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표
2. 그래프
3. 그래프 분석및 고찰
4. 관련자료
5. 참고문헌
2. 그래프
3. 그래프 분석및 고찰
4. 관련자료
5. 참고문헌
본문내용
75.4500
-486.4300
-413.6700
10°
-990.3700
-1047.1000
-718.4100
-632.2600
-521.6300
-491.3300
2. 그래프
x/c
0.0251
0.1
0.251
0.499
0.699
0.899
Cp
-10°
-0.0830
-0.5980
-0.9236
-1.1185
-1.1253
-1.1498
-5°
-0.5850
-1.0283
-1.2018
-1.2714
-1.1870
-1.1232
0°
-1.3239
-1.6894
-1.5443
-1.4482
-1.3456
-1.1796
5°
-3.3095
-2.4850
-1.9280
-1.6831
-1.4228
-1.2099
10°
-2.8967
-3.0627
-2.1013
-1.8493
-1.5257
-1.4371
3. 그래프 분석및 고찰
이번 실험은 풍동을 통해서 에어포일 주위의 유동과 각각의 위치에서의 양력을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실험결과 측정된 자료를 가지고 hole의 위치에 따른 압력계수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보았다. 그래프를 살펴보면 에어포일의 받음각을 달리 해주면 각각의 위치에서의 압력계수(Cp)의 값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에어포일의 윗면의 압력은 각도를 5°와 10°로 해주어 측정하였고, 아랫면 압력을 측정할 수 없어서 받음각을 -값으로 해준 뒤에 뒤집어서 생각하면 아랫면의 압력을 구할 수 있었다. 같은 받음각이었지만 각각의 양력을 구하고 그래프를 그려보니 아랫면보다는 윗면의 압력이 더 커 압력계수의 값도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층류 분리 방울은 압력분포로 알아보기에는 너무 작기
-486.4300
-413.6700
10°
-990.3700
-1047.1000
-718.4100
-632.2600
-521.6300
-491.3300
2. 그래프
x/c
0.0251
0.1
0.251
0.499
0.699
0.899
Cp
-10°
-0.0830
-0.5980
-0.9236
-1.1185
-1.1253
-1.1498
-5°
-0.5850
-1.0283
-1.2018
-1.2714
-1.1870
-1.1232
0°
-1.3239
-1.6894
-1.5443
-1.4482
-1.3456
-1.1796
5°
-3.3095
-2.4850
-1.9280
-1.6831
-1.4228
-1.2099
10°
-2.8967
-3.0627
-2.1013
-1.8493
-1.5257
-1.4371
3. 그래프 분석및 고찰
이번 실험은 풍동을 통해서 에어포일 주위의 유동과 각각의 위치에서의 양력을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실험결과 측정된 자료를 가지고 hole의 위치에 따른 압력계수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보았다. 그래프를 살펴보면 에어포일의 받음각을 달리 해주면 각각의 위치에서의 압력계수(Cp)의 값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에어포일의 윗면의 압력은 각도를 5°와 10°로 해주어 측정하였고, 아랫면 압력을 측정할 수 없어서 받음각을 -값으로 해준 뒤에 뒤집어서 생각하면 아랫면의 압력을 구할 수 있었다. 같은 받음각이었지만 각각의 양력을 구하고 그래프를 그려보니 아랫면보다는 윗면의 압력이 더 커 압력계수의 값도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층류 분리 방울은 압력분포로 알아보기에는 너무 작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