에서 어떻게 변형되었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1)가문과 족보
①전통 사회의 사람들은 가정에 별도로 가묘를 세우고 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고 의례를 서행: 조상의 신주는 가통와 가문의 상징
② 가통과 가문의 역사를 통해 나의 유한한 생명을 우리의 영원한 생명으로 전환함으로써 죽어도 죽지 않는 삶을 꿈꿀 수 있었다.
③가문
-당내간(堂內間): 8촌 이내의 동성(同姓)친척 집안
-일가(一家), 종인(宗人): 8촌을 벗어난 동성(同姓)친척으로 이뤄진 집안
④족보에는 동일한 세대의 이름에 항렬을 사용하여 공통성을 부여
-처음에는 형제나 4촌 형제처럼 가까운 사람들만이 사용하였으나 점차 확대
-항렬은 가문 내에서 먼 친척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세대의 높고 낮음을 나타내는 길잡이 역할
⑤족보: 우리 민족이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계통을 따질 수 있는 민족으로 손꼽히는 이유
※한국의 족보(族譜)문화
족보의 시간(始刊)이 곧 동족(同族)의 성립 내지 발달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8촌이 동족의 최소의 단위라 한다면, 통제성과 조직성을 가진 동족의 출현은 17세기 이후
17세기 이후 선남후녀의 서열 사상, 장남에게 더 많은 재산을 상속하는 사회적 환경, 제사를 장자에게만 한정·고정시키는 사회적 상황, 대동 항렬의 제정 등으로 조선 후기의 동족은 집단성과 통제성을 지닌 성격을 띠게 된 것
족보는 사문서이지만 공문서의 성격도 지닌다.
① 족보의 기록을 통하여 자기 조상의 업적을 배우고 종중(宗中)의 협동과 상부상조, 그리고 교화의 구실을 하는 면에서는 단순한 가계 기록 이상의 사회 통합적 순기능도 지닌다. ② 동성불혼(同姓不婚)의 관습에 따른 판단 자료가 되기도 하는 법률적 효용성
③ 여러 종중의 족보 기록을 통하여 우리나라 전통 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규명하는 데도 활용
위보(僞譜)의 폐해
2) 친척 윤리
1. 친척 윤리의 중요성
(1) 친척간의 유대
① 친척: 생명의 뿌리를 함께 하므로 강한 일체감
② 친척간의 질서는 친소와 세대가 질서의 기준임
·친소(親疎) :혈연의 가깝고 먼 관계
·세대(世代) : 항렬(行列)의 높고 낮은 관계
③ 친척 윤리의 변화
- 조선 초기의 친척 윤리: 아들과 딸, 장자와 차자 등을 크게 차별하지 않음
-성리학이 심화되고 종법의식이 강화되고 사대봉제사(직계 4대조인 고조까지 제사를 지내는 것)가 일반화됨에 따라 남자가 혼인 이후에 처가에서 머무르는 기간이 줄어들게 되었고, 자녀와 외가의 관계 또한 멀어지게 되었다.
※종법
종법은 중국 주나라 때 성립한 종족(宗族)의 조직 규정
① 대종은 제후(諸侯)의 적장자(嫡長子) 이외의 아들을 별자(別子)로 하여 조(祖로) 삼고, 적장자 상속으로 무한히 이어져 가도록 한 가계(家系)
②소종은 대종의 집안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적장자 자손의 남동생들이 세운 가계
③주나라의 천자로부터 분봉된 제후는 대종인 주나라 왕에 대해 소종이 되었다.
④주나라는 종법에 입각한 질분 질서를 봉건 제도에 도입
종가의 가장은 종주가 되어 조상의 제사를 받드는 종묘를 모셨으며, 모든 족인들을 총괄하였다.
3) 현대 사회와 친척 문화
① 1960년대:직계 가족이 일반화 됨
② 1970년대 산업화로 핵가족화가 진행되고, 핵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친척의 규모가 축소됨
③ 1980년대 이후 두 자녀 이하가 일반화됨
(3) 장유와 노인 공경
◇ 수업 목표 ◇
3.조상들의 노인 공경의 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계승하기 위한 노력한다.
3-1 전통 사회에서 윗사람의 사회적 지위를 설명할 수 있다.
3-2 전통 사회에서 노인 공경의 사례를 열거할 수 있다.
3-3 전통적인 노인 공경의 문화를 현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1)장유와 공경
① 나이차이에 의한 장유의 질서를 매우 강조함
- 장유의 질서는 하늘이 내린 것으로 파악함
- 나이가 드는 것은 경험과 지혜가 풍부해지는 것으로 봄
② 전통사회에서의 어른:성인(成人)은 완성된 사람으로 아이들의 본보기가 되어야 함
- 아이들은 성인(成人)을 본받음으로써 인격자가 된다고 봄 → 배움(學) = 본받는 일
- 마을마다 어른중의 어른이 존재하여 모든 이들의 모범이 됨
- 관례를 치르면 어른 대접을 받으며 큰 영광으로 생각함
- 관례 후에는 자(字)로 불리게 됨
※전통 사회에서의 이름의 종류
-아명(兒名) : 관례를 치르기 전 어린아이 때의 이름으로, 서민층에서는 천하게 짓기도 하였다.
