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진폭변조 ☞ 진폭 변조된 신호의 발생과정과 메시지 신호가 AM 신호의
모양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RF 전력증폭기 ☞ RF 전력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 조절
☞ RF 저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출력전력, 전력이득 계산
☞ 안테나 부하로 전송되는 출력 전력의 퍼센트 계산
☞ AM신호의 총전력, 반송파 전력, 측대역 전력의 계산
모양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RF 전력증폭기 ☞ RF 전력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 조절
☞ RF 저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출력전력, 전력이득 계산
☞ 안테나 부하로 전송되는 출력 전력의 퍼센트 계산
☞ AM신호의 총전력, 반송파 전력, 측대역 전력의 계산
본문내용
1. 실험제목
AM송신 진폭변조 ☞ 진폭 변조된 신호의 발생과정과 메시지 신호가 AM 신호의
모양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RF 전력증폭기 ☞ RF 전력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 조절
☞ RF 저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출력전력, 전력이득 계산
☞ 안테나 부하로 전송되는 출력 전력의 퍼센트 계산
☞ AM신호의 총전력, 반송파 전력, 측대역 전력의 계산
2. 실험이론
진 폭 변 조
① 진폭변조의 원리
진폭변조란 송신하고자 하는 변조 (정보)신호를 가지고 반송파의 진폭을 변화시켜 전송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AM이라고 하는 것은 주파수 스펙트럼 이 2개의 측파대를 가지며 피변조파 (변조가 끝난 파)에 반송파가 포함되는 DSB-LC(Double SideBand-Large Carrier)를 의미한다.
반송파는 ec = Ecsin ωct, 신호파는 es = Essin ωst 라 하면, 신호파를 반송파에 싣게 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Ec = Ec + Essin ωst
진폭 변조된 신호(피변조파) e는
e = (Ec + Essin ωst) sin ωct = Ecsin ωct + Es sin ωst sin ωct
= Ecsin ωct + Es/2*cos(ωc-ωs)t - Es/2*cos(ωc+ωs)t
=Ecsin ωct + m/2*Eccos(ωc-ωs)t - m/2*Eccos (ωc+ωs)t
반송파 하측파대 상측파대
여기서 m은 변조도를 의미하며 m = Es/Ec 이다.
위식에서와 같이 진폭 변조된 피변조파는 반송파와 정보가 실린 상측파대와 하측파대의 3가지 성분으로 나타난다.
② 진폭변조의 주파수 스펙트럼
⑴ 단일 주파수 변조 시
오른쪽 그림에서 진폭 변조는 3개의 분리 된 주파수로 구성되며, 중심주파수인 반송 파는 최고의 진폭을 가지며 다른 두개의 측파대(상, 하)는 반송파와 유사하나 진폭은 반송파의 1/2을 초과할 수 없다.
⑵ 일정한 대역폭을 가질 때
변조하기위한 주파수는 단일 주파 수만 갖는 것이 아니라 음성, 음악, 컴퓨터 데이터등과 같이 어떤 스펙 트럼 형태를 갖게 된다
만약 300~3400Hz 대의 음성주파수를 20 KHz의 반송파로 변조한다면, 반송파의 양측 즉, 상측대역 20,300~23,400Hz와 하측대역 16,600~19,700Hz의 스펙트럼이 형성된다.
양측파대 (DSB)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송파, 상ㆍ하측대 파 등 3가지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 으로 점유 주파수 대역이 넓어지고 전력소 비가 커지는 등 전송효율은 좋지 않으나 수 신기를 간단히 구현할 수 있어 AM 상업방 송에 적용하고 있다.
보통 AM 신호라 하면 반송파를 갖는 DSB신호(DSB-LC)를 의미한다.
반송파의 유무는 수신 시 복조회로와 관련이 깊어 반송파를 억압한 신호(보통 SSB신호)를 수신할 때는 반송파를 만들어 내기 위한 별도의 국부 발진회로가 필요하므로 회로가 복잡해지고 수신기의 가격이 비싸진다. 반면에 반송파와 신호파를 동시에 수신 시(보통 DSB 신호)는 별도의 발진회로가 필요없어 수신기를 간단히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단측파대(SSB)
반송파억압 변조기로는 보통 링 변조기 또는 평형 변조기를 이용한다
진폭 변조파의 주파수 스펙트럼 중 신호파와 관계되는 것은 양 측대파이지 반송파는 아니 다. 따라서 상대측으로 신호를 전달할 때 상, 하측대파 중 1개만 보내면 된다.
