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 SSAT 기출 상식 및 일반 상식 + 영삼성 지식플러스 용어 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식] SSAT 기출 상식 및 일반 상식 + 영삼성 지식플러스 용어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경제/금융/경영/산업

- 미디어/과학/IT

- 사회일반/노동/환경

- 세계사 (고대, 중세, 근대/현대)

- 문화/예능/예술

- 정치/외교/통일/법률

- 한국사 (고대/삼국, 고려, 조선. 근대/현대)

- 윤리

- 영삼성 지식플러스

본문내용

다.
◆ 제4부(第四府)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언론. 그 기능ㆍ역할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3부와 견줄 만한 위치에 있다 하여 생긴 말이다.
[참고] 제4계급 : 저널리스트들에 대한 별칭으로, 1928년 영국의 메콜레이 경이 기자석을 가리키며 한 말에서 유래되었다.
◆ 의존효과이론(dependency theory)
사람들이 미디어에 다양하게 의존하고 있는데 이러한 의존성은 개인마다, 집단마다, 문화마다 다양하다는 것. 이 이론에 따르면 언론매체의 효과는 수용자가 언론매체를 신뢰하여 의존정도가 높을 때, 수용자가 속한 사회가 겪는 갈등의 정도가 클 때, 언론 매체가 정보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때 커지며 언론매체가 수용자의 인지와 정서, 태도, 행동에 미친 효과는 피드백 되어 사회구조와 언론매체를 변화시킨다.
◆ 탄환이론(bullet theory)
대중매체가 수용자에게 메시지를 주입하면 효과가 직접적이고 강력하게 나타난다는 것. 피하주사식 이론, 기계적 자극반응이론, 언론매체의 강화효과이론이라고도 한다.
◆ 제한효과이론
대중 매체의 효과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입장으로 탄환이론에 대한 반성으로 제기되었다. 이 이론의 기본전제는 대중매체는 여러 중개변인과 연관되어 그 기능과 영향력을 발휘하며 유일한 원인으로서가 아니라 하나의 기여자로서 수용자의 기존 자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기능한다는 것이다
◆ 정보획득이론
현대사회에서 언론매체는 직접 접촉하여 경험할 수 없는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전달해 주는 수단으로서 사람들이 무엇을 알고 있는가에 대해 강력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 이 이론에 따르면 언론매체의 목적은 설득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정보나 오락을 제공하는 데 있다.
◆ 엑세스권(right of access)
매스미디어에 자유롭게 접근하여 이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 ‘엑세스권’은 신문ㆍ방송 등의 매스미디어가 거대화ㆍ독점화한 현대에서 언론의 자유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회적 문제에 대해 의견 또는 이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매스미디어에 엑세스하여 이를 이용하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엑세스권을 실현시키는 방법으로는 신문이나 방송에 대한 반론권, 의견광고, 신문에 대한 투서, 방송의 시청자 참가 프로그램, 매스 미디어에 대한 비판 등을 들 수 있다.
◆ 저널리즘
매스 미디어를 통해 공공적인 사실이나 사건에 관한 정보를 보도하고 논평하는 활동. 특히 시사 문제의 보도ㆍ논평의 사회적 전달활동을 뜻한다.
◆ 옐로저널리즘
신문 발행 시에 더 많은 독자를 끌고 부수를 늘리기 위해 야비하고 저속한 특정기사나 선정적인 뉴스에 역점을 두는 보도나 논조. 이 용어는 1890년대에 뉴욕시의 ‘월드’지와 ‘저널’지 간에 벌어진 치열한 경쟁에서 사용된 술수들을 지칭한 데서 생겨났다.
◆ 블랙저널리즘
감추어진 이면적 사실을 드러내는 정보활동의 영역. 일반에게 드러난 저널리즘이 그 역할을 제대로 해내지 못할 때 성행한다. 특정한 조직 집단이나 개인이 가지고 있는 약점을 확보하여 공개 보도하겠다고 위협하거나, 특정한 이익을 위하여 보도해서 이득을 얻으려 한다. 사회 비판 역할을 맡기도 하나 정당한 재정적 뒷받침이 부족하여 정당이나 재벌에게 이용당하기 쉽다.
◆ 뉴저널리즘
1960년대부터 미국에서 논의의 중심이 되었던 보도양식의 변혁을 일컫는 말. 그것은 종래보도에서의 기본율이 되어 온 속보ㆍ객관성ㆍ간결성을 거부하려는 경향으로 흘러, 픽션의 기법으로 주관적 현실을 묘사하며 레그 워크에 중점을 두는 심층보도를 지향한다.
◆ 르포르타주(reportage)
특별한 사건이나 현장에 있어서의 체험 등을 소재로 하여 보고자의 주관을 섞지 않고 객관적으로 서술한 문장으로 소재의 생동감과 박진감을 생명으로 한다.
◆ 다큐멘터리
연출되지 않은 실제 사건의 재현이나 기록으로, 기록영화ㆍ실록소설ㆍ방송을 뜻한다. 뉴스 영화와 같이 일반적인 드라마와는 달리 허구나 극적인 내용을 갖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캠페인
문화인이나 노동조합들이 정치영역의 활동을 한다거나, 매스컴 자체 내에서 사회 계몽운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참고] 프레스(press) 캠페인 : ‘자연보호운동’ ‘청소년 선도를 위한 제언’ 등 특별한 사회문제나 정치문제를 적극적으로 취급하여 이의 개선이나 촉진운동을 벌이는 것을 말한다.
◆ PR (public relations)
원래는 관청ㆍ기업체 등이 대중에게 그 사업내용이 공공의 이익을 위하는 데 있다는 취지를 알리는 것을 말했으나, 오늘날에는 생산업자나 기업체가 고객에게 상품의 질을 자세히 설명해 줌으로써 간접적으로 매상을 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 커머셜 프로그램
민간방송에서 방송에 소요되는 비용을 스폰서가 부담하는 프로그램.
[참고] 스폰서 : 보증인, 후원자, 주최측 등 여러 의미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등의 광고주를 말한다.
◆ 갤럽(Gallup)
미국의 정치학자 갤럽 박사가 1935년 프린스턴 대학 내에 설치한 것으로, 현재 미국은 물론 전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여론조사기관의 하나이다.
◆ 핫 미디어ㆍ쿨 미디어
라디오ㆍ영화ㆍ활자 등 표면상으로는 정보량이 많으나 대상들에게 감정의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을 핫 미디어라고 하고 TVㆍ전화ㆍ만화 등을 쿨 미디어라 한다. 즉 핫 미디어는 수신자의 참가의식이 약하나 쿨 미디어는 수신자측이 보완하는 부분이 크다.
◆ 데스크(desk)
일반적으로 사건을 담당하는 책임 기자를 일컫는 말. 취재를 지시하거나 뉴스 원고를 받아 기사를 작성하는 각 부의 차장을 지칭하기도 한다.
◆ 데드라인(deadline)
취재된 기사를 편집부에 넘겨야 하는 한계시간 즉 기사 마감시간을 뜻한다. 이 시간을 넘기면 그 날은 보도할 수 없으므로 사외에서 취재한 기사를 편집자에게 넘기기 위해서 각 신문사와 방송국간에 격렬한 경쟁을 벌이게 된다.
◆ 헤드라인(headline)
어떤 기사에 독자의 눈길을 끌기 위해 기사의 내용을 압축해서 내세우는 일종의 제목으로 표제라고도 한다. 그러나 책이나 일반적인 논문의 제목과는 달리 추상성을 배제하고 구체성이 표출되지 않으면 안 된다. 시간에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85페이지
  • 등록일2007.04.06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27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