-관명(官名,족보명) : 호적이나 족보에 올리는 공식 이름으로, 항렬자를 넣어 이름을 짓는다.
-자(字) : 관례를 할 때에 관자라 해서 지어주는 별명으로, 공식적인 관명을 존중하기 위해서 어른이나 친구들이 부르게 된다. 아랫사람들은 웃\'어른의 자를 부를 수 없었다.
-호(號,아호): 아랫사람도 부를 수 있는 별명으로 자신이 짓기도 남이 지어주기도 하며, 사는 집이나 고장의 이름으로 짓기도 하고, 자기를 경계하거나 희망을 나타내기도 한다
-시호(諡號): 죽은 후에 생시의 공적이나 학덕을 기려 국왕이 내리는 것이 일반적으로 정이품이상이나 공신에게 내렸다.
-여자도 학문과
민법의 촌수 계산에 관한 규정
①방계 혈족은 자기로부터 동원(同源)의 직계 존속에 이르는 세수와 그 동원의 직계 존속으로부터 그 직계 비속에 이르는 세수를 통산하여 그 촌수를 정한다 ②인척은 배우자의 혈족에 대하여는 배우자의 그 혈족에 대한 촌수에 따르고, 혈족의 배우자에 대하여는 그 혈족에 대한 촌수를 따른다. ③양자와 양부모 및 그 혈족·인척 간의 촌수는 입양한 때부터 혼인 중의 출생자의 경우와 동일한 것으로 본다. ④양자의 배우자·직계비속과 그 배우자는 양자의 친계를 기준으로 하여 촌수를 정한다
(2) 친척 문화와 친척 윤리
◇ 수업 목표 ◇
2. 전통 사회에서의 친척 문화와 친척 윤리를 이해하고, 그 현대적 의의 와 가치를 설명할 수 있다.
2-1 친척 문화의 상징인 가문과 족보의 의의와 내용을 말할 수 있다.
2-2 전통 사회에서 친척 윤리의 내용을 열거할 수 있다.
2-3 전통적인 친척 문화가 현대에서 어떻게 변형되었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1)가문과 족보
①전통 사회의 사람들은 가정에 별도로 가묘를 세우고 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고 의례를 서행: 조상의 신주는 가통와 가문의 상징
② 가통과 가문의 역사를 통해 나의 유한한 생명을 우리의 영원한 생명으로 전환함으로써 죽어도 죽지 않는 삶을 꿈꿀 수 있었다.
③가문
-당내간(堂內間): 8촌 이내의 동성(同姓)친척 집안
-일가(一家), 종인(宗人): 8촌을 벗어난 동성(同姓)친척으로 이뤄진 집안
④족보에는 동일한 세대의 이름에 항렬을 사용하여 공통성을 부여
-처음에는 형제나 4촌 형제처럼 가까운 사람들만이 사용하였으나 점차 확대
-항렬은 가문 내에서 먼 친척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세대의 높고 낮음을 나타내는 길잡이 역할
⑤족보: 우리 민족이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계통을 따질 수 있는 민족으로 손꼽히는 이유
※한국의 족보(族譜)문화
족보의 시간(始刊)이 곧 동족(同族)의 성립 내지 발달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8촌이 동족의 최소의 단위라 한다면, 통제성과 조직성을 가진 동족의 출현은 17세기 이후
17세기 이후 선남후녀의 서열 사상, 장남에게 더 많은 재산을 상속하는 사회적 환경, 제사를 장자에게만 한정·고정시키는 사회적 상황, 대동 항렬의 제정 등으로 조선 후기의 동족은 집단성과 통제성을 지닌 성격을 띠게 된 것
족보는 사문서이지만 공문서의 성격도 지닌다.
① 족보의 기록을 통하여 자기 조상의 업적을 배우고 종중(宗中)의 협동과 상부상조, 그리고 교화의 구실을 하는 면에서는 단순한 가계 기록 이상의 사회 통합적 순기능도 지닌다. ② 동성불혼(同姓不婚)의 관습에 따른 판단 자료가 되기도 하는 법률적 효용성
③ 여러 종중의 족보 기록을 통하여 우리나라 전통 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규명하는 데도 활용
위보(僞譜)의 폐해
2) 친척 윤리
1. 친척 윤리의 중요성
(1) 친척간의 유대
① 친척: 생명의 뿌리를 함께 하므로 강한 일체감
② 친척간의 질서는 친소와 세대가 질서의 기준임
·친소(親疎) :혈연의 가깝고 먼 관계
·세대(世代) : 항렬(行列)의 높고 낮은 관계
③ 친척 윤리의 변화
- 조선 초기의 친척 윤리: 아들과 딸, 장자와 차자 등을 크게 차별하지 않음
-성리학이 심화되고 종법의식이 강화되고 사대봉제사(직계 4대조인 고조까지 제사를 지내는 것)가 일반화됨에 따라 남자가 혼인 이후에 처가에서 머무르는 기간이 줄어들게 되었고, 자녀와 외가의 관계 또한 멀어지게 되었다.