또한 송신 출력시 반송파를 억제하므로 송 신기의 용량량이 작아도 되고 소모전력도 절 약이 된다.
③ RF 전력 증폭기
RF 전력 증폭기는 송신 안테나의 바로 전 단계로써 안테나가 RF신호를 멀리까지 보낼 수 있는데
AM송신 진폭변조 ☞ 진폭 변조된 신호의 발생과정과 메시지 신호가 AM 신호의
모양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RF 전력증폭기 ☞ RF 전력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 조절
☞ RF 저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출력전력, 전력이득 계산
☞ 안테나 부하로 전송되는 출력 전력의 퍼센트 계산
☞ AM신호의 총전력, 반송파 전력, 측대역 전력의 계산
2. 실험이론
진 폭 변 조
① 진폭변조의 원리
진폭변조란 송신하고자 하는 변조 (정보)신호를 가지고 반송파의 진폭을 변화시켜 전송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AM이라고 하는 것은 주파수 스펙트럼 이 2개의 측파대를 가지며 피변조파 (변조가 끝난 파)에 반송파가 포함되는 DSB-LC(Double SideBand-Large Carrier)를 의미한다.
반송파는 ec = Ecsin ωct, 신호파는 es = Essin ωst 라 하면, 신호파를 반송파에 싣게 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Ec = Ec + Essin ωst
진폭 변조된 신호(피변조파) e는
e = (Ec + Essin ωst) sin ωct = Ecsin ωct + Es sin ωst sin ωct
= Ecsin ωct + Es/2*cos(ωc-ωs)t - Es/2*cos(ωc+ωs)t
=Ecsin ωct + m/2*Eccos(ωc-ωs)t - m/2*Eccos (ωc+ωs)t
반송파 하측파대 상측파대
여기서 m은 변조도를 의미하며 m = Es/Ec 이다.
위식에서와 같이 진폭 변조된 피변조파는 반송파와 정보가 실린 상측파대와 하측파대의 3가지 성분으로 나타난다.
② 진폭변조의 주파수 스펙트럼
⑴ 단일 주파수 변조 시
오른쪽 그림에서 진폭 변조는 3개의 분리 된 주파수로 구성되며, 중심주파수인 반송 파는 최고의 진폭을 가지며 다른 두개의 측파대(상, 하)는 반송파와 유사하나 진폭은 반송파의 1/2을 초과할 수 없다.
⑵ 일정한 대역폭을 가질 때
변조하기위한 주파수는 단일 주파 수만 갖는 것이 아니라 음성, 음악, 컴퓨터 데이터등과 같이 어떤 스펙 트럼 형태를 갖게 된다
만약 300~3400Hz 대의 음성주파수를 20 KHz의 반송파로 변조한다면, 반송파의 양측 즉, 상측대역 20,300~23,400Hz와 하측대역 16,600~19,700Hz의 스펙트럼이 형성된다.
양측파대 (DSB)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송파, 상ㆍ하측대 파 등 3가지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 으로 점유 주파수 대역이 넓어지고 전력소 비가 커지는 등 전송효율은 좋지 않으나 수 신기를 간단히 구현할 수 있어 AM 상업방 송에 적용하고 있다.
보통 AM 신호라 하면 반송파를 갖는 DSB신호(DSB-LC)를 의미한다.
반송파의 유무는 수신 시 복조회로와 관련이 깊어 반송파를 억압한 신호(보통 SSB신호)를 수신할 때는 반송파를 만들어 내기 위한 별도의 국부 발진회로가 필요하므로 회로가 복잡해지고 수신기의 가격이 비싸진다. 반면에 반송파와 신호파를 동시에 수신 시(보통 DSB 신호)는 별도의 발진회로가 필요없어 수신기를 간단히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단측파대(SSB)
반송파억압 변조기로는 보통 링 변조기 또는 평형 변조기를 이용한다
진폭 변조파의 주파수 스펙트럼 중 신호파와 관계되는 것은 양 측대파이지 반송파는 아니 다. 따라서 상대측으로 신호를 전달할 때 상, 하측대파 중 1개만 보내면 된다.
또한 송신 출력시 반송파를 억제하므로 송 신기의 용량량이 작아도 되고 소모전력도 절 약이 된다.
③ RF 전력 증폭기
RF 전력 증폭기는 송신 안테나의 바로 전 단계로써 안테나가 RF신호를 멀리까지 보낼 수 있는데
소개글