※종법
종법은 중국 주나라 때 성립한 종족(宗族)의 조직 규정
① 대종은 제후(諸侯)의 적장자(嫡長子) 이외의 아들을 별자(別子)로 하여 조(祖로) 삼고, 적장자 상속으로 무한히 이어져 가도록 한 가계(家系)
②소종은 대종의 집안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적장자 자손의 남동생들이 세운 가계
③주나라의 천자로부터 분봉된 제후는 대종인 주나라 왕에 대해 소종이 되었다.
④주나라는 종법에 입각한 질분 질서를 봉건 제도에 도입
종가의 가장은 종주가 되어 조상의 제사를 받드는 종묘를 모셨으며, 모든 족인들을 총괄하였다.
3) 현대 사회와 친척 문화
① 1960년대:직계 가족이 일반화 됨
② 1970년대 산업화로 핵가족화가 진행되고, 핵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친척의 규모가 축소됨
③ 1980년대 이후 두 자녀 이하가 일반화됨
(3) 장유와 노인 공경
◇ 수업 목표 ◇
3.조상들의 노인 공경의 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계승하기 위한 노력한다.
3-1 전통 사회에서 윗사람의 사회적 지위를 설명할 수 있다.
3-2 전통 사회에서 노인 공경의 사례를 열거할 수 있다.
3-3 전통적인 노인 공경의 문화를 현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1)장유와 공경
① 나이차이에 의한 장유의 질서를 매우 강조함
- 장유의 질서는 하늘이 내린 것으로 파악함
- 나이가 드는 것은 경험과 지혜가 풍부해지는 것으로 봄
② 전통사회에서의 어른:성인(成人)은 완성된 사람으로 아이들의 본보기가 되어야 함
- 아이들은 성인(成人)을 본받음으로써 인격자가 된다고 봄 → 배움(學) = 본받는 일
- 마을마다 어른중의 어른이 존재하여 모든 이들의 모범이 됨
- 관례를 치르면 어른 대접을 받으며 큰 영광으로 생각함
- 관례 후에는 자(字)로 불리게 됨
※전통 사회에서의 이름의 종류
-아명(兒名) : 관례를 치르기 전 어린아이 때의 이름으로, 서민층에서는 천하게 짓기도 하였다.
-관명(官名,족보명) : 호적이나 족보에 올리는 공식 이름으로, 항렬자를 넣어 이름을 짓는다.
-자(字) : 관례를 할 때에 관자라 해서 지어주는 별명으로, 공식적인 관명을 존중하기 위해서 어른이나 친구들이 부르게 된다. 아랫사람들은 웃\'어른의 자를 부를 수 없었다.
-호(號,아호): 아랫사람도 부를 수 있는 별명으로 자신이 짓기도 남이 지어주기도 하며, 사는 집이나 고장의 이름으로 짓기도 하고, 자기를 경계하거나 희망을 나타내기도 한다
-시호(諡號): 죽은 후에 생시의 공적이나 학덕을 기려 국왕이 내리는 것이 일반적으로 정이품이상이나 공신에게 내렸다.
-여자도 학문과
추천자료
(요약)원가회계핵심 요약정리
매직트리 요약정리 및 독후감[매직트리 요약정리][매직트리 독후감][매직트리독서감상문][매...
마태복음 요약정리 및 분석 - 마태복음 내용요약, 주요사상, 저자문제, 분석
1)이상행동의 설명모델에 대해 요약정리 2)동기와 다양한 동기 이론에 대해 요약정리
국민건강보험제도 5페이지 요약정리 요점정리 보고서
사회복지정책의 발달론과 전개과정 요약정리, 요점정리 보고서
고용보험(실업대책, 고용보험제도, 고용보험사업, 고용안정, 직업능력개발, 실업급여사업, 모...
사회복지공동모금회(필요성, 목적, 사회적기능, 사회복지공동모금제도, 배분, 장단점) 요약정리
21세기 문화트렌드 읽기 2주차 요약정리 (2주차 강의 동영상 요약 정리 및 과제풀이)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
국제협상전략과 전술 요약정리 보고서(국제협상, 국제협상전술, 단원요약정리)
CRM 요약정리 레포트(CRM요약정리, 고객관계관리요약정리, 고객관계관리)
창업론 요약정리 레포트(SWOT분석, STP란, 마케팅믹스4P, 손익분기점)이론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